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한반도 비핵화’를 ‘북한 비핵화’로 말하는 것은 ‘파리’를 ‘독수리’라고 말하는 것!
- 아전인수식으로 한중 정상회담 ‘뻥튀기’ 말아야!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과 관련하여 청와대가 사실을 왜곡하고, 아전인수식 해석을 하고 있다. 또다시 패션외교로만 그칠 것을 우려하여 성과를 확대하고 싶은 것이 청와대 심정이겠지만 사실을 왜곡해서는 안됀다.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비핵화’는 해석의 차이가 아니라 엄연히 다른 입장이다. 중국이 그것이 모를리 없고, 민감한 시기에 양국의 정상회담이기 때문에 그 어느때보다 말 하나, 글자 하나에 신중을 기할 수 밖에 없다. 중국이 끝까지 ‘한반도 비핵화’를 고집한 것을 ‘북한 비핵화’로 해석하는 것은 사실을 왜곡하는 저열한 짓일 뿐이다.
아래 두 기사의 차이다.
- 첫 번째 기사는 청와대의 바램이자, 아전인수식 해석일 뿐이다.
- 두 번째 기사는 중국의 입장을 통해서 청와대의 해석이 얼마나 황당한지 보여주고 있다.
< 청와대는 27일 박근혜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한중정상회담에서 채택한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과 관련해 "그동안 전례에 비춰볼 때 가장 진일보한 한반도 관련 문안"이라고 자평했다.
청와대는 이날 정상회담 뒤 배포한 자료에서 "북한 핵(核) 불용(不用) 입장과 우리의 대북(對北) 정책에 대한 중국 측 지지를 확보했다는 점이 이번 성명의 가장 큰 의의"라며 이 같이 밝혔다.>
- 프레스바이플 6/28 장용석 기자
<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27일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는 ‘북핵불용’ 문구가 명시되지 못했다. 공동성명은 ‘한반도 비핵화’가 양국의 공동이익이라는 데 인식하면서도 북핵불용만으로 못 박지 않겠다는 중국의 입장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당초 이번 회담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중국의 경고 메시지 수위에 관심이 모아졌다. 하지만 중국은 북핵 문제에 대해서는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두 정상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북한의 핵보유는 용인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발언했다.
반면 시 주석은 “양측은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는 것을 견지하고,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견지하고, 대화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견지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북핵 불용에 대한 명시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를 두고 중국이 북한을 직접 겨냥하는 데 부담을 느꼈을 거란 관측이 나온다. >
- 이투데이 6/28 임유진 기자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