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비례대표 추천 문제, 전적으로 비대위 책임"
김 대표는 중앙위 파행 이후 비대위를 몇 차례 힐난했다. 그는 지난 21일 인터뷰에서 "비대위원들은 자꾸 날보고 타협을 하라고 하는데, 내가 뭐를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타협을 하느냐"라며 "무슨 목적의식이 있어야지, 타협도 하고 하는건데, 더이상 나를 설득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중앙위가 파행되자 비대위원들이 김 대표에게 무언가를 요구했다는 얘기다.
여기에 이번 사태와 관련해 주목해야할 포인트가 있다. 비대위가 중앙위에 처음 제출한 비례대표 선출안의 문제는 김 대표의 비례대표 순위가 아니다. 일부 비판이 있었지만 당 대표 권한으로 3명을 전략공천 하는 것은 당헌에 보장돼 있다. 논란이 있더라도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후보를 A, B, C 그룹으로 나눠 순위를 정하는 방식이 중앙위 권한을 침해 했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을 밀어붙인 건 김 대표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더민주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일부 비대위원이 당선권 안에서 순위를 정하는 방식을 제시했고, 당헌상 문제가 없다는 유권해석이 나오면서 결정된 안"이라며 "비대위가 최종 의결 했지만 김 대표 생각으로 볼 수 없다. 김 대표는 자신의 권한으로 전략공천 3명을 지정했고, 나머지는 비대위원들의 의견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역시 중앙위 파행 다음 날인 21일 언론 인터뷰에서 "그런 일이 벌어질 것을 내가 그 전에 경고를 했다, 이걸 갖고 중앙위에 순위 정해 달라고 가면 난장판 벌어질거다 그랬는데, 그 사람들(비대위원들)이 괜찮다고 하더라"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그 상황이 그대로 벌어졌다. 그러면 당신네들이 그럼 알아서 하라고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또 "중앙위원회에 가면 난리 날 수밖에 없는데, (비대위원들이) 그걸 각오를 하니까 가져와라 그런 거다"라고 말했다. 결국 중앙위 반발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비대위원들의 뜻대로 그룹별 순위투표 안을 결정했는데, 정작 사달이 나자 비대위원들이 오히려 김 대표를 '설득'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것이 김 대표가 "비대위원들을 100% 신뢰하는게 아니"라고 말한 이유다.
김 대표의 '당무 거부' 상황에서 나온 비대위의 '절충안'도 김 대표를 자극했을 가능성이 크다. 비대위는 지난 21일 김 대표의 비례대표 순위를 2번에서 14번으로 조정하고 그룹별 칸막이를 없애는 대신 7명을 전략공천하는 안을 새로 제출했다. 이종걸 원내대표가 김 대표를 만나 이 같은 안을 설명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곧장 자택으로 돌아와 일절 외부와 접촉을 끊었다.
이와 관련해 비대위의 한 관계자는 "비례대표를 그룹별로 선출하는 안은 비대위에서 경쟁력 있는 인물을 확보하기 위해 내놓은 안인데, 너무 짧은 시간동안 판단을 해야 하다보니까 졸속적으로 됐다"라며 "외부나 중앙위에는 그것이 김 대표의 판단으로 알려지고 비난의 화살이 김 대표에게 쏟아지는 상황이 됐다, 거기서부터 문제가 시작됐다"라고 말했다.
표창원 비대위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남긴 글에서 "비례대표 추천 내용과 방식에 대한 문제는 전적으로 비대위의 책임"이라며 "김 대표께 총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경제민주화를 달성하고 대선 승리에 기여해 주십사 하는 요청이 있었다, 이것이 상위순위 배치로 되는 과정에서 취지가 잘못 알려져 오해와 이로 인한 명예손상이 이루어지게된 것은 저를 포함한 비대위의 잘못"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일부 비대위원이 특정 후보를 당선권에 넣기 위해 무리하게 그룹별 투표 안을 고집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김 대표는 당헌이나 절차에 대해 잘 모를 수밖에 없다, 이를 이용해 이권을 챙기려는 사람이 있었다는 게 문제의 원인"이라며 "당분간 김 대표가 더욱 강하게 이 문제를 제기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2110596 |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