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치전문가들, MB 지지도 4% 충격!
KSOI여론조사 “위기상황 극복 쉽지 않아” 부정평가 80%
김상영 기자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협상을 요구하는 촛불집회가 연일 서울 시청 일대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의 이명박 대통령 지지도는 ‘날개 없는 추락’ 양상을 보이며 10%대로 급격하게 하락했다. 정치전문가들의 평가는 더욱 냉혹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이명박 대통령 취임 100일에 즈음해 정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의 지지도가 4%까지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출처: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KSOI는 정치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명박 대통령 취임 100일’ 평가에 대한 설문 조사를 5월 27일부터 28일에 걸쳐 학계, 언론계, 시민단체 각 50명, 총 1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96%, ‘잘하고 있다’는 응답 4%로 조사됐다. 특히 ‘보수층’에서 부정평가가 97.0%로 나타났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이 같은 부정평가는 전문가들의 연령, 소속을 막론하고 90%를 상회했으며, 40대, 학계와 시민단체에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높았다는 게 KSOI 측 설명이다.
정치전문가들은 향후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KSOI에 따르면 향후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현재 위기상황의 극복이 쉽지 않아 지지도 침체가 지속될 것이다’는 ‘비관전망’이 80.7%로 ‘현재의 위기는 일시적이므로 곧 지지도를 회복할 것이다’는 ‘낙관전망’ 19.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 출처: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이념성향에 관계없이 ‘비관전망’이 ‘낙관전망’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보수층’에서도 ‘비관전망’ 64.7%, ‘낙관전망’ 35.3%로 ‘비관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비관전망’은 40대 이하, 언론계와 시민단체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 반면, ‘낙관전망’은 50대 이상, 학계 소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음은 KSOI가 분석한 이명박 정부 정책 설문조사>
4대강 정비사업 및 물길잇기, ‘반대’ 87% > ‘찬성’ 13%
이명박 정부가 추진 중인 주요 정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살펴 보았는데, 4대강 정비사업 및 물길잇기(대운하 사업)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이 86.7%로 ‘찬성한다’ 13.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94.1%)은 물론 보수층에서도 ‘반대’ 의견이 74.4%로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의견은 30대 이하, 언론계와 시민단체에서 특히 높았음. 반면 ‘찬성’ 의견은 모든 계층에서 30%를 넘지 못하는 가운데 50대 이상, 학계에서 전체평균 이상으로 나타남
전기·가스·수도 등 기간산업 민영화, ‘반대’ 86% > ‘찬성’ 14%
전기·가스·수도 등 기간산업 민영화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이 86.0%로 ‘찬성한다’ 14.0% 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념성향별로 보면, 보수층과 진보층 모두 ‘반대한다’는 의견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40대, 시민단체에서 특히 높았으며, ‘찬성한다’는 의견은 30대 이하, 언론계에서 전체평균보다 높았다.
의료보험 민영화, ‘반대’ 89% > ‘찬성’ 11%
의료보험 민영화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이 88.6%로 ‘찬성한다’ 11.4%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40대, 시만단체, 진보층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 반면 ‘찬성한다’는 의견은 30대 이하, 학계와 언론계, 보수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교자율화 조치, ‘반대’ 75% > ‘찬성’ 25%
0교시 부활 등 학교자율화 조치에 대해서 ‘반대한다’는 의견이 75.2%로 ‘찬성한다’는 의견 24.8%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 살펴보면, 진보층에서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90%로 매우 높았으나, ‘보수층’에서는 ‘찬성한다’와 ‘반대한다’는 의견이 각각 49.6%, 50.4%로 팽팽했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40대, 시민단체에서 특히 높게 나타난 반면 ‘찬성한다’는 의견은 50대 이상, 학계와 언론계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