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지구상에 '생명체'의 시작이 '자기복제자'라는 유기물질에서 비롯했던 이유에서,
인간 뿐 아니라 모든 생물체는 자신과 비슷한 무언가가 사회에 존재하기를 바라는 내면적 욕망이 있습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려 자신과 닮은 자손을 번식시키고자 하는 욕망으로 세계에 표출되며 그것이 좌절될 때 생물체는 고독함을 느낍니다.
그런데 인간의 경우에는 좀 더 고차원적인 욕망을 가지게 됩니다. 사유세계를 발달시킨 인간은 자신의 사유와 닮은 사유를 찾고자 합니다. 그것은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 사상에 대해 공감과 이해를 바라는 욕망으로 표출되며, 이 욕망이 좌절될 때 인간은 마찬가지로 고독을 느낍니다.
문제는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유의 세계라는 것은 외부 세계와 완벽하게 단절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한 개인의 감정과 사유에 대해 다른 개인은 100% 완벽한 공감이나 이해를 할 수 없고, 또한 운 좋게 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그 사실을 양쪽 다 100% 확신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인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통의 수단을 발명하고 발전시켰습니다. 덕분에 인간은 다른 생물 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양의 소통의 수단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언어, 문학, 미술, 음악, 패션, 향수, 행위예술 등 현재의 사유나 감정의 파편이라도 담을 수 있는 모든 문화적 요소들은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소통은 여전히 불완전하며 결코 완전해질 수 없는 것이기에, 여전히 타인의 사유나 감정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공감, 이해의 물리적 단절이 인간의 근원적인 고독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친구나 애인과 즐겁게 웃고 떠드는 행복한 어떤 순간에는 은연 중에 감정의 일치를 느끼고 고독이 해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은 고독의 해소가 아니라 잠시 둔감해진 것 뿐입니다. 왜냐하면 그 고독은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들과 나의 유전적, 환경적 차이는 그 순간에도 고독의 형태로 실재하며, 언젠가는 반드시 공감 불가능한 마찰을 만들어낼 것이고, 그 때가 되면 둔감해졌던 고독을 다시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인간은 근원적으로 고독합니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