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닷컴
결혼 후 맞벌이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남성이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수입은 자신의 절반, 가사 분담률은 ‘여성 6: 남성 4’ 비율을 원하는 반면, 여성은 배우자에게 자신의 수입 두 배를 희망하고 가사는 반반씩 분담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커플예감 필링유가 공동으로 미혼 남녀 528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맞벌이를 할 경우 배우자의 수입은 본인 대비 어느 수준이면 될까요?’라는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질문에 대해 남성 응답자는 31.4%가 ‘절반’이라고 답해 가장 많았다. 이어 ‘60%’ (23.9%), ‘80%’(20.1%), ‘1/3 이하’ (11.4%), ‘비슷하게 (9.1%)’ 순으로 대답했다.
여성은 ‘두 배’라는 대답이 27.3%로 가장 높아 남성과 대조를 이뤘다. 이 같은 결과는 결혼 후 남녀 수입에 대해 남녀가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답은 ‘1.5배’ (22.0%), ‘1.7배’ (19.7%)순이었으며 ‘3배 이상’도 16.7%에 달했다.
한 결혼정보업체 관계자는 “여성의 사회 진출과 활동이 급증하고 있지만 지위나 역할 측면에서는 아직 남성에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결혼 후 맞벌이 시 가사는 여성과 남성이 어떤 비율로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할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남녀가 차이를 보였다.
질문에 남성의 32.6%가 여성과 남성이 ‘6:4’ 의 비율로 가사를 분담해야 한다고 대답해 가장 높았다. 그 뒤로 ‘수입에 따라 적절히 조절’ (24.2%), ‘8:2’ (19.7%)순이었으며 반반씩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은 14.0%였다.
반면 여성은 부부가 반반씩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무려 40.2%였다. 이어 ‘6:4’가 23.9%, ‘수입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는 대답이 18.6%였고 ‘8:2’ 분담도 14.4%를 기록했다.
결혼 후 맞벌이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남성이 배우자에게 기대하는 수입은 자신의 절반, 가사 분담률은 ‘여성 6: 남성 4’ 비율을 원하는 반면, 여성은 배우자에게 자신의 수입 두 배를 희망하고 가사는 반반씩 분담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커플예감 필링유가 공동으로 미혼 남녀 528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맞벌이를 할 경우 배우자의 수입은 본인 대비 어느 수준이면 될까요?’라는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질문에 대해 남성 응답자는 31.4%가 ‘절반’이라고 답해 가장 많았다. 이어 ‘60%’ (23.9%), ‘80%’(20.1%), ‘1/3 이하’ (11.4%), ‘비슷하게 (9.1%)’ 순으로 대답했다.
여성은 ‘두 배’라는 대답이 27.3%로 가장 높아 남성과 대조를 이뤘다. 이 같은 결과는 결혼 후 남녀 수입에 대해 남녀가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답은 ‘1.5배’ (22.0%), ‘1.7배’ (19.7%)순이었으며 ‘3배 이상’도 16.7%에 달했다.
한 결혼정보업체 관계자는 “여성의 사회 진출과 활동이 급증하고 있지만 지위나 역할 측면에서는 아직 남성에 못 미치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결혼 후 맞벌이 시 가사는 여성과 남성이 어떤 비율로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할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남녀가 차이를 보였다.
질문에 남성의 32.6%가 여성과 남성이 ‘6:4’ 의 비율로 가사를 분담해야 한다고 대답해 가장 높았다. 그 뒤로 ‘수입에 따라 적절히 조절’ (24.2%), ‘8:2’ (19.7%)순이었으며 반반씩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은 14.0%였다.
반면 여성은 부부가 반반씩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무려 40.2%였다. 이어 ‘6:4’가 23.9%, ‘수입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는 대답이 18.6%였고 ‘8:2’ 분담도 14.4%를 기록했다.
양성평등을 얘기할려면
그전에 남자가 여자를 책임져줘야하고
남자는 무조건 여자도와줘야하는
남자는 강자 여자는 약자식의 봉건적인 마인드부터 뜯어고쳐라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