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12일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전행정위원회·비례대표)이 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센터)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센터는 안전처를 포함해 운영 중인 각 정부 부처 홈페이지 서버에 대한 트래픽 과부하 테스트와 과부하 공격(DDoS)테스트를 단 한 번도 실시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각 정부 부처 홈페이지가 얼마나 많은 접속시도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어떠한 데이터도 확보하고 있지 못했다는 얘기다. 즉 안전처처럼 재난시 접속이 몰릴 수 밖에 없는 재난 주무 부처 홈페이지에 발생할 수많은 접속시도에 대해 어떠한 대비조차 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특히 첫 강진이 있던 지난달 12일 안전처 홈페이지가 과부하로 접속 불능된 이후 센터는 "안전처 홈페이지의 처리용량을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여 최대 80배까지 향상시켰다"고 발표했지만, 이는 허구로 드러났다.
센터는 클라우드 서버 기술이 적용된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서버에 대해 일부 CPU와 RAM자원을 추가 할당했으나, 필수적인 서버 추가를 하지 않았다. 게다가 자원 추가 할당 이후에도 과부하 테스트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센터 측은 ‘80배 성능향상’의 추산 근거를 요구하는 이 의원실 질의에 제대로 답변조차 하지 못했다.
센터는 또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통합 서버를 운영 중이면서도 이를 제대로 활용도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클라우드 서버 기술이란 ‘자원의 실시간 공유’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특정 서비스에 접속시도가 폭증해 서버 증설이 필요할 경우, 타 서비스에 할당된 유휴자원을 해당 서비스로 이관해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국내 최대 구독자의 웹툰 서비스인 레진코믹스는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되는 웹툰 구독 트래픽 대응을 위해 구글의 클라우드 서버 서비스를 사용, 해당 시간대에 자동으로 평상시보다 많은 추가 서버를 할당한다.
그러나 두 차례의 지진에 따른 접속 폭주 과정에서 이 같은 클라우드 서버 기술은 전혀 적용되지 않았다.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해 놓고도, 타 서비스의 유휴자원을 자동으로 필요한 곳에 할당하는 핵심기술인 오토스케일링 기술을 도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상 무늬만 클라우드인 서버를 구축해 필요한 순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와 함께 센터가 운영중인 여타 정부 부처 및 기관 홈페이지의 서버 사양을 확인해보니 접속 불능 사태 이전의 안전처 홈페이지의 경우 서버에 할당된 클라우드 서버 자원은 재난 주무부처의 재난정보제공 홈페이지 서버 사양이라고 하기에는 몹시 민망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61012144302735 |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