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다음은 탄산 칼슘(CaCO3)의 열분해 반응에서 양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화학 반응식]
CaCO3 (s) → CaO (s) + X (g)
[과정]
(가) 도가니의 질량(w1)을 측정한다.
(나) 도가니에 탄산 칼슘(CaCO3)을 넣고 도가니의 전체 질량(w2)을 측정한다.
(다)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한 후 도가니의 전체 질량(w3)을 측정한다.
[결과]
w1 : 200.0g
w2 : 250.0g
w3 : 245.6g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원자량은 C = 12, O = 16, Ca = 40이다.)
<보기>
ㄱ. 생성된 X의 질량은 4.4g이다.
ㄴ. 생성된 산화 칼슘(CaO)의 몰수는 0.5몰이다.
ㄷ. 분해된 CaCO3의 몰수는 반응 전 몰수의 1/5 이다.
이게 문제인데요
CaCO3가 처음에 50g이 있었으니까 0.5몰이고 가열해서 날아간 CO2는 0.1몰이라는 것도 알겠어요
근데 CaCO3가 분해되서 남은 CaO의 질량은 45.6g인데 CaO의 분자량 56으로 몰수를 구하면 소수점으로 무한소수가 나와요 ㅠㅠ
제 과정에서 뭔가 잘못된게 있나요?
아직 화1을 배우고 있는 중이라서 모르는게 있는 건가요?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