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5월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광우병과 쇠고기의 안전성’` 토론회에서 우희종 교수(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토론을 하고 있다. |
서울대 우희종 교수, 변형프리온 연구 변변히 한 적 없는 비전문가 주장 제기돼
광우병을 유발하는 인자인 변형프리온 연구 분야에서 국내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50) 교수가 변형프리온 연구를 변변히 한 적이 없으며, 광우병 전문가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청와대도 이 같은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 교수는 각종 언론매체와의 인터뷰 및 간담회에서 “30개월령에 대한 어떤 기준을 정하고 그것을 단순히 치아로 판별하는 것은 무리다” “광우병위험물질(SRM)은 소장 전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해온, 광우병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이다.
‘주간동아’가 취재한 결과 우 교수의 이름으로 게재된 국내 학술지 16건, 도서 3건에서 광우병 관련 연구는 한 건도 찾을 수 없었다. 면역학을 전공한 우 교수는 최근 ‘복잡계 이론으로 본 생명과 깨달음의 구조’(2007) ‘생명이란 무엇인가’(2007) 등 광우병과는 관련 없는 내용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2007년까지 발표 논문 중 광우병 관련 연구논문 한 건도 없어
우 교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의 연구용역을 받아 프리온 관련 연구를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두 차례 실시했다. 그러나 이 연구들도 광우병과 무관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식약청이 의뢰한 연구는 ‘광우병의 생체 조기진단 기법 개발’인데, 우 교수가 내놓은 결과는 정상적인 프리온으로 한 연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2차년도의 연구내용에 포함된 ‘병원성 프리온 특이항체 확보’ 사항은 수행조차 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식약청은 이미 진행된 우 교수의 연구가 애초 목적과 맞지 않는 데다, 연구 결과 제출도 늦어져 연구지체금 480만원을 납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식약청 국립독성과학원 우기봉 과장은 “(우 교수가) 계속 납부를 거부하면 서울대에 준 다른 연구지원금과 상계해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광우병 전문가는 “우 교수가 언론 등에서 한 광우병 관련 발언은 수의학과 교수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원론적인 내용이다. 비전문가의 주장이 전문가의 견해로 왜곡돼 사회에 전달되고 있다. 그는 왜 광우병이 위험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위험만 부풀렸다”고 비판했다.
우 교수는 이에 대해 “나 스스로 광우병 전문가라고 말한 적이 없다. 수의학과 교수가 말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왜 전문가라는 사람들은 그동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나? (전문가 여부를 운위하는 건 나에 대한) 흠집내기에 불과하다. 광우병에 대해선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 국내에서는 프리온 연구 상황이 매우 열악하기에 실제 연구하는 것만으로도 전문가로서 발언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또한 “(내가) 지도교수로 참여한 후학의 학위논문 및 식약청 보고서를 제외하고, 지난해까지 광우병 관련 연구 논문을 정식으로 발표한 적이 없는 건 맞다. 하지만 올해 3월에는 미국 켄터키대학의 류종석 박사와 함께 프리온에 관한 연구논문을 마무리했다. 그 이전에 관련 논문을 제출하지 않았다고 연구까지 안 한 건 아니다. 나는 2004년 이후부터 국내외 학회에 프리온 관련 내용을 9차례 발표한 적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우 교수는 광우병 파문으로 촉발한 이번 촛불집회의 주최로 알려진 광우병국민대책회의의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