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결론 잘 보았습니다. 국세청 기록으로도 이명박 정부 이후 간접세가 증가하였다고 나오고 있죠
간접세 비율이 2007년 47프로에서 2010년에는 52프로까지 올랐으니까요 (http://news.donga.com/3/all/20110213/34792291/1)
그런데 간접세라는건 계층에 상관없이 소비에 의해서 내는 세금 아닙니까?
아까 이명박 정부 그래프에서는 하위소득계층의 세금이 간접세의 상승으로 크게 증가했다면 거기에는
물가상승탓도 있겠지만 소비가 활성화 됐다는거 아닌가요? 간접세는 소비에 의해서 내는 세금들이니까요
따라서 소비가 활성화됐다면 그에 따른 소득이 있었기에 소비가 활성화가 됐다는 추론까지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