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인 2011년 4월8일 서울시청 관계자들이 가락시장에서 일본산 대구의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고 있다. ⓒ 시사저널 이종현 |
"명태·고등어 방사능 검사 철저히 해야" 이윤근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소장 인터뷰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어떻게 문을 열었는가. 정부는 방사능 검사 결과를 방사능 허용 기준치에 따라 적합·부적합 여부만 공개하고 있다. 국민은 실제 어느 정도 검출됐는지 전혀 알 수 없다. 시민방사능감시센터는 직접 방사능을 검사해 먹거리 안전을 위한 정보를 공개하겠다는 생각에서 만들어졌다. 외부에서 의뢰가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시료를 분석하는 경우 100% 정보를 공개할 것이다. 우선 어린이들의 먹거리, 학교 급식, 수산물을 주기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민모니터링단을 구축해 체계적인 활동을 벌일 생각이다. 시민·환경단체에서 방사능 허용 기준치에 대한 문제 제기를 꾸준히 하고 있다. 정부는 허용 기준치 이하에서는 안전하다는 입장인데 어떻게 보는가. 보건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방사성 물질에 안전한 기준이란 없다. 아무리 적은 양의 방사능이라고 해도 무해하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그 기준은 안전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관리를 위해서 설정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정한 세슘 기준치 370Bq/kg은 '내부 피폭'을 기준으로 세운 것이다. 내부 피폭은 섭취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속성이 있다는 점에서 외부 피폭에 비해 피해가 크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00Bq/kg로 기준을 강화했다. 허용 기준치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은 일본에 비해 높다는 것 이외에도 문제가 많다.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들이 있는가. 핵발전소에서 핵분열이 일어나면 거기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의 종류가 100여 가지나 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세슘134·137 외에도 많은 방사성 물질이 쏟아지는데 그중에 세슘과 요오드만 가지고 허용 기준값을 정했다. 또 방사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나이·성별에 따라 다양하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두 배 정도 취약하고 어린이나 유아는 성인에 비해 20배 정도 취약하다. 이는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이후 갑상선암 발생률, 남녀 성비 등을 연구한 여러 논문에서 확인됐다. 현재의 방사능 허용 기준치는 성별·나이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부족하다. 기준치를 조정해야 한다면 어느 정도까지 낮춰야 한다고 보나. 방사능 허용 기준치란 것은 사회적 합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다. 최대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을 수밖에 없다. 이상적인 모델로 이야기되고 있는 것이 독일방사선방호협회가 제안한 수치(성인 Bq/kg, 아동 4Bq/kg)이다. 여기에 유아나 임신부는 0으로 삼아야 한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기준인가.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품이나 수산물 등을 조사해보면 방사능이 높게 검출되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농산물은 거의 검출
식품 섭취를 통한 내부 피폭 피해가 훨씬 크다고 했는데 특히 조심해야 할 식품군이 있나. 회유성 어류가 가장 위험하다. 실제 방사능 검출을 해본 결과 우리나라 고등어에서도 세슘이 검출된 적이 있다. 물론 일본산 고등어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이다. 시중의 우리나라 고등어에선 0.5Bq/kg이 검출된 데 비해 일본산 고등어에선 2Bq/kg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명태, 고등어, 멸치 등을 특히 규제해야 할 식품으로 꼽는다. 이들 어류는 국내산·수입산을 가리지 않고 철저히 검사해야 한다. 표고버섯의 경우 자체적인 특성상 세슘이 검출되고 있다. |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