쳐낼 인물은 어디든 쳐내야죠. 기득권 쉴드 쳐봐야 살림살이 나아지겠습니까. 덧붙여 여든 야든 어차피 양당구도이고 그속에서 개발된 공격논리, 방어논리에 너무 매몰될 필요 없다고 봅니다. 걍 아닌 애들은 아닌걸로 표심이 단결해야죠. 왜 유권자끼리 기득권 빨아주며 세대론, 젠더론에 갖혀 서로 돌 던지기 바쁜지 이해가 어려워요
말씀처럼 '상대적'으로 1기라도 추가 도입하는 편이 중국 입장에서 불편할 것이란건 사실일겁니다. 추가 배치한다면 내부적으로는 유지 비용, 지역 사회의 의견 수렴 문제 등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이슈가 생길테고 대외적으로는 외교/경제적 영향, 중국의 보복과 한미공조에 영향받을 북중의 군사적 활동의 예측 등...고려할 것이 많아지겠죠.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과연 실효한 도입이고 효율적인 예산과 자원의 운용인 것인가?는 숙고해야할 문제이고 그러기 위한 명분을 어떻게 유지하는 것이 보다 좋을까?라는 질문에는 공감합니다.
모바일로 두서없이 적다보니 오독의 여지가 있어 또 첨언합니다. 윤후보의 수도권 방어가 가능한 사드 공약이 유효한 공약이라는 얘기가 아니라 구호... 즉, "북의 공격으로부터 수도권 방어가 가능한 한국형md 체계가 필요하다" 에 동의를 하며 그에 맞는 md 구축이 필요하다는 얘기입니다.
수도권 방어를 위한 사드 공약은 사실 실효가 없다는 생각이고 앞으로도 추가적인 사드 투입보다 한국의 md 체계, 특히 윤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운 수도권 방어가 정말 가능한 -저고도를 포함한- 방어체계를 갖추어나가는게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북/비핵화 문제는 그것대로 해소를 해야된다고 생각해요. 최근 북의 시험 발사체를 둥펑계로 보고있는 견해가 있기도 하고 사드와 엮어두면 오히려 악순환이 될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수정합니다) 단지, 사드에 중국이 반감을 가지는 *것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외교적으로 북의 문제를 중국의 탓으로 걸어놓는...일종의 대립의 위험이 높은 방향은 사드와 무관하게 중국으로부터 좋은 반응이 나오기는 어렵고 유효한 방향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노력의 여하는 수치나 결과로써 검증하기가 매우 어려우니 각 이해당사국의 해석 여부가 판이할 수 있습니다.
단지, 사드에 중국이 반감을 가지는 것이나 외교적으로 북의 문제를 중국의 탓으로 걸어놓는...일종의 대립의 위험이 높은 방향은 사드와 무관하게 중국으로부터 좋은 반응이 나오기는 어렵고 유효한 방향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노력의 여하는 수치나 결과로써 검증하기가 매우 어려우니 각 이해당사국의 해석 여부가 판이할 수 있습니다.
현 md 체계를 총알받이로 보는 견해나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에 큰 이의는 없지만, 미md체계와 상호 연동하는 수순으로 볼 때에 언젠가는 들어왔어야할 사드인 것도 사실이 아닌가 생각해요. 입지 선정과 시기, 외교 수완의 발휘 등 절차상 아쉬움은 많았지만 박근혜 정부에서 들여온 것이 여파는 있었으나 문재인 정부에게 있어선 짐을 어느 정도는 덜어낸 효과가 있긴 했을거라 생각합니다. 하다못해 지난 정부에서 결정하여 들여온 탓이다..로 뭉갤 여지라도 있었으니까요. 그런 점을 말씀하신 것 같아 어느 정도 동의는 되네요.
윤후보 측에서 요구하는 지참 자료는 일반/정책토론 등의 자료가 아니라 대장동 의혹 관련 문서/자료들을 얘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검증된 자료인지 아닌지 무엇을 들고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특정 후보에게 한정되는 의혹 자료만을 허용해달라는 요구를 받을 캠프는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국민의힘, 적당히 좀 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