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사양은 좋네요. 근데 컴퓨터 완셋으로 팔면 가격을 많이 받아야겠지만 생각보다 헐값에 팔리고, 문제라면 또 금방 팔리지도 않는 터라. 그리고 각 부품을 나눠서팔면 이도저도 아니고 애매하게 부품 남을 수도 있구요. 제 생각에는 아는 분께라도 돈을 빌리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네요. 정말 지금 컴퓨터를 헐값에 팔것 아닌 이상은 ..
좀 뭔가 안맞는 사양이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어떤 게임을 방송할지 어떤 프랫폼으로 방송을 몇개나 송출할지도 내용을 알아야할것같구요. 중요한 캡처보드도 빠져있고, 그래픽카드 사양도 훨씬 중요한데 빠져있구요. 게임을 하려면 다코어보다는 코어갯수는 조금 적더라도 고클럭이 좀 더 유리하구요. 물론 송출용으로 쓸 때 여러개의 플랫폼에 동시 송출하려면 CPU가 코어가 많으면 유리한점도 있죠. 게임방송을 한다고 하면, 그래픽카드가 게임도 해야하고 송출을 위한 인코딩도 해야하니 부담이 커져서 그래픽카드가 좋을수록 좋습니다. 지금 스펙이 가격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정해진거라면 CPU를 낮춰서라도 그래픽카드를 높이는게 도움될수도 잇죠. https://cdmanii.com/6597 이 내용과 내용에 있는 영상보셔도 참고가 되실 듯하네요. 캡처보드 쓸 때 부하를 줄일려면 인텔CPU처럼 내장그래픽이 있는게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지금 컴퓨터는 꼭 송출용컴퓨터 스펙이네요. 물론 제가 생각한것은 배그방송을 생각한것이지만, 뭐 부하가 낮은 게임한다면 나쁘지 않을수도 있겠지만요.
https://answers.microsoft.com/ko-kr/msoffice/forum/all/2%EA%B3%84%EC%A0%95-%EC%82%AC%EC%9A%A9%EC%8B%9C/f3ad3a6d-c33e-429f-bd60-c18bfc277ad3 이것을 참고하면 될듯 싶습니다.
내부에서만 쓰실거라면 Samba 연결하는게 편하겠죠.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등록해놓고 공유하시면서 쓰시면 됩니다. 인터넷이 느리면 외부에서 내부의 NAS로 접근시 속도가 느리게 됩니다. 다만 내부에서만 쓸거라면 내부에 연결된 선의 규격과 유무선공유기 허브 등의 규격에 따라가게 되죠. 선은 CAT5E를 써서 1000Mbps를 쓸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유무선공유기가 100Mbps를 지원하는 구형제품이면 속도가 최대 100Mbps밖에 안나오게 됩니다. 보통 NAS에 사용하는 1GbE를 이용하면 110MB/sec 정도는 쓸 수 있는데 유무선공유기가 100Mbps를 지원하면 속도가 확 줄어서 10MB/sec 정도 밖에 안나오겠죠. 20대나 연결해서 쓴다면 좀 더 성능이 좋은게 있으면 좋긴하죠. 동시에 근데 20명이 쓴다면 그렇구요. 그게 아니라면 좀 사양을 낮춰도 되구요. 10기가 하드가 아니라 아마 10TB를 말하신듯 한데요. 용량 큰것을 달아두시면 많은 사람들이 넉넉하게 쓸 수 있겠죠. https://cdmanii.com/3845 이글도 참고해서 봐주세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는 내용과 쓰는 방법 나옵니다.
고정아이피이야기하신것은 외부에서 접속이 필요해서 그런걸까요? (집밖에서 집 안에 NAS로의 연결) 이것은 굳이 고정아이피 비싼것 쓰실필요는 없고 DDNS 설정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속도는 느려도 나스를 내부에서 컴퓨터간에 파일 공유등으로 쓰실거면 랜선의 최대 속도는 쓸 수 있을테니 집에 연결된 랜선의 규격을 확인하세요. CAT5E 이상이 되어야 1000Mbps를 쓸 수 있으니까요. NAS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저도 리뷰는 꽤 많이 올려두었는데요. 지금 언급하신 기능은 대부분의 나스에서는 지원하는 기능이긴 합니다. NAS가 철저하게 가격대별로 기능이 좀 제한이 있다보니 비쌀 수록 더 많은 용량을 더 많은 사람이 동시에 연결해도 됩니다. 지금 적어주신 용도만 봐서는 2베이 나스만 해도 충분할 것 같은 느낌도 드네요. 100-200만원까지 생각하면 정말 너무 성능이 좋은 NAS를 구매할 수 있긴 하죠. https://www.youtube.com/user/cdmanii/search?query=%EB%82%98%EC%8A%A4 이 영상들도 보시면 참고가 되실듯해요. 개인적으로는 시놀로지 NAS를 추천하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