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공정' 도발, 유사시 '북한점령' 근거
사회과학원, 논문 18편 대거 발간. "한강이북은 원래 중국땅"
중국의 '동북공정' 역사왜곡 공세가 재가동됐다. 북한 붕괴시 중국이 북한을 점령하기 위한 사전포석의 성격이 짙은 공세다.
중국 사회과학원, 중국시각 왜곡 연구논문 전격 게시
5일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邊疆史地) 연구센터에 따르면, 2002년부터 동북공정(東北工程)을 핵심 사업으로 추진해 온 이 연구센터는 최근 웹사이트에 발해국사 등 동북지방의 역사를 정리한 과제논문 27편 중 18권의 내용을 정리한 요악본을 게시했다.
중국 측은 한국 측의 반발을 우려해 논문 발표 시점이 2005년 9월 21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개를 하지 않아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 드라마 <연개소문><주몽> 등 고구려와 발해사를 다룬 드라마가 방영되자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이들을 일시에 웹사이트에 게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발해국사 “한국연구, 민족감정 치우쳐서 함부로 지껄여”
헤이룽장(黑龍江)성 사회과학원은 20번째 논문인 ‘발해국사’편에서 "남-북한이 많은 저서와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일정한 성과를 거뒀지만 민족적 감성에 사로잡혀 학술연구의 정상궤도에서 벗어났다"며 “중국측의 입장에서 여러 문제의 시시비비를 명확하게 하고, 중국의 발해 관련 역사관을 선전하고 지키는 한편, 국외학자 일부의 황당무계한 논리를 논박해야 한다”고 집필 배경을 밝혔다.
사회과학원은 이어 “특히 한국은 중국에 대규모의 인력과 재력을 투입하고, 대량의 전문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면서 비록 몇몇 미시적인 문제에서 일정한 성과를 얻었다”고 한국측 연구에 대한 부담감을 드러내며, “그렇다 할지라도 연구에 민족 감정이 뒤섞였고, 학술 연구의 정상적인 궤도를 벗어났으며, 일부 중대한 역사의 시비에 대해서는 더욱 이치에 맞지 않는 말로 억지를 쓰고, 함부로 지껄이면서도 한국정부의 격려와 지지를 통해 ‘자신들의 성과’를 대량으로 발표하고, 이미 국제 여론 중에 나온 압도적인 우세를 눈가림하고 있다”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논문은 구체적으로 "발해 건국의 주도세력은 고구려인이 아니라 말갈족"이라며 대조영(大祚榮) 정권이 발해 초기 말갈을 정식국호로 채택한 점 등을 그 근거로 들었다. 또한 발해국이 완전한 주권을 가진 독립국가가 아니라 당나라의 통치범위 안에 든 지방민족정권에 불과했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구체적으로 “발해에서 말갈 사람 숫자는 56만명이나 됐을 뿐 아니라 이미 중국화(漢化)했고, 상당히 강대한 잠재적 정치 세력을 형성했다"며 "말갈인이 발해 건국의 주도세력이었으며, 고구려인은 기껏해야 부차적이고 보조적인 지위를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또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이 정권을 처음으로 세울 때 ‘말갈’을 정식 국호로 삼는지 밝히는 등 분석을 진행해 발해국의 주체 민족이 말갈이고 말갈 사람의 국가인 것을 증명하여 근본적으로 학술상의 타파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발해가 당나라의 조정에 속해 각종 의무를 실행했고 파견 주재를 받는 등 발해가 완전의 주권을 가진 독립국가가 아니고, 당나라의 1개 지방 민족정권에 불과했다는 점” 등을 강조하며 발해를 당나라의 속국으로 치부하기도 했다.
“발해 장묘제도 등과 고구려 것 비교해 차이점 부각시켜야”
8번째 논문인 ‘발해사론’에서는 발해의 분묘형태와 장례의식, 기물(器物)과 도기(陶器), 관혼상제 풍습 등을 고구려와 비교해 양자 차이점을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발해가 중국측 문화와 더 가깝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주력했다.
이 논문을 발표한 헤이룽장성 고고학연구소는 “발해와 관련해 20세기에 나온 전문저서는 10여부, 논문은 3백여편, 고고학에 관한 간략한 보고와 도보는 1백여편이 대부분 전통식 연구방식에 따른 것이지만, (한국 등) 주변국에 비해 문헌, 문물자원, 재력 등이 우세하다는 점에서 이에 대해 긴박감과 유비문환 정신으로 연구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또 “북한에서는 60년대 박시형, 70년대 주영헌 등이 ‘발해는 우리 민족역사’라고 선전하며 연구경비 및 기구 확충, 인재 양성 등에 나서고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킨 한국 역시 거액을 투입해 인재를 기르고 연구에 나서고 있다”며 남-북 발해연구에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논문은 “발해사에 대한 조사 연구는 중국 역사관의 시각에서 관찰하고 과제를 해결하고, 발해 역사의 기본 이론 문제를 연구하고, 민족 구성의 기원을 탐구하며, 발해역사 연구를 재심해 일부의 잘못된 관점을 비판해야 한다”며 “발해 영토의 변화, 국호의 변화 및 그 원인, 발해 고분 형상과 구조 및 거동과 장묘제도를 연구하고, 고구려와 그것을 비교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
“당나라 속국 유민들이 요와 금으로 옮겨 중화민족에 동화”
지린(吉林)대학이 발표한 22번째 ‘발해 이민 관리와 귀속의 연구’라는 논문도 “한국이 주장하는 발해국의 고구려인 주도설은 역사적 사실에 어긋난다"며 "실제 발해는 말갈에 세운 지방 정권으로, 고구려로부터의 후계자가 세운 정권이 아니며, 양자는 동일 민족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발해는 건국 이래에 당 왕조의 관할하의 정권이 되어 당 왕조의 책봉을 받아들이고, 중국 역사 상에 분리될 수 없는 일부분이 되면서, 그것은 백성에 속하게 됐고 중화민족의 한 분자였다”며 “발해가 멸망한 후 발해 이민자들은 요나라와 금나라로 이동하면서 점차 중화민족 사이에 녹아들었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이밖에 “발해유민이 왕씨 고려에 이민했고, 고려는 조세를 빼는 등 각종 우대를 주고 동일 혈연체로 여겨 각종 면제 조치를 했으며, 그 이동의 인원은 수십만명에 달했다”는 <북한통사> 등의 역사기술에 대해서는 “(중국에) 이민에 대한 연구에게 부족하고 국내에 현재 이 분야의 연구의 논저는 아직 없고, 공백에 속한다”고 밝혀 향후 이 부문에 대해 중국측의 연구가 집중될 것을 시사했다.
한국과 북한이 부정하는 기자조선을 중국 역사로 기술
6번째 논문인 ‘기자와 기자조선 연구’에서는 우리 학계가 그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기자(箕子)에 대해 "은(殷)대 갑골문자와 전진(前秦)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면서 "기자가 한반도에 최초의 지방정권을 세웠다"고 주장했다. 논문은 "기자가 세운 기자조선은 주나라와 진나라의 복속돼 있었고 후에 위만(衛滿)의 정변으로 멸망했다"며 "기자조선이 이후 위만조선과 한 4군, 고구려, 발해로 이어지는 시작점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논문은 구체적으로 “한국과 북한이 기자와 기자조선의 존재에 대해 부정하고 있지만, 실제 기자는 중국 상나라와 주나라의 고대 역사, 중국 동북지방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당시 철학자, 정치가로서 기자는 중국 역사, 중국 사상 문화사에 나타나며 그 학문과 인품 및 영향은 실제 존재했었고, 그 흔적은 지금까지 여전히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기자조선은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지방 정권으로서 기자조선은 중국 동북지역 역사의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이밖의 ‘국제법과 중국 북한 국경선 문제 논쟁’ 등의 다른 논문들도 "고구려는 고대 중국의 지방민족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등 역사왜곡을 자행했다. 애당초 한강 이북까지가 중국 영토였으나, 신라-백제 등의 침탈로 영토를 잃었다는 식이다.
문제 논문들을 게재한 중국 사회과학원은 '동북공정'을 주도해온 핵심 연구기관. 이 기관은 중화민족의 애국주의 전통 계승을 주요한 목표로 삼고 있으며, 국경문제의 핵심현안으로 고구려 문제, 러시아에 합병된 탕누우량하이, 신장위구르자치구의 현안인 동투르키스탄 문제, 남사군도,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문제 등 5개를 꼽고 있다.
요컨대 고구려 즉 현재의 북한이 원래 중국땅이었다는 주장으로, 이는 단순한 역사왜곡의 차원을 넘어서 북한 붕괴시 중국군의 북한 점령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사전포석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풀이돼 남-북의 강력한 공동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 김홍국 기자 (
[email protected])
울 나라 역사 교육 몇부분은 맘에 안들더니만... 떱..
1) 시작하자마자 식민지였다고 가르킨다.
2) 신라 삼국통일의 의의가 그것을 통해서 민족이 형성되었다는 식으로 가르킨다.(중국넘들이 낼름 주워먹기 딱이지.)
3) 대 동이족 그룹으로 보지않고 반도 위주로 흐른다.(여진족도 동이족이다라고 우겨주면 중국땅이 우리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