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동생인 근령 씨가 일본 언론과의 대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등 과거사에 대해 일본에 계속 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발언한 사실이 지난달 30일 알려져, 거센 파문을 불렀다.
근령 씨는 일본의 포털사이트인 니코니코와의 특별대담에서 "(과거사와 관련 일본의) 사과에 대해서 자꾸 이야기 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생각으로 얘기를 했다."면서 "천황까지 합해서 네 번이나 공식적으로 사과를 했는데…"라고 일본 측 입장을 적극 두둔했고, 일왕을 ‘천황’으로 격상시켜 부르기까지 했다.
근령 씨는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도 이에 대한 친절한 부연설명을 해줬다. 그는 기자들에게 "전두환 정부 시절, 일본을 방문했을 때 총리보다 훨씬 중요한 천황이 머리를 숙여 사과했는데 왜 총리가 바뀔 때마다 사과하라고 하느냐."고 반문했다. 박씨는 이 과정에서 '천황 폐하'라는 '극존칭'을 쓰기도 한 것으로 알려진다.
근령 씨는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그는 "일본이 제철소도 지어주고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모태가 될 일들을 많이 해줬는데 피해 의식만 갖고 산다면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며 "한일 국교 정상화가 되면서 관계가 정상이 됐는데 이제 와서 과거 문제를 내세워 발목을 잡으면 비정상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미래지향적이지 않다."고 거듭 강변했다.
또한 일본 정치인의 신사참배 문제에 관해서는 "100년 전 조상님이 하신 일이 잘못됐다고 찾아가지 않고 참배도 하지 않겠다는 것은 후손으로서 패륜"이라면서 "한국이 일본의 신사참배에 관여하는 것은 내정간섭"이라고 강변했다. 근령 씨는 지난달 31일 YTN과의 인터뷰에선 박정희 시대를 ‘저희 아버지 정부’ ‘저희 아버지 시대’라고 적극 지칭하기도 했다.
- 후략
임금은 존귀한 존재지만 그보다 더 존귀한 것은 "천하민심"이다. "천하민심"을 얻지 못하는 정권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 - 정도전
언론이 진실을 보도하면 국민들은 빛 속에서 살 것이고, 언론이 권력의 시녀로 전락하면 국민들은 어둠 속에서 살 것이다. - 고 김수환 추기경
정치를 외면한 가장 큰 대가는, 가장 저질스런 인간들에게 지배당한다는 것이다. - 플라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