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이 '비싼' 해외 입양을 선호하는 진짜 이유 [해외 입양인, 말 걸기] <31> 연간 수십억 달러 거래되는 해외 입양 시장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5697
美입양 한국아동 수, 17년만에 다시 부끄러운 세계 1위… 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1/21/2011112100138.html
해외입양은 친부모와의 단절을 쉽게 할 수 있어서 미국에서도 선호합니다. 1인당 4~5만불 정도 든다고 하며, 미국에서는 머리 좋은 아시안 중 한국을 선호합니다. 문제는 아동빈곤율이 20%에 달하는 미국에서 그들이 잘 살 수 있는가하는 문제죠. 70년대에는 못먹고 못살아서 입하나 줄이려고 하는 해외입양도 있었지만, 고아 숫자가 625 전쟁 후 5만명에서 지금은 1.5만명 정도 수준인 나라에서 만명 가까이 해외입양을 보냈다는 건 고아만 보낸것도 아니고, 못먹고 못살아서 보낸 것도 아니고 미아를 입양보낸 케이스도 상당히 있다고 보는 게 맞을겁니다. 한 명 보내면 지금은 4~5만불을 받고, 80년대에도 비슷한 수준의 돈을 받았습니다. (80년대 대졸신입 1년연봉보다 더 많은 돈을 받았습니다. 지금도 그렇구요.)입양시장은 이미 선의의 사업이 아닙니다. 뭘 만들어서 수출한다고 하면, 원재료비에 각종 고정비에 돈 들어갈 게 많지만, 입양사업은 재료비가 안들어요. 이게 입양사업의 본질입니다.
80년대 한창 보낼 때, 어느 나라에서 신생아 1%를 해외로 입양을 시켰는지 데이터 좀 보여주세요. 없습니다. 국가에서 법까지 만들어서 입양을 장려한 나라가 한국말고 또 있나요? 애들 팔아서 돈 번 것 맞습니다. 그게 다 외화벌이니까요.
편협된 자료가 아니라 실상은 더 비참했는데, 일부만 드러난 겁니다. 입 하나라도 줄여야 복지예산도 덜 들어가니까 그렇게 장려까지 한 것 아니겠어요? 토목공사로 도로 넓히고 댐 짓고 강 파고 하는 데에 쓰는 돈은 안아깝고 이런 데 쓰는 돈은 아까워하니까, 정부에서 장려하고 묵인하면서, 그렇게 아기들을 팔아먹은 겁니다. 이게 팩트에요.
사람 몸무게의 6~8%가 피고, 50킬로그램 몸무게 사람인 경우 3Kg-4Kg이 피. 이 중 1/3이 빠지면 위험. 1/2면 치명적임. 피범벅이 되려면 매우 위험할 정도로 피를 흘렸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콜라 1.5리터로 온 몸에 골고루 부어보세요. 피범벅이 되는 사진 정도 나올 겁니다. 즉, 피해 여중생의 상태는 경미한 상태가 아니라, 매우 위험한 상태라고 봐야죠. 그리고 두피가 갈라진 상처를 보면 자연스럽게 굳는 정도를 벗어난 매우 큰 상처라는 걸 의학상식이 없어도 알 수 있습니다. 부산 경찰 니들 미.친 놈 같아보여. 그 정도 판단도 못내리면 경찰복 벗어라. 병신들아.
일단 국민신문고에 민원 넣어보세요. 그러면 보고를 해야 하기때문에 정확하게 처리할 겁니다.
근로감독관이 뭐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170만개 사업장을 감독하는 근로감독관 숫자는 겨우 천여명이거든요. 그래서 문재인 정부 들어서 1200 명을 추가로 증원하려고 했는데, 자한당에서 추경예산을 줄여서 증원이 안됩니다. 근로감독관 탓만 하기에는 현실이 너무 열악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해줘야 하는데, 1인당 감독할 사업장이 2,000개가 넘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노동자 편에서 잘 해주는 감독관을 만나는 게 행운이 되어버렸습니다.
새누리당 색히들은 이 지랄하고 있었습니다. (2017.1) 노동부 “근로감독관 1천200여명 동원해 체불임금 청산 주력”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062
새정부 들어서 추경을 통해 근로감독관을 늘이려고 했는데, 자바국당의 적극적인 협조로 이따구로 근로감독관 증원이 ...
http://news1.kr/articles/?3055194 공무원 추가채용을 세부적으로 보면 경찰 1104명, 군부사관 652명, 생활안전분야 819명 등이다. 앞서 여야는 추가채용 규모를 2875명으로 합의했지만 근로감독관 300명을 추가로 줄이기로 했다. 공무원 채용에 필요한 예산 80억원은 전액 삭감하되, 목적예비비 500억원에서 이를 충당하는 것으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