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옵션 |
|
1592년에 일어나 1598년에 끝난 임진왜란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여 일어난 전쟁입니다. 이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은 수많은 백성들이 죽거나 포로로 일본에 잡혀가고 국토가 초토화되는 등 엄청난 타격을 받았고, 그런 만큼 큰 재앙이었던 임진왜란을 미리 예언한 사례도 여럿 있었는데, 이번 항목에서는 그런 경우들을 거론해 보기로 합니다.
먼저 국가공식기록인 1592년 4월 30일자 <선조실록>을 보면, 이런 예언의 내용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의 스승이었던 승려 무학(無學)이 지은 도참기(圖讖記)라는 예언서에 앞으로 일어날 일들이 나와 있는데, 임진년(1592년)에는 ‘악용운근(岳聳雲根) 담공월영(潭空月影) 유무하처거(有無何處去) 무유하처래(無有何處來)’라고 적혀 있었습니다. 이 문구는 임진년이 되면서 시중에 널리 나돌았는데 아무도 그 뜻을 정확하게 풀이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1592년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카가 지휘하는 일본군 선발 부대가 조선의 부산을 공격하면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정에서는 당시 명성이 높던 장수인 신립(申砬 1546~1592년)을 보내어 방어하도록 하였는데 신립은 1592년 4월 28일 지금의 충청북도 충주의 탄금대(彈琴臺)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그가 거느린 군대와 함께 일본군에게 패배하고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런데 무학이 도참기에 언급한 ‘악용운근(岳聳雲根) 담공월영(潭空月影) 유무하처거(有無何處去) 무유하처래(無有何處來)’의 뜻이 바로 탄금대 전투의 패배를 예언한 것이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악(岳)’은 곧 유악강신(維岳降申)’이며, 용(聳)’은 ‘입(立)’의 뜻이며, ‘운근(雲根)’은 곧 돌(石)이니, ‘악용운근(岳聳雲根)’은 ‘신립’이란 말이 됩니다. 또 ‘담공월영(潭空月影)’은 곧 ‘달이 여울에 떨어진 것(月落灘)’이니 ‘물에 빠져 죽는다.’는 말인데, 신립은 탄금대에서 패배하자 강에 몸을 던져 자살했습니다. 그 아래의 구절은 한양의 백성들이 피난을 가고 왜구가 들어온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또한 임진년 1월부터 “자리 봉사 고리 첨정(自利奉事高利僉正), 경기감사 우장직령(京畿監司雨裝直領), 큰달마기(大月乙麻其).”라는 동요가 도성 안에 퍼졌는데, 나중에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그 노래의 뜻을 이렇게 해석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자리고리’는 우리나라(조선)의 방언으로 ‘냄새나고 더럽다.’는 뜻인데 이것은 임진 난리 뒤에 생긴 납속 군공(納粟軍功)을 의미하며, ‘봉사첨정’은 다 낮고 미천함을 의미하니,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 천하고 낮은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공을 세워 벼슬을 받는다는 뜻이다. 또한 ‘큰달마기’는 곧 큰달의 끝인데, 선조 임금이 4월 그믐날에 피난을 떠났으니 그 달이 큰 달이며, ‘경기감사 우장직령’은 경기감사가 우장(비옷)과 직령(도포)을 입고 임금을 따라 피난을 간다는 뜻이다.”
또한 저자를 알 수 없는 조선 말의 야담집인 청구야담(靑邱野談)에도 임진왜란에 관련된 예언이 실려 있습니다. 김윤신(金閏臣)이란 사람이 학자이자 도사인 남사고(南師古 1509~1571년)와 친해서 그의 집에 자주 갔는데, 어느 날은 베옷을 입은 노인 한 명이 있었습니다.
그 노인은 남사고와 미래에 일어날 일들에 대해 의논을 했는데, 노인은 “푸른 옷과 나무신이면 나라의 일을 알 수 있다. 난리가 일어나 임금이 궁궐을 떠날 때에 서쪽 변방에 이른 후에 도성을 다시 회복할 수 있으며, 두 번째는 한강을 건널 일이 없다.”라고 말했고, 남사고는 그 말들에 동의했습니다.
김윤신은 노인이 한 말들을 듣고 처음에는 무슨 뜻인지 몰랐습니다. 그런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선조 임금이 도성을 떠나 조선의 서쪽 변방인 의주로 피난을 간 후에 명나라 군대가 들어와 일본군이 철수하면서 도성은 다시 조선의 영토로 회복되었습니다.
그제야 김윤신은 노인이 임진왜란을 예언했음을 깨닫고,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고 일본군이 다시 쳐들어오자, 선조 임금에게 자신이 남사고의 집에서 본 노인이 한 말을 전해주고 “이제 전하께서 왜군을 피해 한강을 건널 일이 없사옵니다.”라고 풀이해 주었습니다. 과연 그 말대로 명나라 군대와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군을 격파하여 일본군은 진격을 멈추고 남해안으로 철수하였으므로 선조가 두 번째로 한강을 건너 피난을 갈 일은 없었습니다.
1873년 조선 고종 임금 때 서유영(徐有英 1801~1874년)이 쓴 야담집인 금계필담(金溪筆談)에도 마찬가지로 임진왜란에 관련된 유명한 예언이 담겨 있습니다. 신묘년(辛卯年)인 1591년 선조 임금이 어느 날 밤에 잠을 자다가, 여자 한 명이 손에 볏짚을 쥐고서 남대문에서 궁궐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습니다. 그녀가 궁궐로 들어올 때마다 피가 땅으로 잔뜩 흘러 내렸고, 그녀는 하늘이 울리도록 크게 울더니 잠시 후 궁궐에 큰 불이 나서 모조리 잿더미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나중에 선조 임금은 그 꿈이 재앙을 예견한 흉조라고 생각했는데, 다음 해인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사람들은 “일본을 뜻하는 한자 왜(倭)는 벼(禾)와 여자(女)가 들어간 글자이니, 곧 일본이 쳐들어와 궁궐을 불태운다고 하늘이 선조 임금한테 미리 가르쳐 준 것이었다.”라고 풀이했습니다.
출처 | http://blog.daum.net/timur122556/157 |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