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운동량과 위치의 Uncertainty principle은
운동량과 위치가 commute하지 않아 기인된거잖아요.?
물리적으로 예를들자면 전자에 광자를 쏴서
운동량이나 위치 측정상 두물리량이
서로 영향을줘서그런건데
슈테른 게를라흐 실험에서 스핀의 x성분 z성분이
서로 commute하지않아서
즉 서로 측정할때 영향을줘서
결국 x성분 스핀업상태인 빔을
z성분 자기장으로 쪼개고 그 중 한빔을 x성분
자기장으로 쪼개면 또 x성분 스핀업상태도(절반)
나오는거잖아요?
이렇게 스핀의 x성분 z성분이 서로 주는영향을
아까 위치운동량의 예제처럼
구체적인 물리적인 예를 들수있나요?
스핀 정확한 물리적 실체를 모르니
이것에대해서는 답을할수없는건가요.?
결론은 전자의 운동량이나 위치측정할시에 물리량측정이 서로 영향을주는건 빛의 파장에따라 물리적인 이해가 가능하잖아요..
물리적으로 스핀의 한쪽성분측정이란게 어떻게 다른성분에 구체적으로 영향을미치는지가궁금해요
단순히 Uncertainty때문이라는답은원하지않아요
커뮤트하지않으니까 그런거잖아요
물리적으로 설명가능한건가요??
이놈의 스핀때문에 제 머리도 스핀하시겠네요
누가좀 도와주세요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