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찰나로 끝났지만 1968년의 체코의 봄,

그 순간 만큼은 체코슬로바키아의 국민 모두는

자유와 평등이란 이름 아래 행복의 꿈을 키워갔습니다.

스탈린의 붉은 깃발을 앞세운 탱크의 거대한 포 아래 처참히 무너졌어도

드부체크는, 체코 국민들은, 프라하의 봄은 결코 무력에 굴복한 패배자의 이름이 아닌

영원한 민주화와 자유의 상징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그로부터 10여 년 뒤인 1980년…

아시아 동방의 작은 나라에도 여느 때 처럼 봄이 찾아왔습니다.

헌데 그 당시 서울에 찾아왔던 봄이란 녀석은 약간 이상했습니다.

극렬한 레드 컴플렉스에 빠져있던 한반도에,

폭압과 군부, 독재라는 녀석에 짓눌려 민주화의 ㅁ, 자유의 ㅈ자도 빠져나오지 못하던 대한민국에,

1980년에 찾아온 서울의 봄은… 일종의 돌연변이였습니다.

 

 

하긴… 국내 정세가 뒤숭숭하긴 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당한 10.26 사태가 발발했던 때가 바로 전년도였거든요.
'야수의 심정으로 유신의 심장을 쏜' 김재규의 손에 의해 길고 길었던 독재는 막을 내리고
삭막하던 대한민국에도… 그 삭막하던 서울에도 '어쩌면….' 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슬슬 피어오르던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그 기대감은 따사로운 햇살의 봄바람을 타고 대학가를 중심으로 빠르게 꽃가루처럼 흩날려갑니다.

 

대학가의 열정적인 민주화 열망…
그 중심에는 매파라고 불리던 대의원회 회장 유시민이 있었고,
비둘기파라고 불리던 서울대 총학생회장 심재철이 있었습니다.

자유에 대한 열망은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서울대, 이화여대, 연세대, 고려대를 중심으로
서울 부근 대학생들은 피끓는 열기로 민주화를 목놓아 울부짖었고,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이라는 인간은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며 이에 대응합니다.
허나 이같은 특단의 조치에도 그들의 열망은 사그러들 줄 몰랐고, 그 여세의 절정은 1980년 5월 15일로 이어집니다.

 

 

1980년 5월 15일,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던 서울역 광장에 운집한 대학생들의 수는 무려 수십만 명이었습니다.
이들이 모인 목적은 오직 하나, 자유였습니다.
'전두환 사퇴'와 '비상계엄령 해제'를 외치던 그 커다란 에너지는 주위의 시민들조차 감동시키며 흡수시키기에 이르렀고,
4.19 혁명 이후 광복 이래 최대 변혁이 올 지도 모른다는 가슴 벅찬 희열이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피어났습니다.

 

어떤 나라라도 국가 발전의 필수요소는 혁명을 수반한다고 했습니다.
혁명이 바로 앞에 다가온 듯 했습니다.
그것도 그 어떤 정치적 배후 없이 오로지 대학생들의 힘에 의해,
그 젊은이들의 열정에 동화된 시민들의 힘에 의해서 말이죠.

 

이러한 모든 것을 짚어볼 때도 1980년 5월 15일은 절정의 순간이었고
결단의 순간이었으며 역사의 순간이었습니다.
돌이켜보건데 그 날은 대한민국이 독재와 민주화의 경계선에 한 발씩 담근 상태로
어느 한쪽 발만 디디면 정세는 완전히 기울어지는 형국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순간, 당시 대학생 지도부였던 매파 유시민과 비둘기파 심재철의 주장은 둘로 나뉩니다.

 

 

솔직히 처음 예상보다 너무나 많은 수의 인원이 군집했다.
이 많은 인원 수를 통제할 방법은 사실상 전무하다.
이대로 계속 청와대까지 진군하다간 사분오열되어 오히려 더 큰 피해를 볼 지 모른다.
일단 각 학교로 해산한 뒤 체계적인 계획을 세워 다시 진군하자.

 

심재철의 주장이었습니다.

 

 

지금 이 상태에서 해산하는건 자살행위나 다름없다. 여기서 물러나면 모든게 끝난다.
이 많은 인원이 현재 여기서 복귀한다면 신군부는 어떤 보복행위를 할 지 모른다.
결단코 지금 이 자리에서 모든걸 끝내야한다.

 

유시민의 주장이었습니다.

 

허나, 유시민의 발언권은 상대적으로
아니, 절대적으로 총학생회 회장 심재철의 발언권보다 파워가 약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저 많은 이눤을 통제하기엔 결국 어느 한 쪽으로 지도부 세력을 모을 수 밖에 없었고
자연스레 총학생회 회장 쪽으로 주도 분위기는 흘러갔습니다.

 

유시민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심재철은 서울역 광장에 운집한 수십만의 대학생들에게 각 학교로 복귀하길 명합니다.
이것이 한국 근현대사 역사상 가장 통탄할 순간으로 기억되는 서울역 회군이었죠.
뜻이 통하는 몇몇 무리들은 각 학교로 복귀 후에도 철야농성을 하며 시위를 계속했으나
서울역 광장의 그 어마어마했던 물결에 비해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낮은 목소리였습니다.

 

신군부… 이 때를 놓칠리가 없었습니다.
안그래도 눈엣가시였던 대학생들 처리에 골치아팠는데
맨날 한데 모여 있어서 통제도 불가능하고 정말 어쩔 수 없이 계엄령을 확대하고 있던 찰나에
알아서 지 발로 해산해 주시니 가장 신바람 난 건 전두환 일당이었습니다.

 

1980년 5월 17일, 자정을 기해 계엄령은 더욱더 확대되고 전국 대학교에 휴교령을 내립니다.
각 학교를 급습해 눈에 보이는 대학생이란 대학생은 모두 군홧발로 짓밟아 연행합니다.
지도부가 모여있던 이화여대 회의장을 급습해 학생대표들을 연행합니다.

 

그리고………

 

1980년 5월 18일,

 

광주는 고립됩니다.

 

 

계엄령을 선포한 전두환은 군법정에서
문익환, 이문영, 예춘호, 고은, 김상현, 이신범, 이해찬, 조성우, 설훈, 송기원, 이석표씨 등에게 내란음모죄로 실형을 선고.
또 서남동, 김종완, 한승헌, 이해동, 김윤식, 한완상, 유인호, 송건호, 이호철, 이택돈, 김녹영, 김홍일, 김옥두씨 등이 계엄법 위반혐의로 실형 선고…

이 재판에서… 피고인 대부분이 자백내용을 부인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피고인들이 자신들의 자백내용을 전부 부인하는 가운데…
여기서 서울역 회군의 주인공인 심재철씨가… 홀로 자백내용을 죄다 인정해버립니다.

 


그의 공소사실 인정이 가져올 엄청난 결과에 생각이 미치자 방청하고 있던 사람들은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고 합니다.
"너 미쳤어? 너 왜 그래?" 라며 이해찬 전 총리가 울부짖었다고 합니다.
조성우씨도 그의 허위진술에 대해 표효했습니다.

 

그 이후… 민주화 운동 관련자는 변변히 취직도 못하던 그 시절에 관련자중에서도 아예 주인공급인
심재철씨는 초능력을 발휘하여 영어교사-문화방송 기자를 거쳐 국회의원이 됩니다.
유시민씨는 지금도 심재철씨가 그때 그 피해자들에게 사과해야한다고 말합니다.

이 사건 관련자들은 2003년에야 명예회복이 됩니다.

 

…그리고 심재철씨는 최근 CBS와의 인터뷰에서 당시 자신의 선택은 옳았다고 말했습니다.

 

원문 : http://blog.naver.com/pharj?Redirect=Log&logNo=50129825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