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발발 직후 군경에 의해 자행된 보도연맹원 등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특명에 의한 것이라는 증언이 나왔다. 이는 당시 보도연맹원 처형과정에 직접 참여한 헌병대 초급간부의 첫 증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1950년 전쟁발발 당시 헌병대 6사단 상사로 보도연맹원 처형과정에 참여했던 김만식(84, 충북 청주시)씨는 4일 충북도청 기자실에서 열린 회견에서 "6월 27일 경 헌병사령부를 통해 대통령 특명으로 분대장급 이상 지휘관은 명령에 불복하는 부대원을 사형시키고 남로당 계열이나 보도연맹 관계자들을 처형하라는 무전지시를 직접 받았다"고 밝혔다.
그동안 전쟁직후 민간인에 대한 학살이 정부 최상층부로부터 나온 것이라는 추정과 증언이 있었지만 이처럼 "대통령 특명"에 따른 것이라는 증언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김씨는 이날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충북대책위'가 주최한 기자회견을 통해 "보도연맹원으로 끌려가 죽은 사람들 중에는 아주 순박하고 어진 평범한 시민과 농민들이 많았다"며 "하지만 국가명령에 따라 처형집행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당시 헌병대 6사단에 소속돼 (대통령 특명을 받은 다음 날인) 28일 강원도 횡성을 시작으로 원주 등에서 많은 보도연맹원을 처형한 후 충북 충주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이는 보도연맹원에 대한 최초의 집단 학살이 그간 알려진 7월 1일 경기도 이천이었다는 주장을 뒤집는 것이기도 하다.
전쟁직후 최초 보도연맹원 처형은 6월 28일 강원도 횡성그는 "이후 충북 충주(7월 5일)-진천(5일, 조리방죽)-음성(8일, 백마령고개)-청원(9일, 옥녀봉)-청원 오창창고(10일) 등에서 보도연맹 관련자를 처형하고 경북 영주(7월 중순)와 문경(7월 15-16일), 상주(7월 중순)등으로 이동하며 처형했다"고 덧붙였다.
진실화해위원회 측은 김씨에 의해 거론된 해당 지역에서 모두 4700여명의 보도연맹원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 충북대책위 관계자가 전쟁당시 6사단 이동경로 및 보도연맹원 처형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
ⓒ 오마이뉴스 심규상 |
|
미국 육군 소속의 방첩부대(CIC)가 보도연맹원 처형과정에 직접 개입했다는 증언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김씨는 학살집행 과정과 관련해서는 "보도연맹원 소집은 각 경찰서별로 이뤄졌고 CIC(광복 이후 남한 주둔 미군 소속의 정보기관)가 처형여부에 대한 심사를 결정했다"며 "헌병대는 경찰서에서 보도연맹원을 인계받아 연대 헌병대 주관하에 보병과 경찰병력 일부를 지원받아 총살을 집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헌병대 장교가 일부 보도연맹원을 임의로 풀어준 책임을 물어 증평 지서장을 권총으로 총살했다는 보고를 받은 적도 있다"고 덧붙였다.
충북대책위원회 박만순 운영위원장은 "그동안 가해자 측 증언이 부족해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며 "이같은 증언으로 충북지역은 물론 전쟁전후 전국 민간인학살 사건을 밝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북대책위원회는 이날 별도 성명을 통해 "이번 증언은 진실규명운동에 하나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용기 있는 증언에 박수를 보낸다"고 격려했다. 이어 "이제 국가가 회답할 차례"라며 "이를 계기로 또 다른 증언을 낳게 해 진실규명이 더욱 촉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IC(미군 소속의 정보기관)가 처형 여부 심사"이날 공개증언에 나선 김씨는 1948년 헌병대 6사단에 배속된 후 전쟁직후에는 보도연맹원 처형과 관련 강원도 횡성 등 일부 지역의 현장지휘책임자를 맡기도 했다. 또 1950년 7월 대구 다부동 전투에 '육탄결사대' 소대장으로 참전해 전과를 이룬 공로로 헌병대에서는 처음으로 '을지무공훈장'을 받았다. 그는 1956년 육군대위로 예편해 대한무공수훈자회 초대충북지부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다음은 김씨가 이날 기자회견과 충북대책위를 통해 밝힌 주요 증언 내용.
- 보도연맹원에 대한 처형은 어떤 경로로 이루어졌나?"6월 27일 경 헌병사령부를 통해 대통령 특명으로 분대장급 이상 지휘관은 명령에 불복하는 부대원을 사형시키고 남로당 계열 및 보도연맹 관계자들을 처형하라는 무전지시를 직접 받았다."
- 당시 왜 보도연맹원에 대한 처형명령이 내려졌다고 생각하나?"국군에 대한 정보가 보도연맹원을 통해 북의 인민사령부에 보고돼 군이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남로당원들이 보도연맹에 많이 가입한 것으로 안다. 하지만 농지 무상분배 등 혜택을 받기 위해 아주 순박하고 어진 평범한 시민, 농민들이 많이 가입했다."
| |
|
▲ 김만식씨가 공개 증언에 앞서 양손을 모으고 생각에 잠겨 있다. |
|
ⓒ 오마이뉴스 심규상 |
- 소속돼 있던 6사단의 경우 보도연맹원 처형에 어떻게 관여했나."28일 강원도 횡성을 시작으로 원주 등에서 많은 보도연맹원을 처형한 후 충북 충주로 이동했다. 이후 충북 충주(7월 5일)-진천(5일, 조리방죽)-음성(8일, 백마령고개)-청원(9일,옥녀봉)-청원 오창창고(10일) 등에서 보도연맹 관련자를 처형하고 문경을 거쳐 경북 영주(7월 중순)와 문경(7월 15-16일), 상주(7월 중순)등으로 이동하며 처형을 계속했다. 일부 지역의 경우 소총으로 안돼 기관총으로 일제 사격을 하기도 했다."
- 전쟁이 일어나자마자 곧바로 작전에 투여됐다는 얘긴가?"특별한 사정이 있다. 다른 사단의 경우 6ㆍ25때 모두 휴가를 간 상태였다. 하지만 6사단의 경우 한 소속원이 월북해 6사단 2연대, 7연대, 19연대가 휴가도 못가고 비상경비태세에 있었다."
- 처형 과정에서 다른 기관과 CIC역할은 무엇이었나."민간계통에서 보도연맹원 신청과 등록을 받았다. 이후 전쟁이 나자 각 경찰서별로 보도연맹원을 소집했다. 심사는 CIC가 했다. AㆍBㆍC급으로 나눠 AㆍB급은 모두 총살하고 C급은 설득시켜 군대로 보냈고 여자들은 훈방 후 요시찰 대상이 됐다. 헌병대의 경우 경찰서에서 보도연맹원을 인계받아 연대 헌병대 주관하에 보병과 경찰병력 일부를 지원받아 총살을 집행했다."
- 경찰서 인계당시 신분장을 넘겨 받았나?"그런 거 없었다. 그냥 경찰서에서 몇 명이다 하면 대충 숫자만 파악해 인계받았다. 강원도 원주비행장의 경우 상황이 급해서 구덩이도 파지 않고 총살 후 곧바로 이동했다."
- 충북 오창 사건도 6사단이 벌인 일인가."그렇다. 6사단 19연대가 맡았다."
- 옥녀봉(충북) 사건은 어떤가?"6사단 7연대가 나갔다. 당시 증평에서 소집한 보도연맹원 일부를 지서장이 풀어줘 헌병대 장교가 증평 지서장을 권총으로 총살했다는 보고를 받은 적도 있다."
- 경북 영주사건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있나."6사단 19연대가 이동한 지역이지만 직접 참여하지 않아 잘 모른다. 다만 영주경찰서에서 트럭에 의해 실려온 보도연맹원들을 영주와 문경 사이 큰 개울옆 야산에서 총살한 것으로 알고 있다."
- 청주형무소나 대전형무소 등 재소자 처형건에 대해 당시 들은 얘기가 있다면? "들은 바도 없고 잘 모른다."
그리고 아래는 보도연맹 학살에 관련된 사진들입니다.
이 글은 제가 예전에 올린 글과 함께 보시면 더욱 이해가 쉽습니다.
그들은 보도연맹학살을 포함하여 한국전쟁 와중에 정부에 의해서 억울하게 학살당한 백만 명의 민간인들은 안중에도 없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