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차바지는 유사하긴 하나 그냥 뚫린 물건이 아닙니다. 밑이 트인 바지의 가랑이를 가리는 천을 '풍차' 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트인것을 가린다는 의식은 있었습니다. 아무데나 까고 싼다기 보단 겹겹이 싸매는 한복의 특성상 어린아이의 경우 좀 더 벗기 쉽게 해준다는 의미가 큽니다.
바지의 밑을 터서 오줌·똥을 누기에 편하게 만든 어린 사내아이용 바지. 명주는 너비가 좁은 평직의 견직물로 보통 명주는 연견직물을 말하는데 생견직물인 생명주도 있다. 누비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솜을 넣고 함께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법으로 한자어로는 ‘누비(縷緋)’라 한다. 우리 나라는 추운 기후관계로 더욱 발달된 것으로 여겨진다. 누비는 방법은 홈질로 평행·직선 등으로 누비는데‚ 누비의 넓이와 솜의 두께에 따라 종류가 나누어진다. 조선시대의 ≪궁중발기 宮中發記≫에는 오목(吾目)누비·중(中)누비·세(細)누비·세중(細中)누비·잔누비·납작누비로 구분하고 있다. ‘개구멍바지’라고도 하는 풍차바지는 여자들이 치마 밑에 입는 속옷의 하나인 바지나 고쟁이와 형태가 비슷하다. 다만 풍차바지는 위에 길게 터진 자리에 풍차(風遮)를 댄 것이 다를 뿐이다. 풍차라는 것은 일종의 바람막이라고 하겠는데‚ 바지의 마루폭에 좌우로 길게 헝겊조각을 대어 겹치게 함으로써 바람이 스며드는 것을 막게 하였으며‚ 마치 저고리 섶과 같이 된 것이다. 이 풍차바지는 겨울철 방한용이어서 누비바지나 솜바지로 만들어 입히며‚ 흔히 대님을 붙박이로 달아주어 버선을 신은 다음 매게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