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글 보다보면 언젠가 적어야지 하고 생각하다 모바일로 로그인 해서 적어봅니다 때는 16년전 대구 PR중학교 중학교 2학년 1학기 기말고사였던걸로 기억함 체육 시험 주관식 2번문제였던것 같은데 지금생각해보면 체육쌤이 노린것 같음 주관식 2번 다음중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후천적 면역 결핍증 AIDS는 [ ]에 의해 감염된다
기말고사 끝나고 체육쌤이 답안지를 들고와서 오답 하나씩 다읽어주심 정답률이 5%밖에 되지 않았다며.. 가장많은 오답은 "S*X "였고, 두번째가 한글로 "섹@"였음 그중에 순진한 학생들은 설마 이게 정답일까 싶어 "관계" 도 있었고 "관계"앞에 "성"을 붙인 애들도 있었음 참고로 정답은 "바이러스"였으며 저는 그 문제를 맞췄던 걸로..
헐... 아직까지도 분쟁이 계속 되고 있다니 ㅋㅋ 설계사 수당이 많으니 어쩌니.. 손해보험사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손해보험에서 판매하는 저축성 보험은 월납 10만원 기준에 보장보험료 8원 적립보험료 99,992원 입니다. 위에 환산률이야기 하시는데 2년납 3년만기 저희회사 상품 환산률이 월납입금액의 17% 입니다. 월납 50에 설계사 수당이 400이라고요? 10년납 100세만기 또는 20년납 100세만기 생명보험사 변액 상품 같은데요.. 변액보험은 보장성 보험 입니다. 저축성 보험이 아닙니다. 보장성 보험을 나중에 연금의 형태로 돌릴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겁니다. 60세 70세 시점에 가장의 유고시 필요한 사망보험금이 필요 없다고 느낄때 연금으로 전환하라는 생보사의 포인트인데, 제가 볼때는 아무리봐도 해약환급금을 일시불로 주기 싫으니 연금으로 주겠다는 말로밖에 안들리네요. 변액이라는 이름에 유니버셜이라는 이름이 붙은건 중도에 인출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는 상품이구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변액보험은 저축성 보험이 아닙니다.
배꼽에손// 손해보험사에 근무하다 보니 생명보험사의 큰 사업비 횡포는 아직도 이해를 할래야 할수가 없네요. 연금 저축도 이자소득세 15.4%를 면제 해주는 비과세 저축에 해당됩니다. 저축보험은 저도 비추하는 경향은 있으나 연금보험은 그래도 아직은 메리트 있는 상품으로 보이는데.. 사업비 6%는 납입하는 보험료에만 적용됩니다. 이자 수익률에까지 적용되지는 않아요. 그리고 요즘은 청약서에 무조건 사업비를 표기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조금은 투명해 졌다고 볼수 있진 않나요..?
매우중요// 평소에 연금저축으로 소득공제 혜택 제대로 보셨겠네요. 세액공제로 바뀌면서 12% 고정되었습니다. 연간 한도 400만원 다 납부하신다면 이제 혜택보는 금액이 조금 줄어 들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평소에 많은 혜택을 보셨을테지만 현재는 48만원만 혜택 보실거에요. 그래도 아직까지는 다른 상품보다는 메리트는 있어 보입니다. 2년간 유지한걸 구지 손해를 봐가면서 해약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아레니우스// 가입하신 상품은 손해보험사의 세제적격 연금 상품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말하는 생명보험사 상품과는 또 달라요. 연말 정산 때 매년 금액만큼의 혜택을 보는것도 맞고 돌려 생각하면 월 33만원으로 연간 혜택 보는 만큼의 이자 수익이라 생각하셔도 되요. 하지만 연금 개시 시점에는 연금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지금 연말 정산때 돌려받고 나중에 연금 개시 받을때 다시 납부하는 구조라 생각하시면 되요.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내년부터 매년 66만원 정도 나오지 않습니다. 33만 * 12개월 = 396만원 * 12 % = 472500원 돌려받습니다. 올해부로 바꼈네요. 12% 고정입니다. 무조건 바뀐다고 이야기가 있었는데 3개월 전이시면.. 조금 의아하네요;;
안녕하세요 현직 설계사 입니다. 현재 H 해상 손해보험에 근무중입니다. 위에 언급되고 있는 보험상품들은 모두 생명보험사 상품인듯 보이네요. 생명보험사 상품들은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제혜택을 받는 세제적격 연금 상품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험도 일종의 상품이고 소비하는 금액이기에 보장성 보험으로 판단, 연간 한도 100만원까지는 소득공제 혜택은 볼 수 있습니다. 여기저기 이야기 하는 세제혜택을 보는 연금 상품은 손해보험사의 세제적격 연금 상품이 유일합니다. 한도는 연간 400만원 까지구요. 그러나 이것도 이제 올해부터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로 변경되어 예전만큼 고수익을 바라볼순 없게 되었죠. 손해보험사에도 저축보험 상품은 있으나 저도 따질건 따지는 성격이라 월납입 100만원 이상의 고액 계약이 아니면 추천하지 않아요. 오히려 금리높은 은행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고액의 계약 같은 경우에는 추가 보너스, 즉 수당이 더 나오거든요. 그 수당을 돌려드려 가입 시키기도 합니다.
글쓴이님이 계산한대로 저도 10년짜리 상품을 방금 설계해 봤는데, 그래도 손해보험사는 사업비가 생명보험사 보다는 적은터라 은행은 위와 같은 금리, 저희 회사는 현재 금리로 봤을때는 얼추 은행과 비슷한 구조로 돌아갑니다. 은행은 13,957,262원, 저희 회사는 13,753,640 그래도 20만원 지는건 어쩔수 없네요 ㅎㅎ 원래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데.. 은행 금리를 너무 높게 잡으신건 아닌지.. ㅎㅎ 아.. 그리고 보험회사 상품들.. 월복리 아닙니다. 연복리에요.. 월복리면 정말 이자 후덜덜 하겠죠
에고.. 늦은밤 갑자기 포털 들어가서 설계하고 1년씩 은행 예금 적금 더하기 빼기 해보고.. 신인때 이후 첨으로 계산 해봤네요 ㅎㅎ 재미있는 글 올려주신 글쓴이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기분좋게 잠에 들 수 있겠네요.
자세한 설명이 조금 부족해 보여서 답변 드리기가 애매하네요 일단 기본적으로 자동차 보험은 자동차 명의자로 따라갑니다. 아버지 차에 본인이 보험이 들어가있다면 아버지가 피보험자이고 가족운전 특약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본인 100% 명의로 차를 구입한다면 피보험자는 본인 앞으로 되어야 하며 운전자는 정하기 나름입니다. ekzmwlfod@naver.com 문의 주시면 자세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우선 크게 보면 보험은 두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한화생명은 말그대로 생명보험이구요 우체국도 생명보험과 가깝습니다. 손해보험쪽과 생명보험쪽을 잘 비교해보시고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보험을 드시는게 정답입니다. ekzmwlfod@naver.com 문의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