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brianjung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회원가입 : 15-12-04
방문횟수 : 758회
닉네임 변경이력
일반
베스트
베오베
댓글
194 2016-01-13 22:39:47 0
(본삭금)로마제국과 라틴에 대하여 궁금증이 있습니다! [새창]
2016/01/13 22:26:23
콘스탄티누스가 썼던 라바룸입니다. 카톨릭에서 많이 쓰죠

193 2016-01-13 22:36:24 2
(본삭금)로마제국과 라틴에 대하여 궁금증이 있습니다! [새창]
2016/01/13 22:26:23
로마제국의 상징은 독수리입니다. 동로마제국(비잔틴제국)도 이걸 물려받은 쌍두독수리를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했구요.
십자가는 그리스 십자가, 라틴십자가 이외에도 라바룸(콘스탄티누스가 썼던) 마리아십자가, 타우십자가(콥트교-이집트 기독교에서 사용), 성 토마스 십자가(인도 교회의 상징)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192 2016-01-13 21:47:31 3
30년대 독립운동이 없는이유가?? [새창]
2016/01/13 21:39:13
윤봉길의사 의거가 32년에 있었고 국내 의열단 활동시기가 30년대입니다.
국내에서 공산당계열 독립운동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게 30년대였구요
https://search.i815.or.kr/Degae/DegaeView.jsp?nid=31
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만주를 기반으로 활동하던 무력독립운동집단이 쇄락하고 국내와 해외 독립운동 연계가 잦아든건 사실이지만,
30년대에도 "여전히 싸우고"있었답니다.
191 2016-01-13 20:26:26 2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를 쓴 [새창]
2016/01/13 19:52:59
풍납토성이 하남 위례성이 "아니라는" 주장을 하신 으로 정정합니다.
190 2016-01-13 20:25:01 2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고대사"를 쓴 [새창]
2016/01/13 19:52:59
이글루스 역사밸리에서 한국전 남침유도설, 1차대전 및 태평양전쟁 미국유도설로 여러차례 물의를 일으키신 분이지만 가장 대표적인건 백제 풍납토성이 백제의 첫수도인 하남 위례성이라는 주장을 아무런 근거도 없이 하신 분이기도 합니다.

http://ksdd5713.egloos.com/m/5859896
풍납토성 관련해서 충남대 고고학과 교수인 박순발 교수님께 정통으로 당하신바 있습니다 . 모르시면 말씀을 안하시면 되는데 됟 않게 풍납토성관련해서 국내 최고전문가인 분에게 어줍잖게 도전하신 경력이 있죠. 역시 논리나 증거가 막히면 "조작"이라는 말씀하시는걸 매우 좋아하십니다.
링크보시면 뉴데일리(뉴데일리가 이런 옳은 방송을 할때도 있어 놀랐습니다만)에 올라왔던 박순발교수님 발표내용이 있습니다.

작가로서는 괜찮으신것 같으니 그냥 그쪽으로 매진하시는게 모두를 위해 좋은 길이 아닐까 합니다.
189 2016-01-13 19:32:35 0
[질문] 무한히 긴 줄을 잡아당기면?? [새창]
2016/01/13 17:34:56
빛의 속도가 빠른 건 없다는 상대성이론에 따라 줄을 당기는 힘이 전해지는 속도도 광속보다 빠르지 못합니다.
그러니 아주아주아주 오래 걸리겠죠.
188 2016-01-13 17:44:56 2
오사카에서 백제라는 이름이 나타났다 사라졌다...한애기들... [새창]
2016/01/13 17:12:53
좀 어이가 없습니다만
정창원문서에는 百濟郡이라는 단어자체가 안나옵니다 ( http://somoda.media.osaka-cu.ac.jp/shosoin_db/monjyo.php / 정창원문서 온라인검색 )
속일본기역시 百濟郡라는 단어자체가 등장하지 않구요 ( http://www.j-texts.com/jodai/shokuall.html / 속일본기 전문 )
그리고 속일본기에서 難波姬(난파히메)라는 인명도 안나옵니다.

제가 실수한거면 좋겠습니다만 기초사실부터 증명이 필요한 기사인데요.
186 2016-01-13 13:15:10 3
일본의 시작은 백제 담로 [새창]
2016/01/13 09:47:21
학술적인 얘기를 하자고 하셨는데 이건 학술도 논리도 아니라 시장바닥 야바위에 가까운 사기입니다.
185 2016-01-13 13:14:13 4
일본의 시작은 백제 담로 [새창]
2016/01/13 09:47:21
입증을 해주시면 됩니다. 담로의 음차가 다라나 드르가 아니라는 증명을 하시던지요.
성을 의미하는 擔魯가 일본서기 일본열도 탄생신화에 나오는 아와지랑 대체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한국어 한자발음이 동일하다는 것 말고는 음차의 유래도 배경의 의미도 완전히 상이합니다
아무런 증거도 없는데 그냥 한국어 한자발음이 똑같으니까 같은 말인가요?
184 2016-01-13 13:10:31 3
일본에서 하쿠사이 대신 구다라라고 사용한건 천황가서 사용된 용어였을지도. [새창]
2016/01/13 09:30:07
백제가 멸망한지 천년이 넘은다음에야 등장한
183 2016-01-13 13:10:07 3
일본에서 하쿠사이 대신 구다라라고 사용한건 천황가서 사용된 용어였을지도. [새창]
2016/01/13 09:30:07
님께서 인용하신

한 일본인은 이에 대해 “‘구다라나이(くだらない)’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 뜻은 ‘시시하다’라는 뜻입니다. 원래는 ‘백제가 없다.’라는 말인데 ‘구다라나이’는 백제 것이 아닌 것은 ‘좋지 않다, 시시하다’ 이런 뜻이 아닐까요?

이 주장이 전혀 이치에 합당하지 않는 엉터리 주장이라는 뜻입니다. 백제가 천년이 넘은다음에야 등장한 구다라나이라는 표현이 어떻게 백제하고 상관이 있냐는 물음이구요. 글 올리실때 내용은 보세요?
182 2016-01-13 13:04:01 3
일본에서 하쿠사이 대신 구다라라고 사용한건 천황가서 사용된 용어였을지도. [새창]
2016/01/13 09:30:07
정정합니다. 고려시대가 아니라 조선시대말(일본은 에도부터 명치사이)에 등장한 표현입니다.
181 2016-01-13 13:03:01 3
일본에서 하쿠사이 대신 구다라라고 사용한건 천황가서 사용된 용어였을지도. [새창]
2016/01/13 09:30:07
구다라나이는 백제(구다라)것이 아니라 하찮다가 아니라 영문을 알수없다는 "구다루"라는 동사에서 나온것입니다.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시기에 일본에는 구다라나이같은 표현이 등장하지도 않았어요. 그 표현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일본에서 등장한 표현입니다.
백제와 아무런 연관도 없습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angttukkeon&logNo=40137150283&parentCategoryNo=1&viewDate=¤tPage=1&listtype=0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 ‘구다라나이(くだらない)’라는 말의 기원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 해당하는 상대(上代ㆍ600∼784) 일본어에서는 "구다라나이", "구다라노 모노데 나이" 같은 일본어는 있을 수 없고(‘구다라노 모노니 아라즈’<백제のものにあらず>가 되어야 함), 당연히 상대 일본어 문헌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구다라나이(くだらない)'가 문헌상에 등장하는 것은 중세 일본어(1184-1603)부터이며 '구다라누(くだらぬ)'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구다라누'는 원래 일본어 동사 '구다루(くだる)'에 부정의 조동사 '누(ぬ)'가 붙은 형태이다. '구다루'에는 원래 "의미나 도리를 알 수 있다"라는 뜻이 있고, '구다라누'는 "영문을 알 수 없다"라는 뜻이었다.

그런데 중세 일본어에서는 '하찮다', "변변치 못하다"라는 의미로 점차 변화하며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일포사전(日葡辭典)』(1603)에는 'cudaranu'라는 어휘가 수록되어 있고 『선림류취초(禪林類聚抄)』(1642), 『삼백칙초(三百則抄)』(1677) 등에도 '구다라누'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구다라나이'가 나타나는 것은 에도시대(江戶 시대:1603∼1868) 말기부터 명치시대(明治 시대) 사이의 시기이다.
180 2016-01-13 12:57:44 5
일본의 시작은 백제 담로 [새창]
2016/01/13 09:47:21
백제 행정조직 담로의 한자는 擔魯이고, 일본서기의 淡路는 한자가 완전히 다르며 아와지라고 합니다
https://ja.wikipedia.org/wiki/%E6%B7%A1%E8%B7%AF / 아와지는 효고현 지명일뿐입니다.

그리고 백제 행정조직 담로는 원래 백제어 ‘다라’, ‘드르’의 음차(音借)로서 ‘성(城)’을 의미합니다
http://yoksa.aks.ac.kr/jsp/cc/View.jsp?cc10id=C0000682

한자의 한국어 발음이 동일하다고 상관도 없는 두 단어를 묶어는 곳에 불과합니다.
<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
< 86 87 88 89 90 >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