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religion_17966
    작성자 : 천상의문
    추천 : 0/9
    조회수 : 1895
    IP : 221.150.***.85
    댓글 : 1개
    등록시간 : 2015/04/24 11:34:10
    http://todayhumor.com/?religion_17966 모바일
    대순진리회 전경 속 역사인물 : 수양제(隋煬帝)
    <div><font size="4">재미있는 이야기 ~ </font><font size="4">읽어보시면 재미있어요~ </font></div> <div><font size="5"></font> </div> <div><font size="5"></font> </div> <div><font size="5">수양제(隋煬帝)</font></div> <div> </div> <div> <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  수양제(隋煬帝: 569~618년)인 양광(楊廣)은 중국 수나라의 2대 황제로 후대에 폭군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수나라를 개국한 문제(文帝) 양견(楊堅)과 독고황후의 차남이다. 그는 수왕조의 탄생과 멸망을 함께 한 비운의 왕으로 불린다. 본래 수나라에서 제시한 묘호는 세조(世祖)이며 시호는 명(明)이나, 당(唐)나라에서 비하하는 의미로 올린 양(煬)을 대신 붙여 주로 양제(煬帝)로 불린다. 여기서 양(煬)은 방탕하여 예를 무시했으며 하늘의 뜻에 거역하고 백성을 착취했다는 뜻이다. <br>  중국의 역사에서 수나라는 진(秦), 한(漢)과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곳곳에서 패업을 꿈꾸던 할거 정권들을 정복하는 과정을 거쳐 통일된 중앙집권적 봉건제국을 건설했다. 수나라를 건국한 문제 양견은 북주의 고위관리였다. 581년 2월 양견은 북주(北周)의 정제(靜帝)<font color="#ff0000">01</font>에게 퇴위를 압박하여 ‘선양(禪讓)’의 형식으로 황위를 넘겨받았다. 양견은 자기 아버지의 수국공<font color="#ff0000">02</font> 자리를 이어받았고 또 수왕이라 칭하기 때문에 새로운 왕조의 국호를 수(隨)로 정했다. 그러나 수 자에 책받침 변 辶이 있어 ‘가다’의 의미와 같아 불길하다고 생각한 양견은 수(隨)를 수(隋)로 고치고 연호를 개황(開皇)으로 정했다. <br>  수나라를 세운 양견은 내정을 혁신하고 중앙집권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남방을 통일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했다. 이때 양견의 아들 양광은 군사 50만 명을 이끌고 남쪽의 진(陳)나라를 공격해서 대승을 거둔다. 이로써 수나라는 589년 남북을 통일하고 북방의 돌궐을 견제하면서 수백 년 동안 분열과 대립, 동란으로 얼룩진 중국을 통일하였다.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strong>수양제의 황제등극 <br></strong>  수문제(隋文帝)는 황제로 등극한 후에 그의 큰아들인 양용(楊勇)을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그러나 그 후 수양제가 형을 대신하여 황태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어머니 독고황후의 덕택이었다. 독고황후는 평소 매우 금욕적이고, 질투가 심한 사람이었다. 태자인 양용은 태자비가 죽었는데도 방종과 사치에 놀아나서 가정을 돌보지 않았다는 이유로 어머니의 눈 밖에 났다. 이에 비해 양광은 청렴하게 살고, 의관도 누추하게 입었으며 사생활이 방탕하지 않아 어머니의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 <br>  이러한 양광을 후대에서는 패륜아와 이중인격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의 나이 32세였다. 역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아버지 문제가 병으로 위독해지자, 양광은 사후의 일을 논의하는 문서를 신하인 양소(楊素)에게 보냈다. 그러나 양소의 회신이 궁인의 실수로 문제의 손에 들어가게 되었고 이를 본 문제는 대노했다. 때마침 문제가 총애하는 선화부인이 병환의 시중을 들었는데, 선화부인을 양광이 희롱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벌어진다. <br>  이 두 사건으로 격노한 문제는 양광을 태자로 책봉한 것을 크게 후회하고 이미 폐위된 양용을 태자로 삼으려 했다. 이 소식을 접한 양광은 양소와 모의하여 아버지 문제를 시해하고 그 형마저 죽였다고 역사는 전한다. 『수서(隋書)』<font color="#ff0000">03</font>에서 부황 시해의 근거로 삼는 것은 수문제가 죽을 때 양제가 그 자리를 지켰다는 점이다. 그런데 같은 『수서』에서도 본기(本紀)와 열전(列傳)의 내용이 서로 다른데, 일부에서는 수문제가 죽을 때 양제가 자리를 지키지 않았다고도 한다. 기록의 진실여부를 떠나서 선화부인을 자신의 여자로 삼은 것은 역사적 진실이다. 이에 대해 패륜아의 관점과 다른 해석도 있다. 수당 초기 황실의 외척은 대부분 유목민족 출신이다. 유목민족은 아버지가 작고하면 자식이 아버지의 처첩을 아내로 맞이한 풍습에 따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여하튼 병상에 있는 아버지를 시해하고 제위에 올랐다는 수양제 등극의 진실을 알기는 어렵다. 역사는 망국(亡國)의 천자였던 그를 위해 변명조차 만무했을 것이다. 604년 진실과 곡해로 얼룩진 문제의 죽음과 함께 수나라의 2대 황제로 등극한다.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strong>수양제 업적의 빛과 그림자 </strong><br>  수양제는 황제에 즉위하면서 지방행정기관을 모두 군과 현의 2개 행정체제로 전환했다. 그리고 진사과(進士科)를 처음으로 시행해 인재를 선발하는 길을 넓혔다. 또한, 문제 말기의 가혹한 법률을 수정하여 「대업률(大業律)」을 선포하였다. 이처럼 일련의 혁신을 통해 수나라의 국력과 체제를 공고히 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문제시기의 막강한 국력을 바탕으로 만리장성, 수도(首都)와 궁전, 대운하 등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벌였다. <br>  먼저 북방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서쪽 유림(楡林)에서부터 시작해 동쪽으로 자하(紫河)에 이르는 만리장성을 새롭게 쌓았다. 또 양제는 지리적으로 서북쪽에 위치한 장안(長安)을 대신하여 새로운 수도를 낙양(洛陽)에 건설하였다. 농민 200만 명을 동원하여 일 년 만에 완공한 낙양은 전국의 중심에 위치한 요충지였다. 낙양은 산동과 강남을 쉽게 통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륙교통이 편리하여 공물을 거두기가 쉬운 곳이다. 이 때문에 국가정치의 중심이 중앙으로 이동하고, 물자가 전국으로 고르게 확산할 수 있었다. <br>  더 나아가 양제는 낙양을 중심으로 여기저기에 장엄하고 화려한 궁전을 짓기 시작하였다. 장안에서 강도(江都: 양주)에 이르기까지 강 연변에만 40개소나 되었다고 한다. 또 낙양의 서쪽에 서원(西苑)이라는 큰 황실정원을 지었는데, 그 규모와 웅장함이 베이징의 황실정원인 원명원(圓明園)을 초과한다. 그 안에는 인공 바다와 봉래·방장·영주 3개의 삼신산을 만들었다. 서원 곳곳에 여러 정자와 누각을 지었는데 그 모습이 가히 장관이었다고 전해진다. 역사서에 ‘하루도 빠짐없이 궁을 짓는 바람에 전국 곳곳에 화려한 행궁들이 생겨났다.’고 기록한다. <br>  양제는 아버지가 중단시킨 대규모의 운하 공사를 재개한다. 이 대운하는 오늘날 북경에서 항주까지 연결하는 대공사였다. 중국의 대하천이 여러 개 있지만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상 동서 간의 교통은 편리했지만 남북 간 교통은 불편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수양제는 천연으로 생성된 하천과 하천 사이를 굴착해서 서로 연결하는 운하를 만들었다. 대운하의 대상이 되었던 강은 하북성 북쪽에서 발원하여 천진(天津)에서 황해로 흐르던 해하(海河), 황하(黃河), 회하(淮河), 장강(長江), 전당강(錢塘江)과 그 지류들이었다. 수양제가 건설한 운하는 장안에서 수로를 별도로 뚫어 하곡부(河曲部)에서 황하에 연결한 광통거(廣通渠), 황하의 강구(江口)와 탁군(북경)을 연결하는 영제거(永濟渠), 서원(西苑)에서 낙양을 관통하고 회하의 회음(淮陰)을 연결한 통제거(通濟渠), 회음에서 양주까지 연결한 한구(邗溝), 양주에서 소주와 항주까지 연결한 강남하(江南河) 등의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단, 이 운하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새로 건설한 것은 아니다. 일정 부분은 방치되었던 예전의 운하를 새롭게 준설하여 서로 연결한 것이다.</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strong>대규모의 영토 확장과 고구려 침공 <br></strong>  수양제는 영토를 확장하기위해 대외적으로도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607년 8월 수양제는 50만 대군을 이끌고 돌궐과 서역 토욕혼(土谷渾)을 정벌하여 각국의 왕으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남방으로는 임읍(林邑: 베트남 하노이의 이남)에 이르기까지 그 위세를 과시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요구했으나 고구려는 요구를 거절하였다. 이에 양제는 3차례에 걸쳐 고구려를 침입한다. 612년 정월에 양제는 100만이 넘는 군대를 이끌고 대대적인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이때 수나라 병마원수(兵馬元帥)인 강이식 장군이 고구려에 귀화한다.<font color="#ff0000">04 </font>고구려의 장군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으로 수나라 군대 30만 별동군은 살수에서 수장되고, 그해 10월 퇴각한다. 결과적으로 수양제의 1차 침입은 처참한 패배로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전투가 제1차 세계대전이 발생하기 전까지 세계 역사에서 가장 많은 군사 수를 동원한 전쟁으로 남아 있다. 이 기록적인 군사 수를 보면 전쟁의 범위와 정도가 짐작된다. <br>  양제는 고구려 원정을 포기하지 않았다. 613년 3월 양제는 35만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를 다시 공격했다. 그러나 수나라에서 양제의 폭정(暴政)을 지켜본 수나라의 양현감(楊玄感)이 10만 군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이와 함께 장수 곡사정(斛斯政)이 고구려에 투항하자 급히 퇴각을 결정한다. 국내에서 양현감의 반란을 진압한 양제는 614년 3차 공격에 나선다. 이번에는 고구려가 수나라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눈치 채고 항복할 의사를 밝혔다. 전쟁에 지친 수양제도 이를 구실로 군사를 철수시킨다. 이로써 3년에 걸친 수양제의 고구려 공격은 엄청난 국력을 낭비했지만 아무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수나라가 황제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구려를 침입하였지만 무리한 원정으로 인해 황제의 권력은 더욱 추락하였다.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 </font></div> <div><font size="3"><strong>수나라의 멸망과 최후 <br></strong>  수양제가 이룬 성과의 이면에는 대규모의 토목공사와 무리한 고구려의 원정으로 인해 국가의 재정은 고갈되었다. 여기에 수양제의 폭정과 사치가 날로 심해져 백성들의 삶 또한 더욱 피폐해졌다. 폭정을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차라리 불구의 몸으로 살지언정 죽음에 이르는 노역과 징집은 면하고 싶어 했다. 백성 중에는 ‘복수복족(福手福足)’이라 하여 스스로 팔과 다리를 자르는 자가 속출했다고 하니 당시 양제의 학정(虐政)을 짐작게 한다. 617년 결국 수나라에서는 대대적인 반란이 터지고 말았다. 이 반란은 120여 건이나 되었고, 그 규모도 엄청났다. 618년 수양제는 수나라 38년의 영욕과 함께 그의 나이 50세에 생을 마감했다</font>. </div> <div> </div> <div> </div> <div>참고문헌<br>박한제, 『제국으로 가는 긴 여정』, 서울: 사계절, 2003.<br>쑹창빈, (이지연 역), 『천추흥망: 중화문화의 절정기 수 당나라』, 서울: 따뜻한 손, 2009. <br>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2』, 서울: 청아출판사, 2006.<br>진순신, (김정희 역), 『마지막 황제』, 서울: 솔, 2002.</div> <div> </div> <div> </div> <div> <hr>01 정제는 수문제의 외손자이다. <br>02 양견의 부친 양충(楊忠)은 북주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큰 공을 세워 수국공(隨國公)에 봉해졌다. <br>03 636년 당(唐)나라의 장손무기(長孫無忌), 위징(魏徵) 등이 태종(太宗)의 명을 받아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으로 나누어 편찬하였다.<br>04 《대순회보》 78호,「전경속 역사인물- 강이식」, pp.24-31 참조.</div> <div> </div> <div> 출처 : 대순진리회 여주본부도장 대순회보 167호</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028
    기독교 질문 [3] 아드레날린24 15/05/15 02:38 439 0
    18027
    오늘도 SGI 에 대해 적어보자~ [2] 히프 15/05/14 13:36 613 0
    18026
    네팔 선교문제를 보며. 골룸뭐시기 15/05/14 02:19 503 1
    18025
    개신교 [1] 아몰랑1 15/05/13 22:32 488 0
    18024
    네팔서 구호 대신 선교활동 [2] 전륜성왕 15/05/13 16:33 707 4
    18023
    SGI 라고 다들 들어는 봤을거야 [6] 히프 15/05/13 11:45 1091 0
    18021
    본삭금)안셀무스는 불가지론자인가? 본인삭제금지 유기농갤러 15/05/11 19:30 616 0
    18020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바뀐 것이 혁명이 된 이유 [1] 국회민영화 15/05/11 11:35 1071 0
    18019
    내가 보는 세상 최악 사기꾼 [6] 별누리 15/05/11 10:04 1019 5
    18003
    가톨릭 국악성가 합주단 우리맥소리 단원을 모집합니다. [1] ㅋ~ 15/05/08 14:33 1400 1/4
    18001
    불교신자가 추천하는 가스펠송... 아우스2 15/05/08 05:56 1404 3
    17998
    신천지에 친한누나가 빠졌습니다.... [3] 자과맏형 15/05/07 00:48 1610 0
    17996
    가스펠 number4 비몽. 15/05/06 23:47 980 0
    17992
    가스펠 number3 가스펠love 15/05/06 12:14 1030 0/4
    17989
    대순진리회 수색방면, 네팔성금 1억 기부 천상의문 15/05/05 16:45 2040 0/5
    17986
    파라과이"성폭행으로 임신한 10세 여아라도 낙태는 안돼" 메이크로우 15/05/04 13:35 1064 0
    17985
    가스펠nember2 가스펠love 15/05/04 13:01 952 0
    17983
    한국의 개신교는 일본의 불교와 비슷한 면이 있다 5555 15/05/04 00:24 899 0
    17981
    가스펠love가 추천하는 가스펠 nember1 가스펠love 15/05/03 21:42 828 0/5
    17980
    지구의상승 [1] 제임스1 15/05/02 20:17 883 0/5
    17976
    성경과 코란의 차이점은 뭔가요? [2] 흘곰 15/05/01 11:39 1385 0
    대순진리회 전경 속 역사인물 : 수양제(隋煬帝) [1] 천상의문 15/04/24 11:34 1896 0/9
    17962
    한국 개신교는 잘못가고 있습니다. [2] 이야기멘 15/04/22 15:28 1209 3
    17961
    춘천에 유대교도들 있나요? [3] 세르델 15/04/21 21:39 1204 0
    17956
    인류의 정의실현은 '개벽'에 있다 <글러벌이코노믹> [2] 천상의문 15/04/20 15:36 1424 0/6
    17951
    현재 우리나라 성공회는 동성애자를 허용합니까? [1] 어머할렐루야 15/04/19 19:48 1146 0
    17950
    [리처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 - 무신론의 명저 [1] 커다란날개 15/04/19 19:01 1472 1
    17949
    하나님이 말씀으로 만유를 창조함 [여섯째 날] 정과사 15/04/19 16:44 1118 1/6
    17946
    전 이제 영지주의자 아닙니다 [2] 커다란날개 15/04/18 22:39 823 1
    17945
    우리나라 개독 세끼들 특징 [1] 홀라당교주 15/04/18 11:35 1149 2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