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소나무만 있는 것에도 이유가 있다고 하네요. 녹화사업은 총 3단계로 계획되었는데 1차는 아까시나무 등 생명력이 강한 품종, 2차는 소나무 등 중형목, 최종적으로 3차는 경제성이 좋은 대형목으로 10년씩 3차로 예정된 30년짜리 초장기프로젝트였다. 그런데 1967년 산림청이 설치되고 시작된 1차 사업은 제대로 마무리 되었지만, 5공 때인 2차에서 주춤했다가 이를 추진해야 할 박정희도 사망해버렸고 해서 6공 이후에는 흐지부지 중단돼 버린 것이다. 그래서 산지의 대부분이 중형목인 소나무 잣나무 등인 것이라고 꺼무위키에서 퍼왔습니다
결국 통계를 보면 답이 나오죠 매년 총기난사로 약 500명, 그외 총기 관련 강력범죄로 1만명이 사망한다는데 총기를 사용한 정당방위는 약 3만건이 보고된답니다. 게다가 범죄에 사용되는 총기의 약 2%만 합법적인 경로로 구한 총기고 나머지는 전부 불법 혹은 타인의 총기를 가져다 사용한다고 하구요
결국 시중에 풀리는 불법총기를 수거할 방법을 찾지 못하면 총기규제가 오히려 더 큰 피해를 불러오게 되는거구요 그리고 과연 저런 불법총기를 모두다 수거할 수 있을까요?? 전 절대 못한다고 보기 때문에 저라도 미국에서 살면 호신용 총기를 구매할 겁니다
정권은 바뀌었지만 밑에서 일하는 사람들, 시민들은 그대로 라는 점에서 화재가 많이 난다고 정부를 공격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을 전제로 말씀을 드립니다. 화재발생건수는 매년 매달 비슷하니 비교하는데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구요. 본문에서도 언급했지만 보도가 될 만큼 큰 화재가 얼마나 났느냐가 보도횟수에 영향을 크게 미치겠죠. 같은 화재라도 밀양, 제천 화재 같은 큰 화재는 기사가 훨씬 많아지는게 당연하니까요.
최근 3년간 11월 12월 1월의 화재 인명피해를 비교해보면 2015년 12월 206명 2016년 12월 182명 2017년 12월 338명
2015년 11명 140명 2016년 11명 177명 2017년 11명 200명
2016년 1월 142명 2017년 1월 194명 2018년 1월 488명 으로 불행하게도 최근 3개월간 인명피해가 전전년도 488명, 전년도 553명, 올해 1026명으로 올해 유난히 큰 화재가 여럿 있던 것이 사실입니다. 즉 단순히 화재발생건수만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인명피해와 화재의 규모까지 살펴야 보도가 늘어난 이유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고 실제로 화재를 빌미로 정부를 공격하는 세력의 존재 유무와는 관계 없이 자료를 조작해가며 그에 맞서려는 것은 오히려 팀킬이라는 것을 저 표를 만드신 분이 알아주셨으면 좋겠네요
동감합니다. 단순히 표문제라고 보기엔 설명이 안되는 부분들이 있죠. 지금 정치하는 세대의 인물들은 본인들 스스로가 가부장제 혹은 성차별의 혜택을 받고 자란 세대라 일종의 부채의식 같은게 있다고 봐요 그들이 성장하던 시기를 떠올려 보면 분명히 성차별을 쉽게 목격할 수 있었으니까요. 문제는 그 뒤로 세상이 변한 걸 본인들이 모른다는 거죠. 썰전에서 성평등 이슈 다룰 때 유시민 작가의 발언들이나 김광진, 박주민 의원 같은 사람들의 행동도 본문대로 해석하면 이해가 되죠.
위에도 언급하신 분이 있는데 결혼을 안한게 아니라면 80시간 이상 일하는 미친자의 뒤에는 묵묵히 서포트해주는 부인이 있습니다. 집안에 미친자가 한명 있으니 둘다 일하는 것보다 바깥일과 집안일을 분리해서 서로의 역할을 찾은거겠죠. 고로 남들보다 더 높이 올라가고 싶고 경쟁이 좋아서 80시간씩 일할수 있는 여성이라면 집에서 서포트해줄 남성과 결혼하면 된다고 생각하는건 너무 극단적일까요? 자기보다 금전적인 조건이 좋은 남성 만나려고 하지 말고 흔히 얘기하는 전업주부 역할 해줄 사람 만나면 그만이죠. 그럼 문제가 되는 것은 출산만 남는데 출산 기간을 다 합쳐도 여성의 더 긴 수명이면 그 정도는 감수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본문에 있는거 전문 팩트체크에서 지적한 내용인데요... 1. 단축 규정이 있다는 것은 팩트체크에서도 언급했구요. "다만 감사권을 가진 노동부는 2007년 "인사규정 위반(공고기간 15일 미준수)"으로 결론내렸습니다. 당시 기조실장과 행정지원팀장은 견책의 징계를 받았는데 이런 이유를 포함한 채용절차가 이유였습니다." 라는게 JTBC의 지적이었죠. 고로 1번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해명이네요
2. 본문의 해명에 학력제한이 없었다는건 쓸데없는 얘기죠. 애초에 연구직 채용공고였는데요. 저건 그냥 해명하기 위해 아무 말이나 가져다 붙인 거고 그냥 고용정보원측의 공고가 부실했고 추후 서류를 요구해서 제출받았다고 하면 끝날 문제죠.
3. "2007년 이후 특별한 사유가 발생하지 않아서 아예 감사 대상에서 제외했거나, 혹은 감사를 했는데 추가로 내용이 나오지 않았거나, 둘 중 하나인 것이죠." 라는게 팩트체크의 주장이었는데 결국 본문의 해명은 후자였다고 주장하는거지 사실읠 증명해주지는 못하죠. 의혹을 제기하는 측에선 전자라고 하고 있구요. 이 점에 대해서는 보고서에 내용이 빠져 있으니 당시 감사를 한 사람이 나서야 끝날 문제겠네요
결국 JTBC에서는 문캠의 해명이 부실하다는 점을 지적한거고 거기에 또 똑같은 얘기만 하고 있으니... 문캠은 언제 제대로 일하려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