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오유 뿐만 아니라 다른 커뮤니티나 심지어 웹툰 댓글도 보고 있으면 각성을 넘어 민주주의를 온전히 이룩하기 위한 확립 단계에
다다른 것 같습니다.
재벌들의 행태에 대해 비판을 넘어 비난하며, 노블리스 오블리주에 대해 토로하고
오뚜기 창업주 함태호 회장의 사회 이바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진정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현했던 유일한 박사까지
일부 재벌 2,3세의 그 양아치와 같은 행태에 대해 손가락질 하며, 그들이 정녕 재벌이라는 타이틀이 어울리가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
돈과 권력이 세상의 전부인양 천박하고 더러운 양아치 같은 행태를 일삼는 일부 재벌 2,3세들은 이 사회의 변화 흐름 속에서
자신들이 얼마나 헛된 삶을 살고 있는지 알게 될거라 봅니다.
정치도 마찬가지인거 같습니다. 정치는 저 멀리 보이는 산, 혹은 구름 같이 느껴졌으나 지금은 시민들이 주도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국민이란 단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습니다. 전체주의에 입각한 단어 같기 때문이죠. 오히려 시민이란 표현이 민주 사회에서
통용되는 단어가 아닐가 싶습니다.
몇달 전에 대학생 두명과 잠시 대화를 한적 있습니다. 정치에 대해 관심도 많고 아는 것도 많았습니다.
집회에 학생들이 많이 참석하는 것이 이질적이지 않고 투표권을 주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세상이 많이 변했습니다.
과거 어른들은 삶의 경험을 토대로 여러 조언을 해주었으나 어린 아이들이 그 말씀을 듣고 뒤돌아서 스마트폰으로 검색을 하는 시대입니다.
방금 하신 저 말씀이 맞는 말씀인지 아니면 좀 더 알아보기 위함으로 말입니다. 나이 많다하여 혹은 자신의 경험이 전부라 생각하며
가벼운 조언을 하기도 쉬운게 아닌 시대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다만 이러한 것에 거부감, 두려움을 같는 부류도 있는거 같습니다. 세상이 변하지 않길 바라는 부류도 있는거 같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살고자 하는 것에 반감을 가지고 있는거라 봅니다.
어차피 세상은 변하고 그것을 수긍하고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가지 말라고 해도 가는 것이 시간이요 세월이니까요.
저도 두려움 반 설렘 반 이지만, 이 변화가 결국은 앞서 말한 것처럼 더 좋은 세상 나은 세상을 만드는 것에 근간이 되고 반석이 되리라 믿고 있습니다.
어릴때는 나보다 중요한 사람이 없고,
나이 들면 나만큼 대단한 사람이 없으며,
늙고 나면 나보다 더 못한 사람이 없다.
돈에 맞춰 일하면 직업이고,
돈을 넘어 일하면 소명이다.
직업으로 일하면 월급을 받고,
소명으로 일하면 선물을 받는다.
칭찬에 익숙하면 비난에 마음이 흔들리고,
대접에 익숙하면 푸대접에 마음이 상한다.
문제는 익숙해져서 길들여진 내 마음이다.
집은 좁아도 같이 살 수 있지만,
사람 속이 좁으면 같이 못 산다.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에 도전하지 않으면,
내 힘으로 갈 수 없는 곳에 이를 수 없다.
사실 나를 넘어서야 이곳을 떠나고,
나를 이겨내야 그곳에 이른다.
갈 만큼 갔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갈 수 있는지 아무도 모르고,
참을 만큼 참았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참을 수 있는지 누구도 모른다.
지옥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미워하면 된다.
천국을 만드는 방법도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사랑하면 된다.
모든 것이 다 가까이에서 시작된다.
상처를 받을 것인지 말 것인지 내가 결정한다.
또 상처를 키울 것인지 말 것인지도 내가 결정한다.
그 사람 행동은 어쩔 수 없지만 반응은 언제나 내 몫이다.
산고를 겪어야 새 생명이 태어나고,
꽃샘추위를 겪어야 봄이 오며,
어둠이 지나야 새벽이 온다.
거칠게 말할수록 거칠어지고,
음란하게 말할수록 음란해지며,
사납게 말할수록 사나워진다.
결국 모든 것이 나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나를 다스려야 뜻을 이룬다.
모든 것은 내 자신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