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로 폰타나(Niccolo Fontana), aka 타르탈리아(Tartaglia). 16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
평화주의자였지만 베네치아가 오스만투르크의 위협을 받자 포병의 명중률을 올리기 위해 탄도수학을 개척함. 이전까지는 포탄이 완벽하게 직선으로 움직이다가 수직으로 떨어진다고 생각하였으나 사실은 포물선 궤도를 따른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함.
하지만 탄도학 관련 작업에 죄책감을 느끼며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그것은 비난받아 마땅한 짓이었다네. 부끄럽도고 야만적인 일이었지. 하나님과 인간 앞에 가혹한 형벌을 받아도 할 말이 없는 일을 한 거야. 누가 될지도 모르는 이웃에게 고통을 주고 인류 전체에게 해를 입히는 완벽한 기술을 소망하다니 말일세."
로베르트 오펜하이머(Robert Oppenheimer). 20세기 미국의 물리학자
맨해튼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후 핵무기 개발에 연루된 과학자들을 '피묻은 손'을 가진 사람들이라 부르며 죄책감에 시달림. 미국이 수소폭탄 개발에 착수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한 로비에 나섬. 이 이유로 군사당국으로부터 의사 결정 과정에서 배제되고, 안보상 위험 인물로 낙인받아 일반자문위원회 위원장에서 해임됨.
이후 응용물리학에 관한 일체의 작업을 중단함
안드레이 사하로프(Andrei Sakharov). 20세기 소련의 물리학자
1953년 소련의 첫 수소폭탄 실험을 성공시켜 훈장을 받고 이후 2개의 훈장을 더 수여받아 특권 계급으로 분류되었으나 소련의 과학계가 도덕적인 망각 속에 방황한다고 생각함. 방사능 낙진의 위험성을 홍보하며 지상 핵무기 폭발 실험에 반대하였으나 책임자에게 거절당함.
이후로 지상 핵무기 폭발 실험 금지 및 핵무기 생산 공장의 해체를 주장하는 운동을 시작하여 모든 특권을 박탈당한 후 극빈층으로 추락함. 이후 197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으나 1980년 소련 당국에 체포되어 추방당함.
표트르 카피차(Pyotr Kapitsa). 20세기 소련의 물리학자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원자폭탄 개발팀에 소속됨. 스탈린이 핵무기 개발에 대한 충성심과 열정에 의심이 된다며 과학자들을 숙청하자 이에 반발하여 프로젝트를 하차한다고 반발.
이후 핵무기 관련 작업에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함. 그간의 모든 지위와 특권을 박탈당하고 가택에 연금당함.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20세기 독일의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은 전쟁과 관련된 모든 연구를 거부하는 이상적 평화주의자였음. 1932년, 물리학 연구소에 부임한 신임 국장은 현대 물리학이 '유대인의 도구'라며 비난함. 나치에 심취한 독일 교수들은 상대성이론이 비과학적이며 철저히 틀린 이론이라는 성명서를 발표함. 이에 같은 해에 독일을 탈출하여 미국으로 망명함.
독일보다 먼저 원자폭탄을 만들어야 한다는 탄원서를 미국 정부에 제출함
프리츠 하버(Fritz Haber). 20세기 독일의 화학자
공중질소고정법으로 비료를 대량생산하여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유대인이었으나 이후로는 독일의 군사과학자로 활약. 참호전에서 참호 속 병사를 살상하기 위해 염소가스와 포스겐(phosgene), 이페리트(yperite) 독가스를 개발함.
절친이었던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평화주의자로서 하버를 비난했으나 하버는 자신의 입장을 바꾸지 않았음. 하버의 아내는 하버에게 아인슈타인의 조언을 따르라고 간청하나 하버가 마음을 돌리지 않자 자살함.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20세기 독일의 물리학자
독일군을 찾아가 원자폭탄 개발팀의 리더를 자청함. 하지만 핵 연쇄반응에 필요한 임계질량을 과다 계산하고, 폭탄 제조에 원자로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고, 폭탄 제조를 위한 기술 및 공학적 측면을 무시함.
이후 영국의 첩보부대에 붙잡혀 영국으로 압송된 후 억류되어 관련 정보를 제공함
트로핌 리센코(Trofim Lysenko). 20세기 소련의 생물학자
스탈린의 총애를 받아 소련의 농업 유전학의 책임자가 됨. 용불용설에 기반을 둔 유전학을 신봉하며 멘델의 유전학을 부정함. 자신과 반대되는 과학자들을 숙청하고, 자신의 이론과 실험에 기반을 둔 품종개량을 고집하여 소련을 식량수출국에서 식량수입국으로 붕괴시킴.
하인리히 힘러(Heinrich Himmler). 20세기 독일의 SS 전국지도자(농업학 전공)
나치의 SS 전국지도자로서 유대인 학살을 주도한 최고책임자. 고도에 따른 인체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감압실과 죄수를 사용한 인체실험 및 저체온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겨울에 물탱크와 죄수를 이용한 인체실험을 시행.
80명의 수감자들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평생 불구가 됨
이시이 시로(石全四郞). 20세기 일본의 세균학자
전쟁터의 질병 감소 문제를 해결하여 일본의 전염병학 수준을 끌어올림. 이후 생화학병기 연구를 위해 독소와 미생물의 방사 체계들과 더불어 이의 제조를 위해 포로를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시행.
1940년 세계 최초로 대량살살용 생화학 무기를 개발하여 선페스트를에 감염된 벼룩으로 중국의 4,000 명 마을 주민을 몰살함. 오키나와를 침공한 미군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병원군 폭탄 투하를 주장함.
페이퍼클립 작전(Operation Paperclip)
미국이 2차 세계대전에서 1 만 명의 공학 및 이학박사 소지자들을 잃은 후, 냉전에서 과학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포로로 잡은 과학 인재들을 활용하여 미국 과학을 신속하게 재건하는 목적을 수행한 프로젝트. 문서 조작을 통해 과학자들을 빼돌리는 공작을 시행함.
독일의 감압실험 관련자인 위베르투스 스트럭홀트(Hubertus Strughold)를 포섭하여 미 공군 및 우주 비행 프로그램에 활용함. 이후 스트럭홀트는 '우주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미 공군 항공의학 학교장으로 발탁됨.
독일의 V-2 프로그램 책임자이자 강제노동자들의 비인간적인 대우를 지시한 아르투르 루돌프(Arthur Rudolph)를 영입하여 새턴 로켓 개발에 활용함
포로를 상대로 인체실험을 시행한 일본의 마루타부대 책임자인 이시이 시로 박사와, 강제수용소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시행한 나치의 미생물학자 발터 슈라이버(Walter Schreiber)를 영입하여 생화학전 프로그램(C.B.W.)에 활용함.
이시이 시로의 인체실험 기록을 은닉하여 전범 재판에서 제외시킴. 슈라이버의 기록을 삭제하여 C.B.W.에 활용한 후 파라과이로의 이민을 주선함.
페이퍼클립 작전이 참 소름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