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phil_16850
    작성자 : HelloWorld7
    추천 : 0
    조회수 : 830
    IP : 58.230.***.134
    댓글 : 4개
    등록시간 : 2019/01/15 23:13:04
    http://todayhumor.com/?phil_16850 모바일
    LI르VrLr님에 대한 비판입니다:)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이 게시물은 해당 링크에 있는 </span><span class="memoName"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weight:bold;margin-right:5px;"><span style="color:#ff8c00;font-weight:400;">★</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myreply.php?mn=666523"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545050;">LI르VrLr</a></span><span style="font-size:9pt;">님의 댓글에 대한 답변입니다.</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span style="font-size:9pt;"><br></span></div> <div><a target="_blank" href="http://todayhumor.com/?phil_16835">http://todayhumor.com/?phil_16835</a></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span style="font-size:9pt;"> 우선 </span><span class="memoName"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weight:bold;margin-right:5px;"><span style="color:#ff8c00;font-weight:400;">★</span><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myreply.php?mn=666523"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545050;">LI르VrL</a></span><span style="font-size:9pt;">님의 댓글은 아래와 같습니다.</span></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div> <div> <div class="memo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padding:15px 15px 10px;"> <div class="memoInfoDiv" style="margin-bottom:7px;vertical-align:top;"><span class="memoMemberStar" style="color:#ff8c00;margin-right:3px;">★</span><span class="memoName" style="font-weight:bold;margin-right:5px;"><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myreply.php?mn=666523"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545050;">LI르VrLr</a></span><span class="memoDate" style="margin-right:3px;font-family:tahoma;font-size:11px;">(2019-01-15 17:32:55)</span><span class="memoRegisterInfo" style="color:#808080;font-size:11px;margin-right:5px;font-family:tahoma;">(가입:2015-07-17 방문:450)</span><span class="memoIP" style="color:#808080;font-size:10px;font-family:tahoma;">121.189.***.124</span><span class="memoOkNok" style="font-family:tahoma;font-size:11px;color:#8a8989;margin-left:15px;font-weight:bold;">추천 0</span></div> <div class="memoMedalDiv" style="margin-bottom:10px;"></div> <div class="memoContent" style="line-height:1.8;font-size:13px;">19세기에 시작된 실용주의는 20세기에도 다른 철학 사조와 더불어 계속되었다.<br>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비롯한 과학 지식의 발전은 철학계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br>20세기 중반에 시작된 분석철학과 언어철학은 미국에서도 널리 전파되었다.<br>한편, 유럽에서 실존주의와 현상학이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과 달리 미국에서는 이들 사조가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br><br>관념론에 대한 거부  20세기에도 실용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하였다.<br>스페인 출신의 미국 철학자 조지 산티야나는 이 시기 실용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 가운데 한 명이다.<br>그는 관념론을 철저하게 반대하였고, 모두가 자명하다고 인정하는 가치관으로서의 상식을 거부하였다.<br>그는 어떤 것이든 지식으로서 질서가 확고해 진다면, 어떤 지식도 가능해 보이지 않게되며,<br>결론적으로 회의주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br>그는 스스로 확신하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기에 믿는 것을 "동물적인 믿음"이라고 불렀다.<br>산타야나는 《회의주의와 동물적 믿음》에서 지식은 이성의 결과가 아니라<br>행동하라는 명령이 요구되고 세계에 성공적인 개입이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br>그는 자연주의에 입각하여 토대주의를 혹독하게 비판하였다.<br>자연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설명은 과학의 몫이며 행동의 의미와 가치가 철학의 영역이라는 것이다.<br><br>과정 철학<br>과정 철학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찰스 하츠혼과 같은 사람들이 주창한 것으로<br>아인슈타인의 세계관을 수용하였다.<br>과정 철학의 핵심 신념은 사건과 과정이 존재론의 주된 범주라는 것이다.<br>화이트헤드는 그간의 철학에서 상정하였던 고정 불변하는 세계는 실재가 아니며 "존재의 실상은 활동하는 동안에만 있고,<br>활동이 끝나면 소멸한다"는 생성론을 주장했다.<br>그는《관념의 모험》에서 결정론에 근간한 법칙주의적 역사관을 거부하고<br>역사 역시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는 "합생"(concresences)의 결과라고 보았다.<br><br>미국철학<br>20세기 중반에 들어 미국 철학은 분석 철학이 주류를 이루었다.<br>분석 철학은 유럽의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란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논리실증주의는 비트겐슈타인과 직접적인 연계를 갖고 있진 않았지만 그의 사상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br>스스로 데이비드 흄과 에른스트 마흐를 계승하였다고 여겼다.[<br>논리실증주의는 비트겐슈타인의 "말할 수 없는 것에는 침묵하여야 한다"는 주장에 크게 동조하였고<br>과학적 언어 분석이나 기호논리학은 단지 지식을 얻는 하나의 통로가 아니라<br>철학적 명제의 진위나 의미의 유무를 밝히는 주요한 수단이라고 보았다.<br>1930년대 나치의 대두로 논리실증주의를 주장하던 빈학파 대부분이 국외로 망명하게 되면서 빈학파는 사실상 해체되었다.<br>이때 미국으로 이민한 루돌프 카르나프가 분석 철학을 미국에 소개하였다.<br>[57]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논리실증주의를 배격하면서도 명징한 지식을 추구하고<br>세계를 이해하는데 철학과 과학이 어깨를 맞대고 나갈 수 있다는 관점을 공유하였다.<br>콰인은 〈경험주의의 두 교리〉에서 논리실증주의를 공격하였다.<br>그는 의미 있는 명제란 종합명제와 분석명제 뿐이라는 논리실증주의의 주장을<br>경험주의에 대한 교조적 태도라고 비판하고 이들이 환원론에 빠져있다고 비판하였다.<br>콰인은 또한 번역의 불확정성을 주장하며 "gavagai"의 예를 든 것으로 유명하다.<br>그는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경우 관찰할 수 있는 언어 성향의 총화와 일치하는 여러 가지 다른 번역을 할 수 있는데,<br>이 때 어느 번역이 올바른 번역이냐고 묻는 것은 헛된 일"이라고 생각하였다.<br>콰인의 제자인 솔 크립키는 분석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br>크립키는 양상 논리와 직관 논리를 구분하는 크립키 의미론을 주장하였고,<br>1970년대에 행해진 언어 철학 강의를 모아 《이름과 필연을 발간하였다.<br>그는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언어 철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나,<br>크립키의 비트겐슈타인 해석은 정석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br><br>토머스 쿤은 과학 철학과 과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학자로 그의 대표작 《과학 혁명의 구조》는<br>패러다임의 개념을 소개한 것으로 유명하다.<br>쿤의 패러다임 이론은 지식 사회학의 중요한 이정표로 여겨지고 있다.<br></div> <div class="memoButtons" style="height:16px;"> <div class="rereButton" style="width:47px;height:16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rere_write04.gif");background-repeat:no-repeat;float:right;"></div> <div class="rereCountButton rereCountButtonOpen" style="border:1px solid #808080;float:right;color:#666666;margin-right:10px;font-size:11px;padding:1px 4px;"><span>댓글 </span><span class="rereCount" style="color:#FF0000;">2</span><span>개 ▲</span></div></div></div> <div class="memoWrapperDiv rereMemoWrapper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order-width:2px 0px 0px;border-top-style:dotted;border-top-color:#dbdbdb;padding-left:50px;background-repeat:no-repeat;background-position:29px 10px;margin-bottom:0px;"> <div class="memoDiv rereMemoDiv" style="background-color:#f9f9f9;padding:15px 15px 10px;"> <div class="memoInfoDiv" style="margin-bottom:7px;vertical-align:top;"> <div class="memoOkNokDelDiv" style="float:right;"> <div class="memoOkBtn" style="width:39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ok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0px;float:left;"></div> <div class="memoNokBtn" style="width:43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no_agree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0px;float:left;"></div> <div class="memoAccuseBtn" style="width:36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accuse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5px;float:left;"></div> <div class="memoDelBtn" style="width:15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del04.gif");background-repeat:no-repeat;float:left;"></div></div><span class="memoMemberStar" style="color:#ff8c00;margin-right:3px;">★</span><span class="memoName" style="font-weight:bold;margin-right:5px;"><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myreply.php?mn=666523"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545050;">LI르VrLr</a></span><span class="memoDate" style="margin-right:3px;font-family:tahoma;font-size:11px;">(2019-01-15 17:37:50)</span><span class="memoRegisterInfo" style="color:#808080;font-size:11px;margin-right:5px;font-family:tahoma;">(가입:2015-07-17 방문:450)</span><span class="memoIP" style="color:#808080;font-size:10px;font-family:tahoma;">121.189.***.124</span><span class="memoOkNok" style="font-family:tahoma;font-size:11px;color:#8a8989;margin-left:15px;font-weight:bold;">추천 0</span></div> <div class="memoMedalDiv" style="margin-bottom:10px;"></div> <div class="memoContent" style="line-height:1.8;font-size:13px;">20세기 말에는 프래그머티즘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였으며,<br>이러한 흐름은 힐러리 퍼트넘과 리처드 로티가 주도하였다.<br>로티는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철학, 그리고 사회적 희망》의 저자로 유명하다. 힐러리 퍼트넘은<br>수학에서의 유사 경험론(quasi-empiricism in mathematics), 통 속의 뇌 사고 실험에 대한 도전,<br>그리고 심리 철학, 언어 철학, 과학 철학에 대한 저술로 잘 알려져 있다.<br></div> <div class="memoButtons" style="height:10px;"></div></div></div> <div class="memoWrapperDiv rereMemoWrapperDiv" style="border-width:2px 0px 0px;border-top-style:dotted;border-top-color:#dbdbdb;padding-left:50px;background-repeat:no-repeat;background-position:29px 10px;margin-bottom:0px;"> <div class="memoDiv rereMemoDiv" style="background-color:#f9f9f9;padding:15px 15px 10px;"> <div class="memoInfo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margin-bottom:7px;vertical-align:top;color:#333333;"> <div class="memoOkNokDelDiv" style="float:right;"> <div class="memoOkBtn" style="width:39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ok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0px;float:left;"></div> <div class="memoNokBtn" style="width:43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no_agree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0px;float:left;"></div> <div class="memoAccuseBtn" style="width:36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accuse04.gif");background-repeat:no-repeat;margin-right:15px;float:left;"></div> <div class="memoDelBtn" style="width:15px;height:15px;background-image:url("/board/images/memo_del04.gif");background-repeat:no-repeat;float:left;"></div></div><span class="memoMemberStar" style="color:#ff8c00;margin-right:3px;">★</span><span class="memoName" style="font-weight:bold;margin-right:5px;"><a target="_blank" href="http://www.todayhumor.co.kr/board/myreply.php?mn=666523"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545050;">LI르VrLr</a></span><span class="memoDate" style="margin-right:3px;font-family:tahoma;font-size:11px;">(2019-01-15 17:54:36)</span><span class="memoRegisterInfo" style="color:#808080;font-size:11px;margin-right:5px;font-family:tahoma;">(가입:2015-07-17 방문:450)</span><span class="memoIP" style="color:#808080;font-size:10px;font-family:tahoma;">121.189.***.124</span><span class="memoOkNok" style="font-family:tahoma;font-size:11px;color:#8a8989;margin-left:15px;font-weight:bold;">추천 0</span></div> <div class="memoMedal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margin-bottom:10px;color:#333333;"></div> <div class="memoContent"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line-height:1.8;font-size:13px;color:#333333;"><a target="_blank" href="https://blog.naver.com/dumsnail/221014355291" target="_blank" style="background-color:transparent;color:#0000FF;">https://blog.naver.com/dumsnail/221014355291</a><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이제 여기서부터는 저의 답변입니다.</b></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본인의 말은 없고 다른 글 복붙만 하셨네요. 피곤하신가 봅니다. 자료만 몇개 툭</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툭 던지고 자신이 무엇에 대한 어떤 주장을 하고자 하는것인지는 알아서 해석</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하라는 것인데, 그렇다면 나중에 가서 제가 니르바나님의 생각을 일부러 제게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유리하게 곡해했다고는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말씀하신 것들은 실용주의(프래그머티즘)와 산타야나, 과정철학, 콰인과 크립</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키, 과학철학 등인데요. 저는 니르바나님이 하신 말 </span><b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금시대의 주류 철학은 </b><b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오히려 양자 역학의 등장이후 활발하게 탐구되는 자연과학과 형이상학과 존재</b><b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론의 융합론입니다"</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에 대해 강한 의문을 표하며 예시나 사례를 들어달라 하였</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지요. 그리고 소개해주신 자료는 전부 그에 대한 답변이구요.</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우선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산타야나'와 '과정철학'말고는 니르바나</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님께서 말씀하신 철학자 및 분야 중에 '자연과학과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융합</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을 시도했다'고 할만한 사례가 전혀 없습니다(산타야나의 경우 제가 잘 모르</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는 철학자라 예외로 한 것이지만, 소개해주신 내용만 보면 딱히 적절한 사례</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라고 볼 수 없으며 사례로 적절할 만큼 산타야나가 현대 철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지도 않습</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니다.). 실용주의(프래그머티즘)는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입장에 가까우며 과</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학철학은 과학(특히 물리학)이라는 학문을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입니다. 철학에 과학이란 단어가 붙으니 과학적 지식으로 형이상학을 정당화하는 분야인 줄 아셨나요?</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쿤의 패러다임론 역시 과학과 존재론 및 형이상학의 융합에 관해 말하려던 것</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이 전혀 아니었고 과학이라는 학문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히려 한 것 뿐입니다</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 또한 크립키, 퍼트넘은 분석적 형이상학에 족적을 남긴 인물들인데, 분석적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형이상학이라는 이 분야는 분석철학 내에서 꽤 커다란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 과학적 지식보다는 논리학적인 지식 및 훈련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과학</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적 지식을 비중있게 참고하며 형이상학 이론을 구성해야 한다는 입장으로는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과학적 형이상학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있습니다. 그러나 이 후자는 분석적 형</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이상학에 비하면 무척 소수입니다. 참고로 이들 모두 분석철학 계통이지요.</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그나마 괜찮은 예시다 싶은 게 과정철학과 올려주신 블로그 글 링크인데, 도</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대체 과정철학(화이트헤드)이 언제부터 '주류'였는지요? 심지어 분석철학과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대비시켜 말씀하신만큼 꽤나 대단한 대접을 받고 있어야 할 텐데, 실제로는 과</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정철학은 코끼리 발의 원자 하나만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링크 건 블로그의 글을 쓴 사람은 처음 들어보는 이름인데, 주류라고 할 정도</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면 충분히 더 잘 알려진 사람을 예시로 들 수 있었을 텐데요? 제가 동양철학</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을 깊이 아는 건 아닙니다만 올리신 링크도 '동양철학의 결론은 현대물리학과 이러이</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러한 비슷한 점이 있다'는 정도여서 학문적인 의의도 없습니다.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동양사상이 그 자체로 설득력이 있</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다고 한다면 굳이 과학과의 유사성을 부각할 필요도 없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span><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style="font-size:9pt;">인식이란 단순히 우연히 맞아 떨어지는 것이 아니니까요. 올려주신 많은 사례 중에 단 두가지만이 그나마 괜찮지만, 저는 과정철학과 </font><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블로그의 글을 쓴 사람(철학자인지는 둘째치고)에 관한 논문을 다 합쳐도 요즘의 전체 논문의 5%의 비</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중도 차지하지 못할거라고 장담합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b><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무엇보다 '분석철학은 주류가 아니라 한 분파일 뿐'이고 현대철학의 주류는 '</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과학과 형이상학, 존재론의 융합'이라고 하셔놓고선, 그에 대한 사례의 절대다수</span></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b>가 분석철학 계통인 이유는 무엇인지요?</b> 갑자기 적당한 사례가 잘 생각이 안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나셨나요?</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br></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또 제가 니르바나님께 한 질문 및 지적은 하나 뿐이 아니지요. 그런데도 답변주</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신 건 고작 하나이네요.</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자료만 툭툭 던진 것도 그렇고 성의가 </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지나치게 없으시군요^^ 제가 답변받지 못한 질문 및 비판은 다음과 같습니</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b>그런 접근이 과연 동양철학을 철학으로서 인정해주는 관점인지 의문입니다. </b></font><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진리 탐구라는 철학의 목적을 사상적 정체성 찾기에 억지로 종속시킬 필요는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없습니다.</span></b></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인용한 부분에 덧붙이자면, '(동양철학을)학문적 개념으로 함께 탐구해야할 </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이유는 사상적 정체성 찾기라는 문제와 관련'있다고 하셨으나, 학문적 개념으</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로 탐구하는 것과 사상적 정체성 찾기라는 문제는 양립해서 가기 어렵습니다.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전자는 철학을 철학 안에서 보는 것이며 후자는 문화현상의 관점으로 철학을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보는 것입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b>"한반도라는 이땅에서 철학이라는 학문이 탐구되는 방식은 </b></font><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기존에 있어왔던 것과 외래에서 수입된 것의 종합입니다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대부분 한국의 철학자들 역시 그런 태도를 가지기도 하고요" </span><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style="font-size:9pt;">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정반대이지요. 외래 사상을 기존의 것과 종합</font><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시키고 변형시키는 것은 일본 학계의 특징입니다. 한국은 오리지널 그대로를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추구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때문에 서구 사대주의가 아니냐는 지적도 있을 정</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도입니다. </span></b></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저는 분석철학이 철학의 주류라고 주장한 적이 없는데 어느 부분에서 발견하</b></font><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신건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또한 유학파들의 수입 번역형 철학이란 게 무엇인</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지도 궁금하네요:)</span></b></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여기에 대해서도 덧붙이자면, 저는 미국철학의 주류가 분석철학이라고 했지 </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철학의 주류가 분석철학이라고 한 적은 없습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봄코님의 질문글에 대한 답변이라 하셨는데 동문서답을 하신 것 같습니다. </b></font><b><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선불교를 공부하러 한국에 오는 것은 당연히 한국의 선불교에 관심있는 철학</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자, 아마도 그쪽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철학자이겠지요. 그렇다면 봄코님의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궁금증, 동양철학이 철학계 전체에서 얼마나 비중이 있느냐에 대한 답은 못된</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다고 생각합니다.</span></b></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저의 말 중에 단 하나에만 반응해주시니 안</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타깝습니다. 그나마 만만해보이는 하나만 취하신 건지요? </span><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style="font-size:9pt;">그마저도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셨는데, 제가 니르바나님께서는 적절한 예시를 들지 못</font><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할거라고 확신한 것이 역시나 맞았군요.</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니르바나님께서는 나름대로 이것저것 많이 알고 생각도 </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많으신 것 같습니다만 너무나 많은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악</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의는 없다고 할 지라도 다른 분들이 니르바나님의 말을 그대로 믿을까봐 걱정</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스럽네요. 인터넷이 원래 조심해야 하는 곳이지만 잘못된 말로 다른 분들께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피해주지 않기를 바랍니다. 니르바나님의 글이 언뜻 보면 굉장한 깊이와 학식</span><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style="font-size:9pt;">이 있는 분이 쓴 글처럼 보여지기 십상이기에 특히 드리는 말입니다.</font><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아마 '동양철학은 주류가 아니다' 라는 제 말이 동양철학에 대한 저의 가치</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판단이라고 느끼곤 발끈해서 실수하신 것 같습니다만 다음부턴 주의하시면 좋겠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원글의 봄코님에 대한 첫댓글에도 저는 "고전을 중시하며 현대철학을 깔보는 </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사람도 있습니다. 사실 최근의 철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저로서도 </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조금 의문입니다."라고 하였고요. 애초에 저는 니르바나님과 달리 철학에 있어 주류와 </span><span style="font-size:9pt;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비주류의 구분이 그렇게 의미있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마지막으로, <b>"배우고 익히는게 그 방식이라면 그냥 학업 중인 학부생의 당연</b></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b>한 태도이므로 그 문제는 더 논하고 싶지않습니다" </b>이런 식의 우물에 독타기</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 함부로 하지 말고 말조심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원래 학부생으</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로서의 정체성이 희미한데다 입학 전부터 철학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니까요. 니</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르바나님보다 열정이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진 않습니다^^ 제가 철학과라서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오만하고 권위적으로 나온다고 생각하지도 마시고요. 소속을 떠나서 니르바나</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님의 글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span></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font></div> <div><font face="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 하고 싶은 말이 남아있으실지 모르겠지만 더 진행해봐야 얻을 것도 없</font><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을 것 같고 아쉽지만 여기까지 하지요. 이 글을 읽는 다른 분들께 말씀드리자</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면, 니르바나님과 저의 (수준낮은) 논의가 전공생과 아마추어의 대립으로 비쳐지지 않기</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를 바랍니다. 말씀드렸다시피 대학 다니기 전부터 저 역시 혼자서 공부했었고</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 철학과에도 다양한 성격과 능력의 사람들이 있는데다 저같이 철학에 관심이 </span><span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font-size:9pt;">큰 사람이 오히려 소수니까요:)</span></div></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 <div style="font-family:gulim, Dotum, Helvetica, AppleGothic, sans-serif;"><br></div></div></div></div>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877
    나에게서 이기심, 이타심이란? [2] 奇香 19/02/15 13:39 788 0
    16876
    근거를 제시 않는 주장을 각자의 상상력으로 반박하기. ㅂn귀두 19/02/14 02:18 563 0
    16875
    선택이란게 가능한 대상들을 비교하는거라면, ㅂn귀두 19/02/12 23:13 552 0
    16873
    질서와 차원 奇香 19/02/10 04:45 636 0
    16872
    얼마전 했던 질문에서 더 질문을 해보아도 될까요? [9] 으에에엥ㅠ 19/02/04 19:46 791 1
    16871
    김용균은 상품인가? [8] ㅂn귀두 19/02/01 21:18 842 0
    16870
    성매매의 합법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 으에에엥ㅠ 19/01/31 14:48 925 2
    16868
    의미의 구분 奇香 19/01/29 22:03 651 1
    16867
    환단고기와 중국역사의 상관관계 [2] 창작글 쿵푸파더 19/01/27 13:13 1002 0
    16866
    보건복지부 장관이 헌혈하면 이해충돌 방지의무를 위반한 것. ㅂn귀두 19/01/26 14:18 696 0
    16864
    욕구에서 정서를 배제하는 법, 공동체에서 규범을 제외하는 기술: 경제란? [4] ㅂn귀두 19/01/22 22:22 677 0
    16863
    1-3-15.도덕은 타인에 대한 존엄성 관념에서 시작된다. [1] aiidyn 19/01/21 11:26 661 0
    16862
    1-3-14.다른 존재를 존엄하게 여기게되는데 필요한 몇가지 조건이 있다 aiidyn 19/01/21 11:24 506 0
    16859
    철학이란 무었인가? 보는 눈과 듣는 귀와 말하는 입 [3] LI르VrLr 19/01/20 15:48 839 0
    16858
    1-3-13.자존감과 동질감은 인간 존엄성의 시작점이다. [1] aiidyn 19/01/18 10:07 668 1
    16857
    1-3-12.인간은 인간을 존엄하게 여긴다. aiidyn 19/01/18 10:04 702 0
    16855
    그리스인 고르바를 읽어보려고 합니다... [4] 부라더진 19/01/17 14:09 711 0
    16854
    분리와 통합 - 보는 눈과 듣는 귀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10] LI르VrLr 19/01/16 17:21 883 0
    16853
    나는 무엇인가 [11] Camel010 19/01/16 12:20 959 0
    16852
    1-3-11.추상능력으로부터 인간은 스스로가 부여한 목적을 추구하는 존재 [3] aiidyn 19/01/16 09:04 674 0
    16851
    예술은 무엇인가 Camel010 19/01/16 02:27 877 1
    LI르VrLr님에 대한 비판입니다:) [4] HelloWorld7 19/01/15 23:13 831 0
    16848
    1-3-10.추상화 능력은 또한 스스로를 보려는 의지와 능력을 만들었다. [1] aiidyn 19/01/14 10:12 643 1
    16847
    1-3-9.인간의 잉여력은 탈-존속 목적의식으로 발전하였다. aiidyn 19/01/14 10:02 526 0
    16846
    낯설거나 익숙하거나...奇香 한정판 [4] ㅂn귀두 19/01/12 19:56 660 0
    16845
    낯설거나 익숙하거나... [2] ㅂn귀두 19/01/12 14:15 658 1
    16843
    1-3-8.추상화 능력에서의 문자와 정보활용도 증가가 잉여력을 가져왔다 aiidyn 19/01/11 08:40 516 0
    16842
    1-3-6.추상화 능력은 다시 말하면 상상능력이고 시뮬레이션 능력이다. aiidyn 19/01/11 08:34 690 0
    16841
    민주주의와 정치를 혼동하면 안된다. [1] 거짓말쟁이QQ 19/01/11 00:09 542 0
    16838
    폭력 : 권력의 원천 그리고 정치 [2] 거짓말쟁이QQ 19/01/09 00:44 551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