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 죠죠러가 아니라면 이해가 힘들 수도 있습니다.
※ 혹시나 이걸 읽다가 죠죠의 스포일러를 당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브금은 역시 죠죠 3부의 오프닝곡으로!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mYmh7
스탠드의 자세한 것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모든 이미지 출처는 여기입니다, 오픈소스인 것 같아서요.
http://90sigma.deviantart.com/gallery/?q=Power&offset=0 )
, 제가 파워 포니들을 보고 생각해낸 게 있는데,
만약 이 변신한 파워 포니와 그 조수를 스탠드화 시키면 어떨까 해서 올려봅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동인 설정의 시점은 시즌 4 이후로 잡을겁니다.)
일단 트와일라잇 스파클의 파워 포니 형태인 마스크드 매터혼부터.
스탠드의 이름은 동일하게 마스크드 매터혼으로,
분류는 원격조작형/인간형으로 하고,
역시 고유 능력은 '여러가지 성질을 지닌 광선'을 발사할 수 있다 입니다.
참고로 스탠드화이기 때문에 기존 마법도 쓸 수 있어요.
스탠드 역시 마법의 전도체도 될 수 있게 하고, 자 넘어갑시다.
애플잭의 파워 포니 형태인 미스트리스 메어밸러스(메어밸러스 여사)입니다.
스탠드의 이름은 역시 미스트리스 메어밸러스 여사로 똑같이 해야겠지요.
분류는 근거리 파워형/인간형으로 하고,
이것도 고유 능력인 '본체의 생각대로 움직일 수 있는 마법 밧줄'로요.
(물론 밧줄이 끊어지면 본체인 애플잭이 피해를 입습니다. 하지만 편자 모양의 후프랭은 부서져도 피해가 안가요.)
레리티의 파워 포니 형태인 레이디언스입니다.
스탠드 이름 역시 레이디언스고요.
분류는 근거리 파워형/인간형으로 하고,
능력도 '스탠드의 팔찌를 통해 본체가 생각하는 물건을 구현화'하는 능력입니다.
물건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한 번에 한 종류밖에 만들지 못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건이 파괴되어도 본체인 레리티에게는 전혀 피해가 가지 않습니다.
레인보우 대시의 파워 포니 형태인 잽입니다.
스탠드 이름 역시 잽,
분류는 근거리 파워형/인간형으로,
능력은 '자연의 힘'을 불러오는 겁니다.
하지만 기존 파워포니와의 차이점은 걸려있는 목걸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능력을 쓸 때 목걸이가 빛이 납니다.
핑키 파이의 파워 포니 형태인 필리 세컨드입니다.
스탠드 이름도 역시 필리 세컨드.
분류 역시 근거리 파워형/인간형으로,
능력은 '빛과 비슷하거나 같은 속도'로 움직일수 는 있지만 핑키가 하고 다니는 건...가
하지만 이 능력을 쓰려면 스탠드를 소환해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레퀴엠(죠죠 스포주의)의 형태도 있게 하는데, 이른바 필리 세컨드 레퀴엠.
레퀴엠의 형태는 색상을 빨간색 계열로 바꾸고, 머리카락을 직모로, 후드(?)를 벗고 데드풀과 합친 듯한 모습입니다.
레퀴엠의 특성상 자율형 분류도 추가.
레퀴엠의 능력은, 지정시킨 대상(본체 자신도 포함)을 대상의 수, 위치, 위치된 세계에 따른 정해진 형태(예를 들면은 포니 세계의 핑키가 레퀴엠의 능력을 사용해서 인간 세계의 핑키를 인간 그대로의 형태를 소환하느냐, 아니면 포니의 형태로 소환하느냐를 정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대상과 존재할 수 있느냐의 여부에 제약 없이 원하는 세계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퀘걸에 나온 인간 세계로도 이동시킬 수 있지요. 거울 필요 없다! 만!...세?
본체 자신도 다른 세계로 이동하면 스탠드도 따라서 이동합니다.
레퀴엠에서 원래대로 돌아가면 이동시킨 대상도 원래 세계로 돌아가지요.
따라서 거울로 들어가서 원래 세계로 돌아오지 못한 존재를 레퀴엠으로 영구적으로 돌아오게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그냥 오랫동안 기다려서 거울로 다시 돌아와야지요.
플러터샤이의 파워 포니 형태인 새들 레인저입니다.
스탠드 이름도 역시 새들 레인저.
분류는 근거리 파워형/인간형/자율형으로 합니다.
자율형 스탠드로 본체인 플러터샤이에게 정신적 성장을 돕습니다.
능력은 어레인지를 시켜서 '본체의 감정 에너지를 신체를 강화시키는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개를 강화시켜서 비행 속도를 높이거나, 시력을 강화시켜서 멀리 있는 대상을 본다던가,
다리 혹은 발굽을 강화시켜서 본체의 힘을 분노했을 때보다 더 높일 수 있습니다.
( 출처 : http://www.deviantart.com/art/Flutterhulk-421227653 )
물론 이를 이용해서 플러터헐크로 변하는 것 역시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능력을 쓰기 위해서는 본체인 플러터샤이가 분노를 해야하는 제약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가 스탠드인 새들 레인저가 대신해서 싸우는 식입니다.
그렇지만 플러터샤이가 분노하여 스탠드와 같이 공격을 한다면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파이크의 파워 포니들의 조수....형태인 험드럼입니다.
스탠드의 이름은 역시 험드럼,
발현 과정은 스파이크가 스탠드 구현의 화살에 찔려 죽을 운명이었으나,
트와일라잇이 스탠드의 능력을 이용한 치료 광선으로 살아나게 되어 스탠드를 얻는다는 설정입니다.
처음에는 아무런 능력이 없는 알 모양이었으나, 성정하는 과정에서 3가지 형태와 능력을 얻습니다.
성장한 후에도 이전의 형태로 돌아가 그 능력을 쓸 수는 있지만은, 그 형태에 해당하는 능력만 사용가능합니다.
(이는 히로세 코이치의 스탠드인 에코즈의 설정을 따왔습니다.)
험드럼 Act 1, 험드럼 Act 2의 분류는 원격조작형/동물형(자작 형태).
험드럼 Act 3의 분류는 근거리 파워형/동물형/자율형입니다.
Act 1은 날개가 없는 아기 드래곤의 형태, Act 2는 좀 성장한 듯한 드래곤의 형태에 로빈이 사용하던 E 스틱을 들고 있고, Act 3는 더 성장하고 날개가 생긴 드래곤의 형태에다가 E 스틱을 변형한 삼지창(코믹스에서 보면 스파이크가 삼지창을 쓴 적이 있는데 그걸 반영했습니다.)를 들고 있는 형태입니다.
자율형인 험드럼 Act 3는 본체인 스파이크가 컨트롤을 해주지 않는다면은 실언으로 정보를 유출해버리거나, 실수로 동료들을 위기에 빠뜨려버립니다. 충실한 재현
각 형태별 능력은 험드럼의 원본이 능력이 없어서 그런건지 아직 미정입니다. 그리고 스탠드에 고유한 능력이 없으면 이상하잖아요
이걸로 죠죠에 나오는 스탠드가 등장하는 크로스오버 팬픽을 한번 써 보고 싶군요.
다음은 배경 포니들을 스탠드사로 만들어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