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안녕하세요. 대학원 생각하다가 급하게 취업전선에 뛰어든 인문대생입니다..
국어국문학과 4학년 여학생이고 관심있는 세부전공은 형태통사, 의미론 쪽입니다.
운좋게 전공 살려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물론 계약직) 막학기 앞두고 휴학을 결정했어요.
지금은 작은 리서치 회사의 인터넷 부서에서 '자연어처리시스템 개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코퍼스 및 문장생성과 형태소분석, 구문분석을 통해 태깅하는 것이 주로 하는 일인데요.
보조업무자로 알고 들어갔는데 회사가 작아서 그런지 실무자가 되어버렸어요.
알바란 알바는 다해봤지만 사무직은 처음이라 낯선데
신규 프로젝트라 모르면 물어볼 사람도 없고.. 막상 일을 준 곳은 대기업이다보니 부담스럽고ㅠㅠ
그래도 일을 할수록 적성에도 잘 맞고 흥미가 생겨
이 분야로 더 심도 깊게 배워나가고 싶은데 인문대생인 제가 뭐부터 시작해야 좋을지 모르겠어서요.
일단 직무 위주로 찾아본 기업 채용공고 하나를 하단에 제시해두었습니다.
보시면 갖춰야 할 요건이 상당히 많은데 이걸 다 알아야 하는 건지.. ㅎㅎㅎ
지금 여기저기 학원도 알아보고(비x 추천 많이 하던데 괜찮나요) 생활코딩 사이트도 보긴 했는데 전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이런 저를 좀 구제해주실 전문가분들 계신가요?
처음에 뭐부터 시작하면 될까요? C랑 자바, 자료구조 이렇게 시작인건가요..
그리고 혹시 '자연어처리/텍스트마이닝' 분야가 너무 좁다면 이와 관련해서 제가 생각해볼만한
더 넓은? 분야(예를 들어, 빅데이터..)에 대해서도 말씀 들어보고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자연어처리/텍스트마이닝>
1. 수행업무
1) 문장 분석을 하기 위한 전처리 : 문장 경계 인식, 자동 띄어쓰기, 오탈자 교정
- 한국어, 영어에 대한 언어처리 기술 : 문장의 숨은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써,
문장의 경계를 인식하고, 띄어쓰기 오류와 오탈자 교정 작업을 수행한다.
2) 형태소 분석, 품사태깅, 청킹, 구문분석
- 문장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
- 문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의미의 최소 단위인 형태소로 어절들을 분해하고, 분해된 형태소에 정확한 품사를 부착
하며, 의미적으로 연관된 품사에 대해 하나의 덩어리로 묶어 구문분석시의 복잡도를 줄여준다.
3) 언어처리 기술의 응용분야
- 텍스트 마이닝 : 개체명 인식, 개체명 의미 중의성 해소, 개체 관계 추출, 검색어 의도 파악 등
- 기계 번역 : 병렬 코퍼스 자동 구축을 위한 기반 작업, 다국어 문장 분리, 문장 자동 매칭
- 자동 분류기 : 텍스트 기반의 분류기를 개발, 스팸 필터, 문서 분류등에 적용, 사용자 그룹핑 등의 작업을 수행
- 감정 분석 : 언어처리 기반 모듈을 활용한 긍정 부정 분석모듈 개발 및 운영
2. 자격요건
1) 자연어 처리 관련 지식 : 언어처리 관련 개발 경험(형태소 분석기, 태깅, 청킹, 구문분석 등의 개발 경험)
2) 자연어 처리 응용 분야 지식 : SMT, 개체명 인식기, 문서 분류기, 중복 문서 처리기 등의 개발 경험
3) 배경 지식 : 기계학습을 포함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ex> HMM, CRF, Naive Bayesian, SVM, LSH, PLSA, LDA등)
4) 자료구조 : bsearch, qsort, max sort, compact trie, dynamic hash, balanced b-tree 등
5) 개발언어 및 환경 : linux, mysql, C/C++, perl, Python, bash, awk, JNI, packaging, RESTful, JSON 등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