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1. 기억력
1.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을 보면
우리가 공부하고 10분부터 망각을 시작해
그래서 1시간이 지나면 망각은 50%
1일이 지나면 망각은 70%(=30%기억)
1달이 지나면 망각은 80%가 된댕
2. 우리는 분산학습(꾸준한 복습)을 하면 80%를 기억하고
집중학습(벼락치기)를 하면 20%를 기억해
그니까 제우스처럼 공부하면 시험끝나고
나중에 생각해보면...회상률이 20%라는 거얌
tip
그래서 우리는 암송&복습을 거치는 분산학습을 해야햄
이때, 암송은 스스로 설명하는 거얌
(1)학습 직후 2분의 복습(간단히 쭉 읽기)은 기억력을 2배로 높힌대
- 학습 직후에 사용해서 망각 시작기간(10분)을 늦추는 거얌!
(2)반복적으로 읽기 + 읽고 나서 스스로 설명하기
-대표적으로 유대인들이 공부하는 함부르타 공부법이 있엉
책을 읽고 두명이 마주앉아 왜 그런건지 서로 설명하면서 토의하는거얌!
그래서 유대인 도서관은 디게 시끄러워 ㅠㅠ
우리나라에서 실험을 했는데, 한쪽은 그냥 조용한 독서실이였고
한쪽은 함부르타 공부법으로 했는데 함부르타 공부법으로 공부한 학생들이
점수를 2배 가까이 맞았어!!!!
그 이유는 설명하다보면 자신이 어떤 점이 부족한지 인지하기 때문이랭
(3)손으로 쓰거나 입으로 말하고 행동하는등, 여러 감각이 사용될수록 기억이 오래된댕
-한가지 동작보다 여러 동작을 동시에 하면서 외우라는 고얌
그래서 요즘은 학교에서도 인쇄매체<영상매체<다매체 로 교육하려고 하징
2.기억전략
"최선의 기억은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1. 청킹(의미덩이짓기)
너가 영어단어를 외운다면,
com-으로 시작하는거 묶어 외우고
dis-로 시작하는거 묶어 외우는 등
의미있다고 생각되는 것끼리 묶어 외우는 인지과정!
꼭 영어가 아니더라도 폭 넓게 사용 가능해!
청킹은 단기기억향상에 도움이 된댕!
2이중부호화 이론
시각 저장공간은 청각 저장공간과 같지 않다는 거얌
예를 들면 고양이를 외울때 그냥 고양이란 단어만 외우는 것보다
고양이라는 단어 + 고양이의 생김새를 한번 생각해서 외워
그럼 나중에 고양이를 떠올릴때, 생김새, 단어 둘 중 하나만으로
고양이라는 단어를 인출할 수 있다는 거얌!
구니까 팁(3)번을 쓰라는 거얌
3 조직화
각 조직관계의 상호관계를 구성하는 것!
이건 진짜 오만가지 방법이 있는뎅....
(1)너가 바나나, 텀블러, 호랑이를 외우려고해
근데 청킹이 잘 안된단 말이얌..
그럼 단어 하나하나 외우면 기억이 잘 안나니깐
지나가는 호랑이가 텀블러에 바나나를 넣어 먹는 것을 보았다.
라고 문장을 만들어 외우는거얌!
원래 의미가 없던 단어들을 유의미 하게 만드는 거징
(2) 흔히 보는 마인드맵 & 표도 조직화양
그냥 줄글로보면 길어지고 보기 불편한뎅
보기 편하게 하는거징!
근데 교육심리에서는 마인드맵이나 표도 텍스트와 같아서
학생들이 직접 만드는게 제일 좋다고 보고있어!
블랭크 있지 _ 이거!! 이걸 만들어서 채우는 것도 좋다고 봐 ㅎㅎ
3.기억법
1. 변환법
ㄱ=1 ㄴ=2 ㄷ=3 ㄹ=4 ㅁ=5 ㅂ=6 ㅅ=7 ㅇ=8 ㅈ=9 ㅊ=10
이런식으로 바꿔서 하는거얌
예를 들면 228은 ㄴㄴㅇ 얌
그럼 나니야, 누나야 등으로 외울 수 있겠징
혹은 1897 = 대한제국 선포 라고 외우고 싶어
그럼 ㄱㅇㅈㅅ 지 이러면 겨우존속 이라고 외울 수 있어
대한제국이 겨우 존속했다는 뜻...ㅎ...미안
이로케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징!
2. 결합법
신체나 장소를 이용하는 거얌
실제로 암기대회 챔피언들이 장소법을 가장 많이 쓴다고 해
장소법이란 방에 들어가서 눈에 보이는 사물에 따라 정보를 하나씩 암기하는 거얌
구체적이고 상세하면 더 오래 암기할 수 있대.
신체법은 장소법이랑 똑같은뎀 장소가 아니라 신체를 이용하는거얌
예를 들면 바나나-도넛-가지 를 순서대로 외운다면
눈에는 노란 바나나가 보여요
코는 동그란 도넛을 끼워줘요
입은 추워서 보랏빛 가지
이런식으로 눈-코-입 신체 순서대로 외울 수 있어
3. 심상법
모양이나 그림, 이미지를 이용하는 거얌
곰 =bear 지? 그럼 베어문 곰
지원자 = applicant 지? 그럼 아프리카 간 지원자
이런식으롱!!!
4. 메타인지
인지위의 인지
= 내가 얼마나 아는지를 스스로 아는 것
성찰지능 = 자기자신에 대해 잘 아는 것
25개의 단어를 학생들에게 3초씩 보여주고
몇개를 외웠냐고 물어보는 실험을 했어
상위집단의 학생들과 하위집단의 학생들이
모두 비슷하게 대답을 했어.
그리고 3분후 써보라고 했어.
상위 0.1% 학생들은 모두 자기가 맞췄다고 예상한 문제의 수만큼 써서 맞았고
일반학생들은 자기가 맞췄다고 예상한 문제의 수보다 더 맞거나, 더 틀렸어.
이건 메타인지의 차이야
그리고 함부르크 공부법에서는 메타인지가 정확하게 정립이돼
내가 말을 하다가 막히면 책을 봐야하니까
어디서 모른다는 게 인지가 되는거징
또 다른 실험을 말해줄껭
학원을 다니면 공부를 잘하고 있는 기분이 든다
라는 말에 상위권 학생들은 0%
하위권 학생들은 43%가 그렇다고 대답했어
이건 재학습을 착각하는 거얌
강의시간은 공부시간에 포함되지 않는거지
그럼 교육심리에서 말하는 궁극의 학습법은 뭘까?!
test야
외우고 + 테스트(기억향상) + 기억을 꺼내려는 노력(장기기억향상)
이 세가지가 궁극의 학습법이라고해
계속 반복하고 다독하라는 거지
기억법 사이트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