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이후 국민의 삶에 어려움이 생겼다는 사실은 해외의 경험을 통해 알 수 있으며 한겨레21은 이에 대해 이렇게 표현했다. 노선은 하나둘 쪼개져 민간회사에 팔렸다. 요금은 서너 배 뛰었지만, 탈선 등 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철도 민영화를 경험했던 일본과 영국, 독일의 전철을 그대로 밟아가는 것이다. 콜센터에 전화를 걸면 "인력이 줄어서 당장 방문할 기사가 없다"고 퉁퉁거릴 뿐이다. 돈 없는 사람한테만 전기가 귀해진 건 아니다. (…)전력산업을 민영화하면 값싸고 풍부한 전기가 공급될 것처럼 선전했지만 다 거짓말이었다. -한겨레 21-
민영화(사유화)는 구의역 김군의 희생을 확장하는 행위입니다.
누가 또 죽어야만 관심을 가질 수 있게된다면 그것이 가족이나 친구,지인이어야 하는건가요?
회사에서 해고 당할 준비가 되셨습니까?
소중한 사람을 잃을 준비가 되셨습니까?
모아둔 것을 털어낼 준비가 되셨습니까?
저들은 준비가 아니라 진행중입니다.
당신의 숨통을 끊어버리기 위한...
어떤일을 결정함에 있어 현실 비현실을 따지지말고 옳고 그름을 따져라
-백범 김구
작품에서 언급되거나 묘사된 인물, 지명, 회사 및 단체, 그밖에 일체의 명칭
그리고 사건과 에피소드등은 모두 허구적으로 창작된 것이며
만일 실제와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이는 우연에 의한 것임을 밝힙니다.
이 이야기(작품)은 픽션입니다.
-창작자의 내용을 보고도 그것이 분명 독자(시청자)들이 사실이라고 공감한다면
여러분들은 그 창작자를 지켜주고 보호해 주셔야합니다.
![idcard.png](http://divisionid.com/c/xl/72295707/idcard.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