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979269서울지하철 9호선 929정거장 명칭으로 결정된 봉은사가 과거 ‘일본군 전몰장병 충령탑’을 설치하고 중일전쟁 승리를 기원하는 법회를 여는 등 일제 식민통치를 정당화한 대표적 친일 공간(표 참조)이었던 것으로 국민일보 취재결과 밝혀졌다. 서울시는 봉은사를 역명으로 확정·고시하면서 ‘역사성 있는 봉은사가 적정하다’고 해명자료를 내놨지만 역사성의 근거가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서울시, 일제 식민통치를 정당화시킨 대표적 공간을 역명으로 확정=불교는 개신교나 천도교와 달리 일찍부터 식민지배 체제에 편입됐다. 조선총독부는 불교계를 포섭·통제하기 위해 1911년 사찰령을 제정하고 31개 본산을 중심으로 1500개 사찰, 7000여명의 승려를 통제했다. 봉은사 범어사 통도사 등 본산의 주지는 조선총독부 총독의 승인을 얻어야만 취임할 수 있었으며, 본산이 지역 말사를 모두 관리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당시 불교는 자연스럽게 식민권력의 통제 아래 놓였다.
봉은사는 서울과 경기도 광주·시흥·고양·여주·이천에 있는 82개 사찰과 암자를 말사로 관리해 31개 본산 중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사찰로 손꼽혔다. 1912년부터 45년까지 봉은사 주지를 지낸 승려는 나청호 김상숙 강성인 홍태욱으로 이들 4명의 이름은 불교계에서 출간한 ‘친일승려 108인’(임혜봉)에 나올 정도로 대표적 친일인사였다. 특히 강성인과 홍태욱은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에 등재될 만큼 친일에 앞장섰던 승려다. 이들은 창씨개명도 했다.
◇30년대부터 친일행사 본격적으로 개최, 일제의 민중 정신개조·전쟁승리 기원=봉은사에서 친일행사가 본격적으로 열린 것은 일제가 무력통치를 강화한 30년대부터다. 34∼40년 봉은사 주지였던 강성인 승려는 우가키 조선총독부 총독이 주장한 심전개발운동(心田開發運動)을 전 조선 불교도가 적극 협력하도록 35년 7월 심전개발사업촉진발기대회를 개최했다. 이 운동은 ‘조선 민중을 일제 통치에 협력하도록 순화시킨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봉은사에선 중일전쟁의 승리를 위해 ‘국위선양 무운장구 기원제’를 2차례 개최했다. 봉은사는 그해 8월 임시 본·말사 평의원회를 열고 일본군을 후원하는 방안을 토의했고, 봉은사 명의로 9월 국방헌금과 출정 장병 위문금을, 12월 북지황군(北支皇軍) 위문금을 200원씩 냈다. 38년에도 국방헌금과 위문금으로 총 1016원을 냈다. 당시 노동자 1년치 연봉은 130원가량 된다. 38년 7월에는 승려와 신도 100명을 모아 ‘지나사변 1주년 전몰장병 추도법요’를 열었다. 일본은 중일전쟁을 ‘지나사변’으로 부른다. 39년에는 일왕 생일인 천장절(天長節)도 지켰다.
40∼45년 봉은사 주지였던 홍태욱 승려는 일제 강점기에 주지를 맡았던 4명의 승려 중 친일에 가장 앞장섰다. 그는 41년 봉은사에 소속된 신도 3만명과 ‘일본군 전몰장병 충혼위령제 및 수륙제’를 거행했고, ‘중일전쟁 4주년 기념법회’ 등도 개최했다. 본·말사를 동원해 일장기가 그려진 부채 2000개를 위문품으로 보내는 운동을 전개했고 일제 침략전쟁용 무기를 만들기 위해 철제류 수집·헌납도 결의했다. 봉은사는 43년 ‘일본군 전몰장병 충령탑’ 공사에 들어갔으며, 광복 2개월 전인 6월 제막식을 거행했다. 이곳에선 전몰장병의 명복을 비는 천도제 등이 열렸다.
◇서울시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결정했다”며 ‘역사성’ 답변 못해=나청호 김상숙 승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친일에 적극 가담했다. 나청호 승려는 1914년 일본 왕비인 쇼켄의 추모식을 개최했다. 1917년 일본 시찰 때 일왕을 요배했으며,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직접 찾아가 선물을 주는 등 친일행위를 했다. 데라우치는 제3대 조선통감으로 한일병합을 성사시킨 인물이다. 김상숙 승려는 조선총독부로부터 유창한 일본어 실력을 인정받아 주지가 된 인사로 데라우치 등 일제 핵심인사의 통역을 맡았다.
이 런 역사적 사실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봉은사역 역명제정관련 해명자료'를 내놓고 "서울시지명위원회가 역사성 있는 봉은사역이 적정하다고 심의했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지명위에는 행정1부시장을 포함한 서울시 인사 2명과 역사학자 향토사학자 교통학자 국문학자 등 외부 전문가 8명이 참여한다. 국민일보는 서울시가 주장하는 역사성이 무엇을 뜻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에 서울시지명위원 명단과 회의록을 요구했으나 "위원회의 독립성과 관련된 부분이라 알려 줄 수 없다"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행됐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김인환 서울시 강남교구협의회장은 "박원순 시장은 과거 대표적인 친일 종교시설이었던 사찰의 미래위원장을 맡았고 그곳 이름을 강남과 서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역명으로 확정·고시했다. 박 시장의 역사관은 도대체 뭐냐"면서 "이건 종교 이전에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다. 서울시장 퇴진운동을 벌이기 전에 역명부터 당장 바꾸라"고 촉구했다.
-------
뭔, 신라시대부터 있던 사찰에 친일의혹 같은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시는 건지...-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