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computer_342288
    작성자 : SWEV
    추천 : 18
    조회수 : 2873
    IP : 1.228.***.83
    댓글 : 112개
    등록시간 : 2017/05/02 11:13:14
    http://todayhumor.com/?computer_342288 모바일
    2017년 5월, 이달의 추천 견적(30~200만원까지)
    옵션
    • 창작글
    • 본인삭제금지

    블로그의 글을 그대로 가져와서 경어가 생략되어 있는 점은 양해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이 글의 모든 내용과 이미지는 외부로부터의 펌 가공 영리적 목적 이용 등등 모든것이 자유롭습니다. 퍼다가 어디 나르시든 욕을 하시든 갖다가 밥벌이에 쓰시든 일절 저는 신경쓰지 않으니 마음껏 내키는대로 이용해주세요. 더 나은 견적을 위한 토론이나 의견교환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원래대로라면 2월 즈음엔 견적을 새로 뽑을 생각이었다. 그런데 원래대로라면 작년 겨울에 나왔어야 할 라이젠이 올 봄이 다 되어서야 나왔고, 그나마도 최상위 라인업만 먼저 출시되었기에 견적을 짜기에 애매했다. 다행히도 라이젠은 기대대로 잘 나온 CPU였고 기다린 보람이 있다는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달 견적 부터는 라이젠 위주의 견적이 들어간다. 당장 눈앞의 게임 성능은 인텔이 조금 더 나은 편이 맞다. 그러나 컴퓨터는 게임기로만 쓰일 물건이 아니기도 하고, CPU의 전체성능이 높은 쪽이 더 긴 수명을 가졌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기 때문이다. 켄츠 할배는 있어도, 울프 할배는 없듯이 더 나은 쓰루풋 성능은 더 긴 수명을 보장한다. 컴퓨터의 교체주기가 예전의 2~3년에서 5년 이상으로 늘어난 지금, 일정 수준 이상의 레이턴시 성능만 보장된다면 쓰루풋 성능에 더 무게를 두는 쪽이 대다수의 소비자에겐 옳을 것이다.


    CPU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의 선정 기준은 그렇게 복잡하지 않다. 문제를 덜 일으키는 회사. 이 한 마디면 충분히 설명이 된다. 설계상 실수를 해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회사 자체가 도덕성 문제를 일으킨 전례가 있는 경우는 가능하면 쓰지 않았다. 애즈락이나 ECS 마더보드는 내구성이 동 가격대의 다른 제조사들에 비해서 경험상 너무 모자라서 전자의 경우에 해당할테고, 소비자를 우습게 아는 MSI나 삼성전자의 제품들은 후자에 해당할 것이다. 딱히 내가 정의로워서 비도덕한 회사를 거르는 것이 아니다. 물건 사면서 대체제가 없다는 표현에 지친 사람들에게 이런 선택지도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


    가장 안전한 견적이 무엇인지 매번 고민하고 있다. 조립을 하거나 실제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소한 문제들은 사용자를 피곤하게 만든다. 그런 일들을 최대한 피하려면 어떤 회사와 제품을 골라야 할지, 나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그렇기에 유행과 별 관계가 없는 견적이 될 것이다. 최근에 유행하는 게이밍 하드웨어들처럼 LED가 번쩍거리는 제품들은 내 취향과 맞지도 않거니와 시스템의 내구성이나 신뢰도와는 별 관계가 없기도 하다. 나는 그저 오랜 시간동안 탈없이 쓸 PC를 만들고 싶다. 그래서 내구성과 관계된 부품들에 조금 더 눈길을 주려 한다.


    사설이 길었다. 무슨 생각으로 견적을 짜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건 중요하니까 썼다. 늘 그렇듯 길고 재미없는 글이 될 것이다. 마음 단단히 먹으시라. 시작한다.





    30만원대

    1.png



    30만원짜리 PC에 소비자가 만능을 기대하진 않는다. 그저 빨리 켜지고, 네이버랑 한글 후딱 뜨면 땡이다. 다행스럽게도 PC의 성능이 너무나도 상향평준화 된 시대이다보니 이 정도면 사무용 내지는 가정용 PC로서 충분히 제 몫을 해낼 수 있다. 그러니까 제일 싼 PC를 새 부품으로 꾸려야 한다면 이 정도 돈이 든다는 일종의 하한선 개념 견적이다. 이것 이하의 가격으로 신품을 구매하면 새 부품으로 컴퓨터를 사는 의미가 없다. 차라리 괜찮은 중고 PC를 사시라.


    CPU는 셀러론 G3930이다. 내가 5년째 계속 하고 있는 이야긴데, 이젠 셀러론 느리지 않다. 돈 아끼려고 억지로 쓰는 CPU가 아니니까 마음놓고 사라. 셀러론과 SSD의 조합은 눈부시고 빠르다. 이렇게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이유가 있는데, 노트북의 판매량이 데스크탑을 추월한 것 때문이다. 2017년 현재 시장에서 가장 잘 팔려나가는 노트북은 15W 정도의 소모전력을 가진 듀얼코어 CPU들이 들어간 제품들인데, CPU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씨네벤치 R11.5 기준으로 대충 2~3점 정도의 성능이 나오는 물건들이다. 그리고 셀러론 G3930은 저 물건들보다 한참 빠르다. 결론적으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성능은 고작 5만원짜리 싸구려 CPU로도 이미 충분히 뽑아낸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걱정 말고 사라. 램은 사무용 수준이니 4GB만 넣었다. 싱글채널인 것이 마음에 걸리지만 램값이 너무 심하게 올라서 제조사의 레퍼런스대로 듀얼채널을 쓰기는 어려울 것 같다.


    마더보드는 당분간 기가바이트 위주로 쓸 것 같다. 아수스 마더보드들이 너무 못생긴데다-_- 레이아웃이 나빠서 조립하기 좀 그렇다. 기가바이트 마더보드들이 레퍼런스를 충실히 지켜서 꾸준하게 안정성이 잘 나오는 것도 좋고, 여러모로 직접 PC 견적을 짜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브랜드라고 생각한다. SSD는 그냥 싸고 무난한 WD 그린이다. 어차피 샌디스크 OEM1인 물건이고 특별하게 대단할 것도 나쁠 것도 없다.


    하드디스크는 일부러 2.5인치 노트북용을 넣었다. 더 싸고, 더 조용하고, 전기와 자리도 덜 먹는다. 어차피 시스템의 속도는 SSD가 빠르게 해줄테니 하드디스크는 느려도 괜찮다. 그래서 앞으로 들어갈 견적엔 전부 2.5인치 디스크만 넣겠다. 큰 용량을 원한다면 알아서들 바꾸면 된다. 케이스는 마이크로닉스의 보급형 미들타워인 루키이다. 요즘 하단파워 케이스들이 시장의 주류가 되었는데, 개인 소비자가 하단 파워를 써서 얻는 이득은 단언컨대 거의 없다. 특히나 보급형 시스템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그러니까 파워의 독립냉각 같은 제조사들의 마케팅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 파워는 마이크로닉스의 막내 모델이다. 제일 싸고 용량도 350W 밖에 안되지만 절대로 모자랄 일이 없을 것이다. 적당한 VGA 한 장 끼워넣는 정도는 여유롭게 버틴다. 어차피 이 견적대로 조립해봤자 소모전력은 100W도 넘기지 못할테니 사실 350W도 과용량이다. 되도 않게 파워는 컴퓨터의 심장이니 정격 500W 넣으라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무시해주시라. 의미 없는 조언이다.




    50만원대

    2.png


    30만원대 견적에서 CPU를 살짝 올리고 그래픽카드를 하나 추가해서 게임 성능을 올린 정도다. 30만원대 견적으로 게임은 거의 포기해야 하지만 이 견적부터는 1920x1080 해상도에서 오버워치를 여유롭게 돌릴 수 있다. 펜티엄 G4560이 한동안 굉장히 잘나갔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CPU이다. 8만원짜리 펜티엄 듀얼코어 주제에 상위 라인업인 i3에나 있던 하이퍼 스레딩이 있는데다, 작동 주파수도 굉장히 높다. 이 가격에 이만한 CPU가 있다는 사실은 소비자에게 축복이다. 램은 4GB짜리 두 개 넣어서 8GB다. 두 개씩 넣어야 CPU의 성능을 온전히 끌어낼 수 있으니 잊지 말고 숫자 맞추어 제대로 주문하시라.

    그래픽카드는 GTX1050이다. 당분간 PC방의 표준 그래픽카드나 마찬가지일 것이기에 돈을 주고 게임을 위해 그래픽카드를 산다면 가장 싸고 괜찮은 카드가 될 것이다. 이것 이하의 그래픽카드는 지금 시점에서 게임용으로 신품을 사기엔 조금 애매하다는 뜻이니 참고하면 된다. 이 가격조차도 부담스럽다면 AMD의 RX 460을 권하고 싶다. GTX 1050보다 조금 못한 성능이지만 오버워치를 즐기기에 충분한 성능이고 가격도 10만원 전후이니 대략 2~3만원 정도를 더 아낄 수 있을 것이다. 동영상을, 특히 애니메이션을 많이 볼 생각이라면 RX 460쪽이 플루이드 모션 같은 동영상 특화 기능도 있으니 본인의 사용 환경에 맞춰서 고민해보길.



    60만원대


    3.png


    자, 여기서부터는 라이젠 견적이다. 지난 견적과는 예산 배분이 좀 달라졌다. 지난 견적에서는 적당한 쿼드코어 CPU가 없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i3를 썼는데 i3는 듀얼코어 중 최상위급의 성능을 보여주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듀얼코어 중에서 좋은 편이었고, 쿼드코어와 힘싸움을 할 수준은 못됐다. 그래도 펜티엄 듀얼코어 보다는 낫지 않겠나 싶어서 2코어 이상을 활용하지 않는 국내 온라인 게임용 견적 정도의 느낌으로 짜 보았는데, 저런 식으로 견적을 짜면 차후에 VGA 업그레이드를 노리는 것이 애매해진다는 맹점이 있어 견적을 올려놓고 나서도 참 느낌이 묘했다. 2코어만 쓰는 국산 온라인 게임을 제외한 해외의 게임들은 갈수록 멀티코어를 잘 활용하는 쪽으로 변해가고, 굳이 게임이 아니더라도 멀티코어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이미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기본 덕목으로 자리잡았다. 하다못해 손바닥만한 스마트폰조차도 8코어, 10코어를 아무렇지 않게 달고 나오는 시대에서 주파수 높은 듀얼코어의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하게 떨어지기 마련인데 가능하면 쿼드코어를 쓰는게 옳았을 것 같아서 고민했는데, 때마침 라이젠의 하위모델들이 적당한 성능으로 나와주었다. 시간이 지난 후에도 CPU성능은 여전히 경쟁력 있는 수준을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VGA만 바꿔가며 5년 이상 사용할 사람이라면 i3 듀얼코어보다는 이 쪽이 더 나을 것이다.


    당장 쓸 수 있는 성능이 높다는 것 만으로 끝이 아니다. 3년 뒤를 내다 보아도 인텔의 엔트리급 쿼드코어인 i5 7400이나 7500 대비 라이젠 5 계열은 이득이 많다. 라이젠용 소켓인 AM4는 AMD가 직접 3년 이상의 수명을 보장했기에 그렇다. 3년쯤 뒤에 적당한 라이젠 옥타코어를 붙인다면 지금 성능의 두 세배를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의미인데, 메인스트림급 PC에서 이런 식으로 시간이 지난 뒤 급격한 성능 향상이 약속되는 물건은 참으로 오랜만이다. 라이젠 1400의 전체적인 성능은 인텔의 i5 7500~7600에 준하므로 당분간 저렴하게 쓰다가 나중에 CPU 성능이 부족하다 느끼면 중고든 새것이든 옥타코어를 사다 끼우면 된다.


    마더보드는 기가바이트의 AM4 마더보드 중 막내뻘에 해당하는 물건이다. 거의 비슷한 등급의 인텔 마더보드에 비해서 가격이 1~2만원 정도 비싼 편인데, 이런 식이면 저가 시장에 대응하기 힘들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가 전원부 구성을 보고 그럴만한 이유가 있겠거니 싶었다. 가장 저렴한 A320 칩셋의 마더보드 조차도 8코어에 4Ghz를 넘나드는 라이젠 7을 무리없이 돌릴 수 있어야 한다. 특히나 AMD는 몇 년전 140W CPU 지원 문제로 홍역을 치른 적이 있기에 보급형 마더보드에서의 전원부 품질에 인텔보다 더 민감할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다. 중간에 또 엄한 길로 빠졌는데 결론은, 상위 CPU까지 여유롭게 지원할 수 있도록 마더보드 구성이 튼튼하게 잘 짜여져 있다는 뜻이다.


    어찌보면 이 60만원대가 이번달의 견적에서 가장 고민이 많이 담겨있는 물건이라고 보아도 좋다. 5년 전이나 지금이나 구색을 갖춘 괜찮은 쿼드코어 PC의 가격선은 80만원 정도였는데, 그게 조금 오버하긴 했지만 60만원 남짓까지 내려온데다가 2~3년 뒤에도 CPU 업그레이드만으로도 충분한 성능향상을 노려봄직 하다는 것이 특히 그렇다. 3년 전에 하스웰 i5 4460같은 쿼드코어로 PC를 맞춘 사람이 지금 CPU업그레이드를 위해 고를 수 있는 선택지는 사실상 4790K 하나라고 보아도 좋을 정도고 그나마도 최대 30%의 성능향상에 불과하다. 그런데 라이젠은 2배를 훌쩍 넘기는 고성능을 목표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다. 이건 굉장한 장점이다.



    80만원대


    4.png




    60만원대 견적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한 체급씩 부품들의 성능과 품질이 좋아진 견적이다. 라이젠 1500X의 타겟 포지션은 하스웰시절 흔히 쓰이던 소위 '짭제온'과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그 짭제온보다 작동 주파수가 평균적으로 높은데다 라이젠의 클럭당 성능은 하스웰을 넘어서기에 인텔의 농간으로 짭제온이 PC시장에서 사라진지 오래인 2017년 시점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 라이젠 1500X는 쿼드코어이기 때문에 1400 기반의 60만원대 견적과 마찬가지로 2~3년뒤 2배 이상의 성능향상을 노린 CPU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동가격/동급의 인텔 CPU 대비 훨씬 성능 좋은 쿨러가 달려있어 소음이 훨씬 적다는 장점도 있다.


    SSD는 마이크론의 제품이다. 어차피 S-ATA SSD들은 성능이 상향 평준화 되어서 큰 차이가 없고 소비자가 살펴볼 건 가격과 용량 정도인데, MX300이 호환성이나 프리징 문제가 없는데다가 용량도 경쟁 제품들 대비 10%가량 더 준다. VGA는 GTX 1050Ti인데 1050보다 살짝 빠른 가지치기 모델이라 별도의 설명은 딱히 없어도 될 것 같다.


    파워서플라이는 마이크로닉스의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인 클래식 500W 모델이다. 지포스 1080 모델까지도 500W 파워면 충분하게 나오는 시대이고, 엔비디아가 당분간 일반라인 플래그쉽은 소모전력 200W 이내로 묶어둘 것이기에 이 정도 파워를 달아둔다면 못쓰는 VGA는 사실상 없다고 보아도 좋다. 이것 이상의 VGA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 가격보다 비싼 그래픽카드로 업그레이드 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다-_-.



    100만원대

    5.png


    100만원 전후의 금액으로 헥사코어 견적이라니 참 기분이 묘하다. 라이젠 1600의 가격대비 성능이 참으로 걸출한데, 인텔의 6800K의 반값에 97%정도의 성능을 제공한다. 이건 말이 되지 않는 가성비다. AMD가 직접 제시한 경쟁 제품은 i5 7600인데 이미 7600은 쿼드코어 모델인 1500X선에서 호각으로 힘싸움이 가능하고 코어 숫자가 두 개 더 많은 1600부터는 경쟁사의 최상위 라인업 제품들과 대등한 수준으로 겨루고 있다. 이런 정신나간 가성비를 볼 수 있어서 참으로 기쁘다. 매년 5~10%의 어중간한 성능향상만 보다가 간만에 전년도 제품 대비 50%가 빨라진 제품을 보니 눈물이 앞을 가릴 지경. 마더보드는 기가바이트의 B350 칩셋 마더보드인 AB350M-Gaming 3이다. 잘 정돈된 레이아웃과 포트 배치 덕분에 조립이 편한데다가 아무 쓸모도 없지만 불도 들어온다. 사실 윗 견적의 A320 마더보드를 써도 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이 정도 금액으로 컴퓨터를 사면 나중에 메모리 용량을 늘릴 것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넣었다. 지금 견적에 8GB x 2 구성으로 16GB가 들어가 있는데 나중에 램을 늘릴 때 8GB 두 개를 빼고 16GB 두 개로 올리는 귀찮음을 감수할 수 있다면, 마더보드는 80만원대 견적의 제품으로 넣어도 괜찮다.


    메모리를 좀 신경써서 사야한다. 정확히는 이 앞의 견적들은 솔직히 말해 메모리를 뭘 쓰든 DDR4이기만 하면 관계가 없었는데, 이 100만원대 견적 부터는 내가 올려둔 메모리를 사야만 한다는 이야기다. 라이젠은 듀얼채널 메모리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는데, 메모리 컨트롤러 특성이 좀 독특하다. 메모리를 많이 꽂을수록 메모리의 작동 클럭이 내려가는 것이다. 8GB x 2 구성에서는 최대 2666Mhz 규격까지 정식 지원하지만, 16GB x 4 구성으로는 1866Mhz까지 밖에 지원하지 않는다. 앞서의 견적들에서는 메모리 슬롯이 2개 뿐이었기에 클럭이 내려가봤자 2400Mhz고, 어차피 오버클럭용 메모리가 아닌 이상 2400Mhz 이상의 규격은 JEDEC에 존재하지도 않기에 뭘 쓰든 별 관계가 없었다. 그런데 이 견적에 쓰인 마더보드부터는 램슬롯이 4개가 달려있기에 메모리 조합을 신경쓰지 않으면 성능하락이 있다. 견적에 쓰인 팀그룹의 엘리트 계열은 16GB x 4 구성으로도 2400Mhz 클럭의 작동을 보증한다. 마더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호환성 검증목록(QVL)에 정식으로 올라가 있어서 고른 것이니, 차후에 메모리 용량을 늘릴 생각이 있다면 무조건 해당 제품을 쓰시라.


    그래픽카드는 GTX1060 3GB인데 이게 참 걸작인 물건이다. 전력소모도 적은데다가 고작 중상급기 주제에 성능은 전세대 플래그쉽인 GTX 980에 육박한다. 일부러 조텍의 짧은 기판이 들어간 미니버전으로 골랐는데 이게 다 이유가 있다. ATX와 그 파생 케이스 폼팩터에서 오랫동안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부분은 VGA 아랫쪽의 발열이 빠져나갈만한 공기 흐름을 만들어낼 방법이 없다는 것인데, 그러다보니 VGA로 달궈진 케이스 바닥쪽의 공기를 배기팬이 만들어내는 기압차 만으로 뽑아내야 한다. 이럴 때 VGA가 큼직하면 케이스 아래에 있는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막아버리는데, 케이스의 좌우 폭이 넉넉한 제품들이라면 VGA의 옆면으로 빨려 올라가는 것을 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보급형 케이스는 대부분 가로폭이 180~190mm 정도이기 때문에 VGA가 크다면 그마저도 쉽지 않다. 그래서 소모전력 150W 미만의 VGA라면 어차피 온도가 높지 않으니 커다란 쿨러를 달아주기 보단 기판의 넓이를 줄여서 시스템 전체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쪽으로 셋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사소하지만 가볍게 볼 수 없는 차이가 될 것이다.


    케이스는 인윈의 제품이다. 인윈이 요즘에서야 온갖 괴작들을 만들어내면서 독특한 제품군을 가진 제조사가 되었지만, 원래 일반 소비자용 케이스도 굉장히 잘 만들던 회사이다. 비슷한 가격대의 다른 제조사 케이스들보다 더 두껍고 질긴 고품질 강판을 쓰는데다 별 쓸모가 없는 부가기능을 넣으면서 가격을 올려받지도 않는다. 케이스의 상품정보를 보면 안쪽이 새까맣게 칠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더 싸보인다는 사람들이 가끔 있다. 그런데 케이스는 안쪽에 색칠 안해두는 것이 여러모로 낫다. 피부 미인이 화장 두껍게 하지 않는 것과 똑같은 이유이다. 강판 자체의 질이 좋은데다 더 엄격한 품질 관리를 거치기 때문에 굳이 색칠을 해서 강판의 결점을 가릴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색칠 하지 않은 강판은 도체이기 때문에 접지 구조에도 유리하다.


    볼베어링이 들어간 파워 서플라이를 썼다. 케이스 배기팬이 시간이 흐르며 멈추더라도 파워 서플라이의 팬이 시스템 전체의 열기를 잘 뽑아내 줄 것이다. 싸구려 볼베어링도 아니고 ADDA사의 120mm 볼베어링 팬 주력모델인 AD1212MB가 들어가있다. 카탈로그 스펙상의 MTBF 4만시간을 다 채우고도 생존률 9할이 넘는 물건이니 팬의 수명에 대해서는 정말 걱정이 없을 것이다. 하단 파워 케이스를 쓰지 않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케이스 팬은 거의 무조건 슬리브 베어링이 달려 있기에 수명을 기대할 수가 없다. 이럴 때 오랜 시간 필드에서 검증된 쿨링팬이 달린 파워를 사서 상단에 달아주면 4~5년이 흘러 케이스 팬이 멈추더라도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잘 돌아갈 것이다. FSP는 중보급형 파워 서플라이를 잘 만드는 회사이고 500HPN은 특별한 약점이랄 것이 없이 수년간 검증되어온 물건이니 믿고 쓰시라.



    110만원대

    6.png


    100만원대 견적에서 게임성능이 조금 더 올라가고 소소하게 부품 품질이 올라갔다. 컴퓨터에 100만원을 쓸 수 있다면 110만원이라고 못쓸 이유가 없다는 이유로 그냥 짜본 견적이고 그래픽카드, 케이스가 한단계씩 올라가며 후면팬이 괜찮은 물건으로 추가된 구성이다. 그래픽카드의 메모리가 6GB로 늘고 클럭도 살짝 올랐다. 작다면 작은 성능 차이이지만 GTX 1060쯤 쓴다면 게임에도 꽤 신경을 쓰는 컴퓨터이기 때문에 텍스쳐 용량이 갈수록 커지는 요즘의 게이밍 개발 환경을 고려하면 가격만큼의 성능 차이는 분명히 나온다.


    케이스는 인윈의 고급형 미니타워인 EM058이다. EM054보다 더 두꺼워진 강판이 들어갔고 좌우 폭이 넓어졌기 때문에 더 큰 VGA와 쿨러를 넣어줄 수 있다. 전원 버튼과 USB 포트의 위치가 멀찌감치 떨어져 있어 USB 메모리 꽂다가 실수로 전원 버튼을 누르는 참사도 막을 수 있다. 여러모로 소비자용 미니타워의 완성형이라 할만한 물건이다. REEVEN은 신생 브랜드지만 EUROS 팬은 소니의 S-FDB 베어링이 들어가있어서 팬의 수명이 굉장히 길다. 케이스에 달린 기본 배기팬을 떼어내고 달아주면 된다. 조용하지만 시원하게 시스템을 식혀줄 수 있다.



    160만원대

    7.png


    여기서부터 라이젠 옥타코어 견적이다. 크, 이런 대단한 성능의 컴퓨터를 150만원 안쪽에 살 수 있다니 너무 좋은 현상이다. CPU는 라이젠 옥타코어의 막내 모델인 1700이 들어간다. 조립을 몇 번 하면서 장시간 써봤는데 정말 좋은 CPU다. 저 정도의 성능을 뿜어내는 물건 치고는 비정상적으로 온도도 낮고 소모전력도 적다. 기본으로 딸려오는 쿨러의 성능이 여유롭기에 소음도 대단히 낮다. 정말 여러모로 한결같이 잘 만들어졌다.


    그래픽카드는 GTX 1070이다. 뭐 딱히 할 말이 없는 고성능 VGA인데, GTX 1060보다 많이 빠르지만 그만큼 가격도 많이 비싸지니 본인이 스스로 생각하기에 게임을 위해 큰 돈을 쓸만한 사람이 아니라면 GTX 1060 6GB 정도만 쓰더라도 괜찮을 것이다. 어디까지나 적당히 구색을 갖추기 위한 용도로 넣었으니 필요에 따라서 올리든 내리든 마음대로 해도 좋다.



    200만원대

    이미지 004.png


    가장 비싼 견적이다. 이쯤 되면 못하는 일이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될 정도. CPU는 라이젠의 플래그쉽인 1800X이다. 8개의 코어가 기본 3.6Ghz로 작동하며 엄청난 연산성능을 뿜어낸다. CPU만 강력한 것이 아니다. 마침 GTX 1080Ti가 GTX 타이탄 2016버전보다 모든면에서 낫기 때문에 CUDA를 많이 쓰는 연산머신으로서도 충분히 제 역할을 해낼 것이다.



    괜찮은 M.2 NVMe SSD를 찾기가 너무 어려웠다. 이 돈쯤 쓰면서 S-ATA SSD를 견적에 넣으면 안되기 때문에 M.2 SSD를 찾는데 삼성전자의 960 시리즈를 제외하면 도무지 쓸만한 물건이 없었다. 그래서 고민하다가 커세어 제품을 넣는다. 성능은 960 시리즈보다 조금 쳐지지만 인텔의 750 시리즈는 가격이 너무 자비가 없고, 용량이 애매하다. 솔직히 말해서 딱히 경쟁을 할만한 물건이 없을 정도로 삼성전자의 SSD는 뛰어난 제품이니 삼성전자 제품을 살만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다면 그냥 삼성 960 프로나 960 에보를 사시라


    파워는 XFX의 TS550인데, 이게 XFX 브랜드를 달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시소닉에서 만든다. 부품의 빌드 퀄리티 면에서 시소닉을 따라갈만한 제조사가 없기도 하고, 국내 유통 가격에 거품이 심하게 끼어있는 시소닉 리테일 제품군에 비해서 XFX 파워들은 합리적인 가격에 괜찮은 성능을 제공한다. 사실 적당히 싼 FSP의 600HPN으로도 충분하지만 250만원짜리 사치스런 컴퓨터에 브론즈급 파워는 좀 모자라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출처 http://swev.net/143

    출처래봤자 어차피 제 블로그여요.....
    SWEV의 꼬릿말입니다
    http://swev.net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5/02 11:21:50  211.114.***.80  한프런트  381274
    [2] 2017/05/02 11:51:50  108.162.***.179  홍염의포르테  60656
    [3] 2017/05/02 11:52:32  218.39.***.144  없고  201706
    [4] 2017/05/02 12:24:41  202.30.***.180  Hadoop  743505
    [5] 2017/05/02 12:24:45  49.167.***.242  핵폐기물  235965
    [6] 2017/05/02 12:26:54  211.213.***.79  음메리어카  428001
    [7] 2017/05/02 12:27:44  110.70.***.26  NAMU_J  562550
    [8] 2017/05/02 12:33:26  211.231.***.49  흔한빠른년생  208938
    [9] 2017/05/02 12:40:44  119.196.***.41  사쿠라다  619938
    [10] 2017/05/02 12:44:38  175.223.***.78  배고픈데굶자  40649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없고(2017-05-02 11:52:48)218.39.***.144추천 1
    선추천!
    댓글 0개 ▲
    Hadoop(2017-05-02 12:24:40)202.30.***.180추천 2
    정성글엔 추천!
    댓글 0개 ▲
    찬솔아빠(2017-05-02 12:43:20)106.247.***.227추천 13
    잘 짜여져 있기는한데.. 대체적으로 SSD랑 램이 의아하네요;;
    램은 여러 커뮤니티 둘러보고 대체적인 이용기를 봐도, 삼성램이 라이젠에서는 가장 진리에 가깝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200만원 이상 견적에는 이상한 부분이 좀 많아요.
    그래픽카드도 그렇고, 파워도 500가지곤 Ti랑 돌리기는 좀..
    댓글 3개 ▲
    SWEV(2017-05-02 13:10:39)추천 15
    오버클럭까지 고려하면야 삼성램 좋겠죠.
    DDR3 시절부터 전통적으로 클럭마진을 여유롭게 잡고 나오는 편이니까요.
    그런데 본 견적에서는 가능하면 삼성 제품 안쓰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기도 하거니와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호환성 테스트를 마치고 Qualified Vendor List에 올라와 있는 제품을 고르는게 발생할지도 모르는 문제를 차단하는 가장 확실하고 좋은 방법일겁니다.
    개인 소비자들의 테스트 신뢰도는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삼성 램처럼 제조국이나 주차 특성이 갈리는 모델들에 대해서 여기 저기서 이야기 하는 것만 모아서 진리를 논하기엔 조금 부족하지 않을까요.
    제조사의 공식적인 레퍼런스를 부정해도 좋을만큼 커뮤니티 등지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고는 생각 못하겠습니다.

    200짜리 견적은 실수가 좀 있었습니다.
    말씀하신 파워 용량을 제가 체크했어야 했는데 다나와에서 견적 넣다뺐다 하다보니 실수를 좀 했네요.
    막판에 집중력 흐트러져서 마무리가 후졌군요.
    교차검증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찬솔아빠(2017-05-02 13:39:09)106.247.***.227추천 4
    삼성 제품을 되도록 안쓰자는 취지는 존중합니다.
    하지만 브랜드PC가 아니라 조립PC를 구매하는 분들 입장에선 AS 부분도 간과해서는 안되는 부분이라 생각 됩니다.
    초기불량이 없는 제품은 거의 없다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다른 회사들이랑 삼성전자의 기술력 차이가 너무 크다고 생각합니다.
    SWEV(2017-05-02 14:13:20)추천 11
    삼성전자의 기술력이 압도적인 건 사실이지만 체감이 될 일이 있을때의 이야기일겁니다.
    JEDEC 규격에 맞는 제품간에 성능상 차이가 있을 이유는 없는거고 호환성은 QVL에 올라가 있는 쪽이 오히려 더 정확한 기준점이 되겠죠.....
    AS건에 대해서는 저는 모르겠습니다.
    초도불량은 쇼핑몰과 통화해서 해결할 일이지 소비자가 동네에 있는 AS센터에 찾아갈 일이 아니겠죠.
    삼성 SSD들은 지방 센터에 버퍼물량이 없는 경우도 많기에 사용중 불량에 대해서 특별히 다른회사 대비 더 대응이 나은 것도 아니구요.
    찬솔아빠(2017-05-02 12:44:17)106.247.***.227추천 7
    삼성램 DDR4 19200 8GB 단면 B다이가 라이젠에는 가장 호환 및 오버클럭이 잘 되는 제품이라고 정평이 나 있습니다.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2017-05-02 12:44:38
    싸펑피펑?(2017-05-02 12:46:15)211.36.***.56추천 1
    이달의소녀 검색하고 들어왔다가 깜짝놀람...
    댓글 0개 ▲
    Mydreia(2017-05-02 12:49:33)61.85.***.244추천 5
    음.... 위에서 다른분이 몇가지 짚어주셨고... 1080ti를 FE로 하셨는데 그 이유가 있나요? 싸서! 라고 하기엔 비레퍼 1080ti 중에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저렴한 물건도 있는데..
    댓글 4개 ▲
    SWEV(2017-05-02 13:16:35)추천 2
    Founders Edition엔 볼베어링 쿨러가 들어갑니다.
    제가 볼베어링에 이렇게 집착을 해대는 걸 보고 친구는 볼베어링 성애자라고 웃곤 하는데, 200만원 넘는 견적에서 한 군데라도 슬리브 베어링 들어간 팬을 쓰는건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말씀하신대로 1080Ti중에서 저렴한 모델들이 많지만 볼베어링이 들어간 1080Ti중에서 제일 저렴한 건 파운더스 에디션입니다.
    MSI의 트윈프로저 모델이나 기가바이트의 Auros 모델도 볼베어링 팬이 적용되어 있는데 MSI는 작년도의 사건 이후로 쓰지 않아야겠다 마음먹은 제조사들 중 한군데이고, 기가바이트는 가격차가 너무 벌어져서 좀 고민스럽더군요.
    취향에 따라서 Auros를 쓰는것도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이지만, 글에는 굳이 담지 않았습니다-_-.
    찬솔아빠(2017-05-02 13:36:09)106.247.***.227추천 2
    1080Ti를 여러제품 (FE포함) 써본 경험자로서, FE는 발열때문에 생각보다 이용하기 힘듭니다.
    물론 실내 온도가 어느정도 이상일 시에... 쓰다간 쓰로틀링이 걸릴거라고 생각되어서 이것저것 써 봤습니다.
    물론 현재 시점인 봄에는 괜찮을 것 같지만, 여름에는 문제가 없을거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워 보이더라고요.
    그 부분들을 어느정도 개선한 모델들이 비래퍼들이고, 실제로 비래퍼들은 온도가 래퍼대비 풀가동시 10도이상 낮습니다.
    SWEV(2017-05-02 13:56:45)추천 2
    페르미 계열처럼 360W 꽉꽉 채우는 모델들조차도 2슬롯 블로워팬으로 동작엔 문제 전혀 없었어요.
    정상적으로 열이 갇히지 않게 잘 조립된 PC에서 쓰로틀링은 애초에 존재할 수 없는 현상이고, 굳이 따지자면 부스트클럭 유지라는 측면에서 10만원을 더 주고 AUROS 쓰는것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한여름이라도 실내온도 30도를 넘는 곳은 없을겁니다.
    실온 25도 기준으로 대류현상이나 공기 흐름이 없는 오픈케이스 상태에서도 FE는 85도 전후를 유지합니다.
    케이스 안에 넣어두면 온도는 더 떨어지겠죠. 후면과 상단의 파워팬을 통해서 빨아들이는 공기가 VGA 주변에 공기 흐름을 강제로 만들테니까요.
    시즈다(2017-05-02 20:07:50)211.197.***.168추천 1
    컴퓨터 돌리면 실내온도 30도정도 올라가는게 작년으로 생각하면 충분히 있을일 같습니다...ㄷㄷㄷ
    발장난(2017-05-02 12:56:52)147.46.***.197추천 2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댓글 0개 ▲
    살찐팽귄(2017-05-02 12:57:26)223.62.***.224추천 12
    20만원짜리 시계 풀옵은 없나여
    댓글 2개 ▲
    SWEV(2017-05-02 13:16:57)추천 10
    그건 딴지쪽에 문의하시면 되지 않던가요 ㅋㅋㅋ
    사회복지학과님 거기 계시든데.....
    아르크니언(2017-05-02 13:17:09)211.36.***.105추천 1
    당연히 없습니다
    실버보험(2017-05-02 13:11:11)180.70.***.244추천 3
    이런글은 추천을 안 할 수가 없네요 ㅋ
    댓글 0개 ▲
    쇼바리헤라시(2017-05-02 13:16:33)211.47.***.153추천 1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포토샵,일반사무 및 인터넷 운용에는 어떤가격대가 어울릴까요.
    컴알못이라 한번 여쭤봅니다.
    게임사용을 목적으로한 견적같은데요....어느구매선이 마지노선일까요....
    50만원 이상 투자해야 하나요?
    댓글 7개 ▲
    SWEV(2017-05-02 13:19:55)추천 6
    사무용이나 가로세로 3000픽셀 미만의 포토샵 파일 편집은 30만원대 견적으로도 충분히 잘 돌아갑니다.
    요새 컴퓨터들 충분히 빨라요ㅎㅎ.
    너무 걱정 안하고 사셔도 됩니다.
    쇼바리헤라시(2017-05-02 13:22:20)211.47.***.153추천 1
    답글 너무 감사합니다. 8년째 쓰던 lg컴퓨터가 버벅거리길래 조립으로 한번 해볼까 해서요.
    다나와를 들어가서 장바구니에 담는일만 남았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
    SWEV(2017-05-02 14:15:09)추천 2
    오래 쓰셨네요-_-
    고생하셨습니다....
    [본인삭제]앵켕(2017-05-02 14:36:56)175.223.***.34추천 1
    SWEV(2017-05-02 14:48:00)추천 2
    적어도 2D 화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씀드리자면, 가로세로 3000px 미만의 JPG 사진이나 일반적인 웹용 이미지는 내장그래픽으로도 충분히 성능상 제약 없이 편집 가능해요.
    물론 DSLR로 찍은 대용량의 RAW 이미지에 필터 막 먹이고 한번에 20MB짜리 이미지파일 여러개 열어놓는 작업을 한다면야 내장그래픽으로 좀 버벅거릴겁니다.
    근데 애시당초에 그 정도 헤비한 작업을 할거라면 사무용이라는 딱지를 굳이 붙이시기 보단 2D 그래픽용이라고 못을 박으셨을거여요.

    포토샵에서 GPU를 쓰는 작업은 크게 Cera Raw나 이미지 리사이징, 블러/샤픈필터 종류들입니다.
    웹용 디자인을 가끔 만지고 사무용이 메인인 PC 정도라면 30만원짜리로도 잘 합니다.
    실제로 제가 5년전 샌디 내장그래픽 가지고도 일하는데 별 지장 없었거든요-_-
    그리고 요샌 내장그래픽들 성능도 워낙 좋아져서 17W TDP의 노트북 CPU용 내장그래픽들 조차도 GPU파워가 꽤 나옵니다.
    쇼바리헤라시(2017-05-02 21:48:29)211.47.***.153추천 0
    아....정확하네요..... 기본이 사무용이고 서브로 편집만 하는 작업이걸랑요......
    8년째 쓰던 기업용완제품이 수리도 뭐같고 데미지도 축적된거 같아서요....
    지금껏 잘 해오다 이제 슬슬 오류가 생기네요.... 정확한 답변 정말 감하해요!!!!!!!
    핵변태(2017-05-02 15:55:30)223.62.***.200추천 1
    저도 10년 쓰다가 여기서 나온 100만원대 컴터사서 잘놀고 있습니다.
    첨엔 60잡았는데 갈수록 올라감 ㅠㅠㅠㅠ
    SWEV(2017-05-02 21:45:48)추천 0
    원래 아반테 사러 갔다가 소나타 사서 나온다더군요-_-
    '그럴바엔 놀이'가 정말 무서워요.
    첫번째도미노(2017-05-02 13:20:56)1.252.***.65추천 1
    좋은 글 감사하고 추천했습니다.
    그런데 저가형 케이스는 COX RC 170T 이 더 낫지 않을까요? 미들타워에 340mm 그래픽 카드도 들어가고 루키보다 오히려 가격이 더 저렴해서요...^^
    댓글 3개 ▲
    SWEV(2017-05-02 14:03:06)추천 2
    일단 강판 두께와 다른 모든 조건이 같다는 전제 하에 미니타워가 더 튼튼합니다.
    위아래 높이가 짧아지는 만큼 같은 두께의 강판으로도 더 강성이 잘 나오거든요.
    1mm짜리 철판이라면 PC 케이스용으로는 굉장히 두꺼운 편이지만 자동차 프레임용으론 쓸 수 없듯이, 같은 두께의 강판이라도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성면에서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15000원 미만의 케이스들일 경우 0.45T ~ 0.5T 강판인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강판 자체도 얇은데, 저런식으로 위아래를 이어주는 기둥역할의 뼈대가 없는 상태에서 미들타워라 높이까지 높다면 섀시 자체의 강성이 생각보다 많이 심각해져요.

    눈에 보이는 스펙도 중요합니다만, 조립이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런 저런 충격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려면 케이스 섀시가 잘 버텨줘야 하는데 가격대를 보니 어떻게 만들어도 충격에 약할 수 밖에 없을 물건이라고 봐요.
    제가 미들타워 무용론자이기도 하지만, 그거랑은 별개로 말씀하신 COX 모델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권해드리기 난감한 구석이 좀 많습니다.
    첫번째도미노(2017-05-02 14:14:37)1.252.***.65추천 1
    눈에 보이는게 다가 아니고 그런면이 있군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SWEV(2017-05-02 14:17:11)추천 2
    강판 두께가 생각보다 중요한데 메이저급 제조사들도 작당하고 눈속임을 하는 경우가 많다보니(일부러 입자가 큰 파우더로 도색해서 두께를 속입니다)  소비자들이 상품정보만 보아서는 특성을 온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졌죠.
    통탄할 일입니다 쩝.....
    토우차우(2017-05-02 13:27:48)183.102.***.244추천 4
    지우지마세요
    스크렙해씁니다.
    댓글 0개 ▲
    ENIHS(2017-05-02 13:35:13)110.12.***.63추천 2
    기가바이트를 좋아하시네요
    제품 자체는 좋으나 국내 서비스가 좀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서...
    저도 기가바이트 위주로 쓰지만 누굴 추천하지는 않거든요 ㅠㅠ
    댓글 2개 ▲
    찬솔아빠(2017-05-02 13:40:49)106.247.***.227추천 2
    그렇죠. 유통사가 참...MSI 역시 작성자분이 들은대로 AS가 문제였듯이, 기가바이트도 그 부분에 있어서는 자유로울수는 없지요.
    SWEV(2017-05-02 14:09:20)추천 3
    AS 대행 해주는 업체가 사실상 같은 곳이니 기가바이트쪽도 자유롭진 못한데, 문제는 MSI의 본사쪽 대응이 너무 나빴어요.
    쿨엔조이에서 MSI 그래픽카드 폭발 문제가지고 비난 엄청 당하는 와중에도 커뮤니티 활동 착실히 해서 상대적으로 비토여론이 강하지 않았던 기글 하드웨어엔 하루에 너댓개씩 스폰서 뉴스 꼬박꼬박 올리더군요.
    이쯤 되면 소비자를 너무 우습게 보는거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기본적인 부품 품질 자체는 기가가 메이저 3사 통틀어서 최고수준인거 다들 아실테고, 기가바이트 바이오스나 회로 세팅 해놓은걸 보면 아 이사람들 참 고지식하게 설계했구나 싶은 구석이 많습니다.
    사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아수스 취향인데 아수스가 요새 저가형들에서는 원가절감 문제 때문에 보드 레이아웃을 너무 망가뜨리는 편이라서 그냥 기가로 넣었어요.
    저야 제 개인 PC는 아수스 고가 보드를 써서 레이아웃 문제를 겪을 일이 없는데, 남들 조립해 줄 적당한 가격선의 물건 고르다보면 아수스는 이상한데서 꼭 실망시키는 구석이 나옵니다.
    최근엔 S-ATA 포트 레이아웃이 아주 피곤하게 되어있더군요 쩝.....

    딱히 제가 기가를 더 좋아하거나 그런건 아닙니다.
    그저 가격대비 구성이 괜찮고 보수적인 세팅을 해서 트러블 가능성이 가장 적은 마더보드라서 권하는 것 뿐이여요.
    반대로생각(2017-05-02 13:41:07)175.223.***.183추천 2
    오유 풀옵 돌아가려면 어느걸로 맞춰야할까요?
    댓글 4개 ▲
    찬솔아빠(2017-05-02 13:42:52)106.247.***.227추천 9

    이번 생에선 포기하세요..

    제 PC 사양으로도 힘들어요.................
    ENIHS(2017-05-02 14:53:06)110.12.***.63추천 1

    이정도도 풀옵은 무리에요
    [본인삭제]SWEV(2017-05-02 15:03:28)추천 0
    SWEV(2017-05-02 15:06:37)추천 6

    오유 풀옵용 사양입니다.
    3Ghz 24코어 48스레드, 램 128GB, 쿼드로 플래그쉽 듀얼(SLI 지원 안되는 마더보드라도 관계 없습니다. NV Link 쓸거니까요)
    비꼼글에짖음(2017-05-02 13:58:13)203.250.***.54추천 1
    추천밖에 드릴게 없다니 ㄷㄷㄷㄷ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2017-05-02 14:26:54
    방출의꼬치봉(2017-05-02 14:29:03)218.235.***.139추천 1
    배틀그라운드 풀옵돌리는 과제용 노트북 없나요?
    댓글 1개 ▲
    SWEV(2017-05-02 14:52:13)추천 1
    최소사양이 GTX 660 정도니까 요즘 나오는 게임용 노트북들이라면 최소옵은 다들 충족하겠네요.
    아직 출시도 제대로 안된 게임이라 정식 버전 풀옵 사양이 얼마나 필요할지는 예측도 안되는군요.
    대충 모바일 GTX 1060정도면 어찌어찌 되지 않으려나요 ㅎㅎ.
    스누플즈(2017-05-02 14:41:16)223.33.***.73추천 1

    M.2 ssd 몇달 고민하고 있어요.. 혹 플렉스터 제품은 어떤가요?? 512중 가성비가 제일 좋아보이더군요~
    댓글 1개 ▲
    SWEV(2017-05-02 14:48:41)추천 2
    걍 솔직히 말씀드리면, 삼성 960 에보 쓰시는게 제일 속편할겁니다-_-
    양면답안지(2017-05-02 14:44:23)49.161.***.49추천 1
    은혜로운 분이 계시기에 이 세상이 빛납니다...☆
    나중에 저만을 위해 최적화된 컴 두대 갖추는 게 꿈이라서그런지 볼때마다 황홀해지면서 꾸준히 빨로업하고 스크랩하게 되네요
    댓글 0개 ▲
    Gendoh(2017-05-02 14:48:32)60.196.***.205추천 1
    울프 할배가 없다니요!

    열심히 오버워치를 돌리는 제 e8400을 무시하지 마시죠!

    (오버워치의 최저사양은 i3 이다)
    댓글 1개 ▲
    SWEV(2017-05-02 14:49:05)추천 1
    놓아주세여......ㅠㅠ
    학대여요....
    신토참(2017-05-02 14:53:06)175.114.***.224추천 1
    ..
    댓글 0개 ▲
    라벵더(2017-05-02 14:55:12)222.234.***.158추천 2


    댓글 0개 ▲
    탱쟈(2017-05-02 14:59:01)183.105.***.93추천 1
    저에게 마침 딱 필요한 글이네요 ㅎ
    불로그 줄겨찾기 했습니다
    댓글 0개 ▲
    뿔따구(2017-05-02 15:03:23)211.188.***.228추천 1
    최고~~~
    댓글 0개 ▲
    단이율무단비(2017-05-02 15:05:28)172.68.***.109추천 1
    좋은정보굿굿
    댓글 0개 ▲
    젤히(2017-05-02 15:09:03)112.154.***.141추천 1
    왕.... ㅎㅎ 추천했어요.
    캐드용 노트붇 사려니 넘 비싸서 그냥 피씨로 알아보는 중이었는데... 대충 위에서 조합해서 고르면 될거 같네요 ㅎㅎ 짱~~
    댓글 3개 ▲
    SWEV(2017-05-02 15:26:24)추천 3
    오토캐드는 이제 사양 안타는 프로그램이라 저기서 제일 싼걸 사셔도 괜찮을겁니다.
    근데 아키캐드나 REVIT처럼 BIM까지 고려하시면 최소 60만원대 이상은 사셔야 해요.
    카티아나 NX를 쓰신다고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안그러면 굳이 돈을 주고 새걸 사시는게 의미가 없습니다.
    젤히(2017-05-02 20:57:54)112.154.***.141추천 0
    건축용 오토캐드입니다 :)))
    SWEV(2017-05-02 21:44:50)추천 0
    오토캐드면 맘편히 아무거나 사셔도 되겠군요!
    [본인삭제]광교(2017-05-02 15:15:06)221.150.***.101추천 1
    댓글 2개 ▲
    SWEV(2017-05-02 15:25:15)추천 2
    나안 기준 시력 좌우 1.5 이상이시면 27인치에 2560x1440 해상도인 모니터 혹은 24인치에 1920x1080인 모니터 정도가 표준적일겁니다.
    그것 이하이신 시력이라면 27인치에 1920x1080이거나 32인치에 2560x1440모니터가 괜찮을테구요.
    24~27인치에 1920x1080용 모니터들이라면 그냥 속편하게 엘지나 삼성꺼 아무거나 사심 됩니다.
    이미 충분히 상향평준화가 이뤄진 제품군들이고 가격선도 떨어질만큼 떨어져 있어서 광시야각 적용된 모델 아무거나 사셔도 잘 쓰실겁니다.
    혹은 벤큐 알아보셔요.
    벤큐 제품들이 국내에서 브랜딩이 잘 안되어있어서 그렇지 라인업 종류로 봐도 그렇고 실제 제품 품질로 봐도 그렇고 모니터 제조사들 중에서는 최상급 티어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32인치에 2560x1440 모니터는 대중적이지 않으니 패스하고 27인치에 2560x1440모델은 지금 딱히 권해드릴만한 물건이 떠오르는게 없네요.
    시즈다(2017-05-02 20:57:27)211.197.***.168추천 0
    전 필립스 27인치 모델을 쓰고 있는데 만족하고 있습니다.
    277E 소프트블루
    공방탱커노예(2017-05-02 15:23:19)152.99.***.17추천 1
    와 좋은글 감사합니다! 와드!
    댓글 0개 ▲
    고든후리먼(2017-05-02 15:27:57)211.253.***.72추천 1
    추천입니다!! 이런 정성글!! 추천추천추추천!
    댓글 0개 ▲
    머래노(2017-05-02 15:30:49)221.148.***.225추천 1
    .
    댓글 0개 ▲
    김보급(2017-05-02 15:30:59)223.62.***.253추천 1
    견적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SWEV(2017-05-02 15:32:56)추천 3
    대충 견적에 문제 없는거 확인된 듯 하니 본삭금으로 전환합니다.
    댓글 0개 ▲
    쉐도우4(2017-05-02 15:45:35)211.36.***.201추천 1
    200만원대 pc에서 1080ti에 라이젠 1800x는 현재 기준으로는 안 좋은 조합같아 보입니다. 게임시 fhd에서 라이젠이 1080ti를 모두 쓰고 있지 못 해 게이밍 모니터에서 만족스러운 프레임을 뽑아내기 힘들기 때문이죠. 제 지인도 그래도 7700k로 다시 옮겨가서 프레임 몇십 올라가는 것을 보였습니다.

    물론 다른 작업도 한다면-모르겠지만요. 게임(용모니터)용 200만원 견적도 하나 더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1개 ▲
    SWEV(2017-05-02 21:36:19)추천 0
    1080Ti에 FHD 조합이라는 것 자체가 144Hz 지원용이라고 하기에도 GPU 연산성능의 낭비가 아닐까 합니다.
    2560x1440 해상도 이상에서는 라이젠과 i7간 성능 격차도 크지 않고 말이죠.
    게임용 견적은 아예 따로 하나 포스팅을 할까 말까 안그래도 좀 고민중입니다.
    견적이 종류별로 많이 짜는 건 제가 힘들기에 가능하면 만능형 견적을 짜려고 하는데다, 7700K쯤 쓰실 분이면 이런 초보자 지향의 견적 글을 별로 보지도 않으실겁니다-_-.
    줄무늬반달곰(2017-05-02 15:51:50)121.200.***.213추천 2
    ㄴ솔직히 뭔소리 인지는 1도 모르겠지만 이런 정성글은 대단하고 언제나 추천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S00YA(2017-05-02 15:53:32)121.128.***.9추천 1
    안그래도 컴터 사야할때가 되서 둘러보고 있었는데
    정성글을 팍!!!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음모론신봉자(2017-05-02 15:59:58)180.66.***.122추천 1
    .
    댓글 0개 ▲
    도닥붕(2017-05-02 16:13:02)175.194.***.17추천 1
    점을찍자!!!
    댓글 0개 ▲
    츤데레김첨지(2017-05-02 16:22:48)218.146.***.21추천 1
    오버워치 돌릴려면 80만원대 정도면 되나요?
    댓글 1개 ▲
    SWEV(2017-05-02 21:31:00)추천 0
    60짜리도 FHD에 60Hz 기준으로 잘 돌아갑니다.
    대충 60~80정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네루(2017-05-02 16:22:52)108.162.***.6추천 1
    저도 몇일전까지
    i5 1세대
    사파이어 라데온 5870 1기가

    2.88 -> 3.66 오버로 8년동안 쓰다가

    라이젠 1700
    1050ti 4기가로 넘어왔는데

    오버하고 나니 와.. 16쓰레드의 신세계... ㅠㅠㅠ
    레이스 기쿨로도 오버 잘되더군여

    안정화 통과하고 메인보드로 오버해서 사용중잉데 내부온도도 안정적이네요

    진짜 혜자 cpu가 틀림없습니다. 암드 만세!
    댓글 2개 ▲
    네루(2017-05-02 16:25:43)108.162.***.6추천 1
    할부가 아깝지 않음... ㅠㅠ
    SWEV(2017-05-02 22:01:55)추천 0
    아 이번 레이스 스파이어 쿨러 정말 잘나왔더라구요.
    CPU 제조사 쿨러가 이렇게 잘 만들어도 되나 싶을 정도.....
    볼트관통식으로 고정되는게 오히려 상위제품인 레이스 맥스 쿨러보다도 나은 구석이 있고 냉각용량 넉넉하고 소음 적고 정말 잘만들었어요.
    aOoOa(2017-05-02 16:33:56)1.245.***.72추천 1
    견적에대한 신사적인토론에 감탄하고 갑니다
    댓글 0개 ▲
    루비캣(2017-05-02 17:06:35)1.237.***.2추천 1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좋은 정보가 한가득이네요
    댓글 0개 ▲
    야성드루(2017-05-02 17:17:10)110.70.***.188추천 1
    견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로드데론(2017-05-02 17:54:29)218.39.***.173추천 1
    감사합니다(_ _)
    댓글 0개 ▲
    뽀뽀아빠(2017-05-02 17:57:53)223.62.***.171추천 1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박사님이라 부르고싶다
    댓글 0개 ▲
    레모네이능(2017-05-02 21:10:55)175.201.***.206추천 5
    혹시 이견적보고 사실꺼면 타 커뮤니티인 쿨엔조이나 플웨즈 등사이트에 질문글 올리고 사세요

    더 저렴한 가격이거나 조금의 추가금으로 더 좋은 성능을 내는 부품이 전부 빠져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삼성이 싫고 개인취향이 있으면 미리 언급을 하시는게 아닐지 생각드네요 추천견적으로썬 추천하지 못합니다.
    댓글 3개 ▲
    SWEV(2017-05-02 21:17:19)추천 0

    쿨엔조이에서도 제가 10년차 회원입니다.
    가입일이 4000일 정도 되어가네요.
    컴퓨터를 파는 업장을 운영하고 있진 않습니다만, 주변 사람들이 저를 계속 찾다보니 직접 견적내고 조립하고 소비자들과 1:1로 피드백 주고받은게 10년이 넘고 댓수로는 2000대가 넘습니다.
    레모네이능(2017-05-02 23:00:47)175.201.***.206추천 6
    이건 위에도 언급했다싶이
    ->삼성이 싫고 개인취향이 있으면 미리 언급을 하시는게 아닐지 생각드네요 추천견적으로썬 추천하지 못합니다.

    님이 쿨엔조이 운영자여도 님의견이 그커뮤니티 대표의견이 아닙니다.

    이댓글에 대댓글이 달린이유를 모르겠네요... 님의 말이 맞다고 가정한다해도 다른의견 들어보는게 더좋지 않을까요?
    SWEV(2017-05-02 23:09:54)추천 2
    일단은 레모네이능님 댓글 자체를 이해 못하겠습니다.
    "->삼성이 싫고 개인취향이 있으면 미리 언급을 하시는게 아닐지 생각드네요"
    삼성과 개인 취향의 문제로 특정 부품 업체를 배제한다면, 글의 처음 부분에 미리 밝히고 시작하는게 낫지 않냐는 뜻이신가요?
    네 글 앞부분에 처음 글 쓸 때부터 이미 다 써놨습니다.
    도덕적으로든, 기술적으로든 문제를 많이 일으키는 업체들은 배제한다구요.
    안읽으셨다면 글을 건성으로 읽으신걸겁니다.

    이번엔 제가 반대로 여쭙고 싶습니다.
    더 저렴한 가격이거나 조금의 추가금으로 더 좋은 성능이 나오는 부품이 '전부' 빠져있다고 하시는데 그 '전부'의 기준은 도대체 어디부터 어디까집니까.
    주장을 하려면 주장의 근거는 본인이 가져오는게 상식입니다.
    쿨엔조이에 가서 검증받아라 라는 말이야 당연히 해도 좋은 말이고 필요한 이야기지만, 무언가 틀렸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틀린 이유에 대해서 레모네이능님이 직접 데이터를 가져오셔서 밝히시는게 맞는거여요.
    맞고 틀리고를 논하는 자리에서 틀린 이유에 대해 정확한 설명도 없이 커뮤니티에 가면 더 나을것이다 라는 말씀을 하시는데 제가 커뮤니티 활동을 안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의미로서 캡쳐 보여드린거구요.
    가입 10년을 넘긴 입장에서 커뮤니티 활동이나 분위기,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안하고 쓰는 글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제가 틀렸다면 틀린 이유를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저 위에 파워용량 틀린거 지적 들어오길래 고민없이 바로 수정했습니다.
    누가 봐도 틀린 내용이면 고쳐야 맞겠죠.
    [본인삭제]레모네이능(2017-05-02 23:19:00)175.201.***.206추천 0
    SWEV(2017-05-02 23:33:53)추천 0
    당연한 이야깁니다.
    이 견적이 절대적인 기준치가 될 수는 없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쓰는 건 부품을 잘 고르기 위한 나름의 기준점 제시와 정보 공유 차원인거고 시장에 나와있는 무한대의 부품 조합에서 이것 하나가 진리라고 말할 수 있는 물건은 없을겁니다.

    다만 이러한 환경일수록,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 무엇일지는 고민해봐야 옳을겁니다.
    저는 PC를 2000대 단위로 조립하고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연락을 주고 받으면서 피드백을 받습니다.
    물론 저 스스로도 괜찮은 부품은 사다가 장시간 실사용 해보면서 이런저런 장단점을 느끼곤 하구요.
    긴 시간동안 쌓아온 많은 경험에 비추어 보아, 가장 스트레스가 적을 방법을 찾자는 게 본 견적의 취지입니다.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성능은 제 알바 아닙니다.
    성능이야 돈 들이는 만큼 나오기 마련인건데 그런 견적은 다른데 가도 많으니까요.
    그저 오랜 시간 탈없이 쓰는 부품이 무엇일지 고민한 결과라고 보아주세요.
    그것 외엔 저는 관심이 없습니다 딱히-_-.
    레모네이능(2017-05-02 21:13:21)175.201.***.206추천 2
    또한 인텔CPU가 하나도없는데'미래를 보는 라이젠' 이말은 지금은 라이젠이 시궁창이라는겁니다.

    당장의 게이밍 성능이 필요할것이고 미래로가면 미래의 부품이 지금부품보다 훨좋습니다.

    거기다 이미 게이밍성능 1080TI 벤치에선 라이젠이 인텔에비해 너무나도 약한걸 볼수있습니다.

    미래를 보면 지금 라이젠은 아닙니다. 정말 이견적으로 사고 후회하실분들 생기지 않았으면 합니다. 낚시글과 다름없어요.
    댓글 3개 ▲
    SWEV(2017-05-02 21:26:36)추천 1
    인텔 CPU가 게이밍용으로 따지면 지금 라이젠보다 '조금' 낫겠죠.
    그런데 컴퓨터는 게임만 하는 기계가 아닐뿐더러, 요즘 같은 시대에 컴퓨터에 100만원 넘는 돈을 투자하면서 게임 성능에만 치중하는 것은 좋은 조합이 못됩니다.
    PC 부품들이 게이밍 컨셉으로 많이 나오고 있다보니 현행의 PC시장은 게임을 위한 시장이라는 인상을 받기 쉽고, 쿨엔조이에서의 주요 화두가 게이밍이기 때문에 더 그런 생각을 하실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요즘처럼 x86 PC의 평균 판매 단가가 주저 앉았고 게임을 위한 다른 하드웨어들이 많은 시대에 게이밍이라는 화두를 들고 나온 건 x86 PC 시장의 발악에 가깝습니다.
    시장의 주력 제품은 이미 노트북으로 옮겨간지 오래고,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셀러론 달린 보급형 PC로도 충분한 성능을 누리며 삽니다.
    이런 와중에 '비싼 걸 팔면 속도가 빠르다'라는 주장을 할 수 있을만한 유일한 분야가 사실상 게임밖에 남지 않았기에 고가 부품을 만들고 팔아야 하는 PC시장이 선택한 싸움터가 게임일 뿐이여요.

    그런데 현실로 돌아와보면, PC는 여전히 유효한 생산의 도구입니다.
    당장 이 글에 달린 견적에서 오버워치나 다른 특정 게임을 목표로 한 견적의 반응이 많은지, 혹은 그냥 컴퓨터를 한 대 살 때가 되어서 적당한 견적을 찾고 계시던 분들이 많은지를 고려해보셔야 할겁니다.
    x86 PC는 다른 플랫폼에 비해서 '만능에 가까워야 할 이유'가 훨씬 더 많은 물건이고, 이런 상황에서는 CPU 스루풋이 많은 쪽이 소비자에게 무조건 유리하다는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됐습니다.
    본문 내용에도 있는 켄츠할배와 울프할배 이야기가 그런 맥락이었죠.
    SWEV(2017-05-02 21:44:00)추천 1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벤치마크 수치만 수직적으로 비교를 하면 맹점에 빠지기 쉽습니다....
    닥터몰라의 라이젠의 게이밍 성능에 대한 데이터 분석글을 권해드립니다.
    http://drmola.com/pc_column/157737
    잘 쓰여진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삭제]레모네이능(2017-05-02 23:10:22)175.201.***.206추천 1
    [본인삭제]레모네이능(2017-05-02 23:13:59)175.201.***.206추천 1
    SWEV(2017-05-02 23:41:31)추천 1
    뭔가 오해를 하시는 것 같은데....
    제 개인 취향은 '보편타당성을 쫓자'입니다.
    PC=게임기라는 공식이 현행의 x86 PC시장을 지켜볼 때 보편타당하지 않으니 돈 들여서 PC를 맞출 땐 만능형에 가깝게 가야한다는게 제 해석인거고, i7보다 라이젠이 만능형에 더욱 가까우니 고른것 뿐이여요.
    제가 특정 업체를 좋아하거나 싫어해서가 아니라 그냥 데이터에 근거한 감정없는 판단일 뿐이란 이야깁니다.
    여기에 대해서 반박을 하시려면 똑같이 추론과 그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를 가져오시면 됩니다.
    같은 이야기를 반복하게 됩니다만, 무언가 '틀렸어' 라고 말하려면 그만한 이유가 있어야 할겁니다.
    중가 이상의 견적에서 인텔을 제외하려고 하는거 맞습니다.
    돈값을 못하니까요.

    상위 견적에선 게이밍'만' 중요한게 아닙니다.
    게이밍'도' 중요하다 라고 본문에 밝혀놨구요...
    제가 한 적이 없는 이야기를 상상해서 쓰시면 제가 어떻게 반박을 해드립니까.....
    고사양 GPU에서 FHD보다는 고해상도를 쓰는게 상식이고, 고해상도일수록 라이젠과 인텔 상위 제품군과의 격차는 줄어듭니다.
    커뮤니티에서 수도없이 증명된 명제를 이제와서 부정하시는 것은 아니리라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보급형으로 할 수 있는 생산성은 하이엔드에서 당연히 된다라는 말씀....
    네 셀러론 3930 달린 PC로도 CATIA가 돌기는 할겁니다.
    근데 투자비용 대비 성능에 대해서 고민하는건 당연히 순리 아닌가요?
    80만원짜리든 100만원짜리든 같은 돈이면 더 나은 성능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물건이 버젓이 있는데 인텔을 써야 하는 이유가 어디 있나요.
    당장의 게임 몇프레임이 PC 구매후 사용환경과 사용자 경험의 절대치라고 생각하신다면 시장을 잘못 읽으신겁니다.
    불꽃길(2017-05-02 21:20:03)110.70.***.29추천 5
    상당히 제기준에서 hdd가 별롭니다.

    5.3에 1테라 인데... 솔찍히 30만원이면 ssd빼고 일반 hdd넣은것도 방법일거 같네요.
    저는 그리 호감글은 아닙니다.
    댓글 1개 ▲
    SWEV(2017-05-02 21:30:13)추천 0
    지금 시점에서 SSD를 뺀 PC라는건 말이 되지 않습니다.
    용량 확장이야 본체 내부에 하드를 나중에 추가하든, 외장을 붙이든 굉장히 손쉬운 절차로 끝인데 HDD to SSD OS 이전은 굉장한 노력을 요구합니다.
    30만원짜리 PC에 만능을 기대하는 건 의미가 없고, 적당한 가격에 불편하지 않은 체감성능 정도면 소비자들은 이미 충분히 만족해요....
    그리고 30만원짜리 PC를 구매하는 소비자층은 원가 1~2000원에도 굉장히 민감합니다.
    13000원의 차이가 작지는 않을 분들에게 권해드리기가 좀 거시기하죠 아무래도......
    부장님짱시룸(2017-05-02 21:22:40)122.34.***.74추천 2
    Ssd 가이드는 꼭 필요한가요?
    보통 다른 견적에서는 안보이던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댓글 1개 ▲
    SWEV(2017-05-02 21:28:09)추천 0
    3.5인치 하드를 쓰실거라면 필요 없습니다.
    그런데 소음, 발열, 소모전력등의 이유로 저는 1TB 이하의 HDD는 노트북용 HDD를 사시라고 권해드리고 있어요.
    SSD 가이드가 있는 건 2.5인치 베이가 2개 이상 있는 케이스가 드물어서 넣은겁니다.
    2.5 SSD와 3.5 HDD를 조합해서 쓰실 것이라면 안쓰셔도 됩니다.
    초간지누님(2017-05-02 22:02:27)121.186.***.89추천 0
    질문좀요! 일러스트랑 포토샾 주목적이구 겜은 오버워치 롤정두하는데 어느가격대 견적이 가장좋을까요?
    댓글 1개 ▲
    SWEV(2017-05-02 22:04:13)추천 0
    60~80만원 정도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60만원짜리와 80만원짜리 부품들은 서로 완벽히 호환되니 예산 맞춰서 섞어 사시면 될것 같습니다.
    Zeratul_A10(2017-05-03 10:28:46)175.197.***.210추천 0
    제가 케이스 안쪽이 안보이면 청소를 안하게 되서 내부가 보이는 케이스를 사고 싶은데 50만원대에서 아크릴 케이스로 교체한다면 추천받을 만한 게 있을까요?
    그리고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299934&s_no=299934&kind=search&search_table_name=bestofbest&page=1&keyfield=subject&keyword=%EA%B2%AC%EC%A0%81
    이 글을 보고 참고했습니다만. WD Green SSD(120GB) 대신 신형 컨트롤러와 3D NAND 기술이 적용된 ADATA Ultimate SU800(128GB)제품을 구매하려고 하는데 관련 이슈가 있어서 배제하신 건가요? 아니면 이쪽으로 맞추어도 상관 없을까요?
    댓글 1개 ▲
    SWEV(2017-05-03 11:12:24)추천 0
    ADATA 제품이 국내에선 판매량이 많지가 않아 이슈가 별로 안되는데, 해외쪽에서는 저가로 밀고 나가서 좀 팔리는 편입니다.
    그런데 해외 포럼들에서 ADATA의 플래쉬 메모리 제품군들이 데이터가 증발하거나 날아가는 경우에 대해 호소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고, 저도 주변의 레노버 PC에 ODM으로 들어간 물건들이 죽어나가는 사례를 몇 보았네요.
    낸드 플래쉬 메모리의 품질은 개인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측정할 방법이 사실상 없다보니 해외쪽의 사고사례를 많이 수집해서 위험요소가 있는 브랜드를 피하는게 아마 가장 확실한 방법일겁니다.
    아니면 삼성전자의 850EVO 처럼 초월적으로 잘 나온 물건이 오랜 시간 검증된 경우도 소비자가 믿고 살만할테구요.
    요약해드리자면, 그리 믿을만한 회사는 못되는 눈치다....정도로 받아들여 주셨으면 합니다.

    케이스의 경우엔, 기본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고민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신라면 박스에 대충 담아서 써도 컴퓨터는 돌아가고 케이스가 없어도 컴퓨터는 작동에 별 지장이 없어요.
    그런데도 굳이 쓰는 이유는....

    1. 부품의 정확한 장착과 고정으로 접촉불량을 방지
    2.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부품들을 보호(물, 분진 등등)
    3. 일정한 방향의 공기 흐름을 만들어주어 부품을 냉각
    4. 전자파 차폐

    1,2,3번은 부품들을 위한 요소이고 4번은 사용자를 위한 요소일겁니다.
    사람이 쓸 컴퓨터이니 사람에게 배려가 이뤄져야 맞을진대, 전자파처럼 유해성 유무조차도 명확치 않은 미지의 위험요소를 막아주는 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덕목 아닐까요.
    국내외의 인증기관에서 전기를 쓰는 제품의 전자파 관련 조사와 시행령이 엄격하게 이뤄지는 이유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케이스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전자파 차폐가 가능하도록 완전 밀폐형으로 이뤄진 철/알루미늄제 케이스가 옳다고 생각합니다.
    측면이 통째로 강화유리나 아크릴인 케이스는 저는 좀 피해야 맞지 않나 싶어요.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의 신념에 가까운 부분이니 적당히 걸러들으셔도 좋습니다.
    [본인삭제]김보급(2017-05-04 00:04:14)116.127.***.223추천 0
    댓글 0개 ▲
    김보급(2017-05-04 00:05:46)116.127.***.223추천 0

    올려주신 견적을 토대로 해서 이렇게 맞춰보려고 합니다.
    첫 컴퓨터 조립이다보니 호환성 같은 부분이 신경 쓰이는데, 상기 견적대로 조립시 별다른 이상은 없을까요?
    댓글 2개 ▲
    SWEV(2017-05-04 01:29:29)추천 0
    파워가 낭비입니다.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정도로 낮추셔도 돼요.
    CPU값에 육박하는 파워는 보급형 컴터에서 너무 낭비가 심해요.
    시스템 전체의 내구성을 고려하신다면 차라리 500hpn이 낫구요.
    김보급(2017-05-04 03:48:51)116.127.***.223추천 0
    말씀하신대로 파워는 교체를 해야겠네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본인삭제]taesunyi(2017-05-04 02:58:08)222.99.***.215추천 0
    댓글 1개 ▲
    SWEV(2017-05-04 06:09:08)추천 1
    오버클럭 안하실거라면 삼성램 끼우셨을 때 나중에 메모리 클럭이 보증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견적 본문에도 쓰여있지만 QVL을 참조하는 이유가 분명히 있어요....
    이건 고려를 좀 해주셨으면 좋겠고.....

    나머지는 다 좋습니다.
    그리고 1060과 1070의 성능차이는 정확히 가격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요즘 방송쪽은 NVENC를 이용한 실시간 인코딩송출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그래픽성능이 좋은 쪽이 당연히 좀 더 유리합니다.
    1060이나 1070이나 GPU성능 자체야 FHD급 NVENC 실시간 변환이 여유롭게 가능한 정도지만, 1컴으로 게임도 돌리면서 방송 송출까지 하려면 아무래도 GPU파워가 남는 쪽이 낫지 않겠나 싶어요.
    기왕 쓰실 거 한번에 확 쓰시는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어차피 예산이 빡빡한 상황이 아니니까요.
    [본인삭제]대박그녀(2017-05-10 17:06:02)220.117.***.2추천 0
    댓글 0개 ▲
    [본인삭제]대박그녀(2017-05-10 17:46:31)220.117.***.2추천 0
    댓글 0개 ▲
    대박그녀(2017-05-10 17:58:44)220.117.***.2추천 0

    안녕하세요 ㅠㅠ 댓글 수정이 안되서 지우고 쓰고를 반복하네요;;;

    올려주신 견적 내용을 기준으로 몇가지 바꿨는데 ㅠㅠ 이대로 준비해도 될지몰라서 문의드려요~
    게임은 하지않아서 그래픽 카드는 필요 없을거같고
    추가 용량이 필요해서 하드는 1Tb로 바꾸고 메모리카드는 4기가는 너무 작은거같아서 2개로 8기가 맞추면 어떨까해요 ㅠㅠ
    그런데 메모리카드를 올리는데... 30만원 견적의 CPU가 쪼금 꾸진게 아닌가 싶어서 50만원 견적 CPU로 변경했어요
    이대로 준비해도 될까요?

    추가로 문의드리고 싶은 부분은.. 다나와에 견적의뢰 하니 파워가 품절인 곳들이 너무 많더라구요 ㅠㅠ
    올려주신 파워 제품을 대체할만한게 어떤게 있는지 추천 부탁드려요~

    아! 마지막으로... 다나와 업체들이 하드가 노트북 하드니까 바꾸라고 머라머라 하던데.. 노트북 하드를 써도 되는거겠죠??
    댓글 1개 ▲
    SWEV(2017-05-14 18:55:42)추천 0
    1. 파워가 품절이면 일시적인 재고부족일겁니다. 조금 기다렸다가 사시거나 상위모델인 Cyclone 400W 혹은 The Classic 500W 사시면 됩니다.

    2. 노트북 하드를 쓰는 이유는 조용하고 전기 덜 먹고 진동이 없어서입니다. 이유가 있어서 고른 것이니 믿고 가시면 됩니다.
    에스페란자(2017-05-10 19:48:14)220.95.***.94추천 0
    좋은글 감사합니다.
    이 견적을 참고로 구매를 하려고하는데
    메인보드에서 기가바이트 GA-AB350M과 350의 차이점이 뭔가요?
    아무리 검색을 해도 나오질 않네요.ㅠㅠ
    350이 3만원 더 비싸더라구요
    댓글 1개 ▲
    SWEV(2017-05-14 18:56:46)추천 0
    AB350과 AB350M의 차이는 마더보드 크기 차이입니다.
    AB350M은 mATX 마더보드(상대적으로 소형)이고, AB350은 ATX(표준 사이즈)입니다.
    그걸 제외한 전체적인 부품의 질과 등급은 형제 라인업인만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되어요.
    그런데 제가 본문에 추천한 케이스들 중에서 AB350이 들어가는 케이스는 없으니 살 때 조심해서 잘 살펴보고 고르셔야 합니다.
    깨룩깨룩(2017-05-20 12:16:41)180.65.***.16추천 0
    요즘  라이젠  출시되고  나서 관망하고  있었는데 좋나  보네요 ㅎ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댓글 0개 ▲
    smileesh(2017-05-24 21:05:04)14.43.***.218추천 0
    컴퓨터 견적
    댓글 0개 ▲
    대왕햄스터(2017-05-26 03:22:47)211.36.***.73추천 0
    좋은글과 댓글까지 모두 잘 읽었습니다. 제가 게임을 좋아하긴 하지만 현제 엑셀등의 사무 최적화 피씨를  150만원 이하 견적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일단 그래픽을 1060 6기가 모델로 낮추고 램을 16기가 2개로 32기가 까지 늘리는것이 엑셀 작업에 더 좋지 않을까 하는데 어떤가요?

    또한 차후 고사양 게임을 하게 될 확률이 높을것 같은데요. 그럼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 해야 할것이고 미래를 위해 파워도 조금 넉넉하게 가고 케이스 크기도 미들로 가야 나중에 여러가지 선택에 제약이 없을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혹시 추천해주실만한 케이스나 600이상 파워는 없으신지요.  마지막으로 (아이구주 M2 타이푼 RING LED & 강화유리) 케이스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 선택해봤는데 평가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댓글 1개 ▲
    SWEV(2017-05-30 11:32:44)추천 0

    1. 사무 최적화 PC에서는 상기 대부분의 견적이 사치에 가깝습니다.
    30만원짜리조차도 기본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이야 다 돌겠죠.
    그런데, 엑셀 매크로를 아주 하드하게 돌리시는 상황이 된다면 라이젠보다도 오히려 i7 계열들 성능이 더 잘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이젠 1700의 카운터파트는 i7 7700K인데 보시다시피 7700K쪽이 라이젠보다 엑셀 성능만 놓고 보면 20% 가까운 격차로 따돌리고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사무용 PC에서 돈을 많이 써야 하는 상황은 실질적으로 '엑셀 매크로를 하드코어하게 돌리기 위한 상황' 말고는 없고,
    그런 조건에서는 라이젠보다 i7을 쓰시는게 목적에 맞는 투자가 될 겁니다.
    그래픽카드는 싼거 쓰셔도 됩니다.
    저런 조건에서는 GTX 1050만 되어도 충분해요.
    오피스 프로그램중에서 그래픽 성능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아직 없습니다.

    2.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까지 다 고려한 견적입니다.
    미들이든 미니든 위의 100만원 이상 견적에 들어간 케이스들은 모두 300mm 이상의 긴 그래픽카드를 여유롭게 들일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중인 VGA 중 가장 긴 것이 350mm를 넘지 않습니다.
    대형 VGA라도 케이스의 수용 공간은 이미 충분히 여유로우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파워는 싱글 GPU VGA 기준으로 잘 만들어진 550W 모델이면 모자랄 일 없습니다.
    최하단 견적의 XFX 550W 모델을 권해드립니다.
    현행 엔비디아 플래그쉽인 GTX 1080Ti조차도 잘 만들어진 500W 파워면 여유롭게 굴러갑니다.

    3. 위의 댓글에도 가볍게 써놓았는데, 케이스를 굳이 쓰는 이유중 전자파 차폐라는 목적이 분명히 있는 이상 저는 강화유리나 아크릴로 옆면 전체를 오픈해놓은 케이스를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랄라랄라랄(2017-06-03 23:47:42)108.162.***.161추천 0
    컴퓨터사려구 이글 며칠동안 읽은거 같아여.. 좋은글 감사합니다
    제가 컴알못이라 질문좀 드릴게여..
    1500x 견적으로 사려고 하는뎅 램 4gb짜리 두개로 되어있자나요? 그거 8gb짜리로 끼고 나중에 봐서 하나 추가하는건 별로일까요? 답변해주시면 캄사하겠슴니다..
    댓글 2개 ▲
    SWEV(2017-06-04 02:14:02)추천 0
    그러셔도 됩니다.
    단, 라이젠은 메모리 성능을 좀 많이 타는 CPU여요.
    가능하면 빨리 16GB로 올려주셔야 좋을겁니다.
    랄라랄라랄(2017-06-04 02:28:18)108.162.***.161추천 0
    우오 답변감사용.. 아 일단 두개다 껴야 좋은건가여?
    그럼 cpu 사는곳에서 사은품으로 마이크론4gb하나준다던데 같은거 하나 더사서 두개 끼울까요오?
    안탄날(2017-07-14 17:32:32)119.196.***.148추천 0
    정성글에 추천을 드리려 했으나  30일이 지난글이라 안되는군요. 오래된 글이라 답변을 해주실지는 모르겠으나 초보로서 질문드립니다. 올려놓으신 견적의 부품들을 구매했을때 초심자가 조립을 시도해볼 수 있는지요? 구매사이트에 조립을 의뢰하는게 나을지요?  혼자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혹시 돌이킬수 없는 손상이 생기기 쉽다거나 한지 모르겠습니다.
    댓글 1개 ▲
    안탄날(2017-07-14 17:33:53)119.196.***.148추천 0
    참고로 104만원 견적에 관심이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1857
    컴퓨터 부팅이안됩니다 [4] 캐스트 25/03/30 09:53 550 0
    371856
    혜선이 사진이라니 [4] 싼타스틱4 25/03/29 00:24 912 2
    371855
    윈도우 10 설치시 키보드 먹통. 살려주세요. [10] s4arha7 25/03/24 17:52 575 1
    371854
    이거 본체 얼마에 팔리면 팔릴까요? [9] 본인삭제금지 반반치킨 25/03/17 15:38 1026 1
    371853
    xfx 라데옹 9070xt 구입기 [6] MPLS 25/03/13 16:09 1142 5
    371851
    견적 거의결론 난듯 하네요 당구장주인장 25/03/12 17:20 1095 2
    371850
    그래픽 카드 업글하려는데 질문입니다 [5] 본인삭제금지 씨없는돌쇠 25/03/11 03:51 956 3
    371849
    수리알아보다가 새로 조립하는쪽으로 마음이 기울었습니다... [9] 본인삭제금지 최고보단최선 25/03/10 18:48 840 2
    371848
    ssd 호환문제 때문에 글 씁니다 [5] 잠이가온다 25/03/10 18:16 836 0
    371847
    메인보드 불량인가요? [8] 창작글베오베금지본인삭제금지 폰은정 25/03/09 18:53 903 4
    371846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메세지가 뜨는데요 다른컴터에 연결하면 [14] 변태궁디Lv10 25/03/07 03:13 1244 0
    371845
    CPU 또는 VGA 업글 질문입니다 [7] 마누라밥좀줘 25/03/05 22:46 1165 0
    371844
    서피스 기적적으로 고쳐짐 ㄷㄷ [4] OMG! 25/03/05 10:33 1362 2
    371843
    서피스4 배터리 수리비용 15만원 [2] 본인삭제금지 OMG! 25/03/04 09:34 980 0
    371842
    NVIDIA 블랙스크린 드라이버: 572.60 [4] 창작글 NeoGenius 25/03/03 21:36 1169 3
    371841
    ASRock B650 제품에 사용할 램 추천해주세요~ 된장맛쿠키 25/03/01 00:55 1000 0
    371840
    형님들 아내한테 허락 받았어요 견적좀 부탁드립니다 굽신 [5] 현아★ 25/02/28 23:42 1332 2
    371839
    형님들..유부남 컴터를 업글 할 수 있을까요..? [4] 본인삭제금지 현아★ 25/02/28 19:41 1077 2
    371838
    컴 케이스갈이 하는김에 업글하려고 하는데요 [2] 창작글 쿠아프 25/02/27 21:03 1119 0
    371837
    시소닉 파워 A/S 후기... [4] S2하늘사랑S2 25/02/27 19:57 1133 3
    371836
    컴퓨터가 고장났습니다... 업그레이드하려는데 한번 봐주세요.. [7] 본인삭제금지 최고보단최선 25/02/26 18:30 1072 2
    371835
    [본삭금] 노트북 골라주세요ㅜ [9] 본인삭제금지 돈까스제육 25/02/26 07:53 965 0
    371834
    지금 컴퓨터를 사야할지 너무 고민되네요(그래픽 카드 문제) [3] 된장맛쿠키 25/02/25 22:57 944 1
    371833
    형님들 컴터가 이래 소리만 나고 화면이 안뜨는데 무슨 문제일까요?ㅠ [9] 창작글본인삭제금지 Hush 25/02/24 22:48 974 0
    371832
    글꼴: Cascadia Code NeoGenius 25/02/22 12:03 1131 3
    371831
    모니터 버려야할까요..? [3] eve 25/02/22 08:41 1378 3
    371830
    이거 충전기 둘다 써도 될까요? [6] Niang 25/02/21 22:35 962 1
    371829
    참 애매하네요 당구장주인장 25/02/21 21:21 916 0
    371828
    본삭금! 노트북 도움이요!!! [19] 본인삭제금지 돈까스제육 25/02/20 06:24 1211 3
    371827
    7년만에 컴퓨터 교체 스모크치즈 25/02/20 02:07 1389 4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