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병은 메인 딜러로서, 딜을 하고 딜을 하고 또 딜을 합니다.
게임 시작부터 끝까지 딜을 합니다.
그만큼 공격력이 잘 나와야 하므로 속성별로 공격 카드들을 잘 키워놔야 합니다.
-강적 속성에 맞게 공격 카드를 잘 챙겨가는 것은 다른 아서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강적에 따라 물리 방어력이 높은 부위, 마법 방어력이 높은 부위가 나뉘어져 있기도 합니다.
그럴 때에는 마법 방어력이 높은 곳을 공격하면 됩니다.
또 강적에 따라 딜 계산을 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하나의 부위를 이번 턴에 반드시 파괴해야 하는데, 그 외의 부위까지 파괴하면 안 될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멸염형 페리도트.
과한 공격으로 모든 부위를 파괴했을 시, 적이 폭딜을 합니다.
아무도 죽지 않고 안전하게 플레이 해야 할 때, 용병이 아군의 공격을 계산하여 과한 공격이 되지 않도록 딜 분배를 해야 합니다.
되도록이면 이런 딜 계산을 용병 아서가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병은 플레이 난이도가 낮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메인 딜러라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엄청난 딜을 뽑을 때의 그 쾌감!
[부호] 1.방어 버프 / 2.공격 보조 / 3.드로우
1.방어 버프
방어 버프 카드로 아군의 방어력을 올려줍니다.
물리 방어와 마법 방어가 있으므로, 적의 공격이 물리 공격인지 마법 공격인지 잘 알고 카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적이 물리 공격을 하는데 마법 방어를 해봤자 무의미하겠죠.
게다가 강적 퀘스트에서는 턴마다 공격 유형이 달라지기도 하므로 반드시 공략을 숙지해야 합니다.
2.공격 보조
현재 강적 퀘스트에서는 '원기옥'이라 하여 적에게 다같이 폭딜을 넣는 플레이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밑에 가희 부분에서 덧붙여 설명하겠습니다.-
그 전까지는 방어 버프 카드를 내고, 원기옥 타임에 같이 공격을 합니다.
이 때 제대로 공격을 하지 못한다면.. 강적에 따라 폭딜로, 아군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프와 공격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합니다.
3.드로우
부호의 카드 중에는 '아군 전원 드로우+1'이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네 명의 아서 중에서 부호만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스킬로, 부호가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되는 부분입니다.
드로우는 기본적으로 매턴마다 하나의 카드가 패에 들어오죠.
그러면 한 턴에 카드 2개 이상을 내게 되면 패가 비겠죠?
부호의 드로우는 기본 드로우에 +a가 되는 것으로, 아군 전원 드로우+1은 카드가 기본 1장에 1장이 더 들어온다는 말입니다.
퀘스트가 장기전이 될 수록 한 턴에 내는 카드의 수가 많아지므로 더욱더 드로우에 신경써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 부호는 아군이 내는 카드의 수를 확인하고 마지막에 카드를 내는 편입니다.
부호는 플레이 난이도가 높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략을 잘 숙지해야 하며, 드로우는 잘 챙기는 것이 기본이라 드로우가 안 되면 부호구가 되기 십상입니다.
처음에는 이것저것 신경쓰느라 힘들 수 있지만, 하다보면 금새 적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는 것이 많은 만큼 매력이 많은 아서입니다.
[도적] 1.디버프 / 2.공격 보조
1.디버프
부호가 아군 방어력을 높이는 버프를 한다면, 도적은 적의 공격력을 낮추는 디버프를 합니다.
물리 디버프와 마법 디버프를 적의 공격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나의 강적이 턴마다 혹은 부위마다 공격 유형이 다르므로 알맞은 곳과 타이밍에 디버프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공략을 숙지해야 합니다.
2.공격 보조
부호 설명과 마찬가지입니다.
디버프를 할 때는 디버프를, 공격을 할 때는 공격을.
도적은 용병, 부호와 달리 마법 공격을 합니다.
강적에 따라 물리 방어력이 높은 부위와 마법 방어력이 높은 부위가 따로 있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물리 방어력이 높은 곳을 도적이 도맡아 마법 공격을 해야 되므로 공격 역시 중요합니다.
도적 역시 난이도가 높은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디버프 타이밍과 위치, 그리고 자신이 공격해야할 부위를 잘 알아야 하므로 공략을 숙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공격력도 잘 나와야 합니다.
할 것도 많고, 마법 공격이라는 특징도 있어 매력이 많은 아서입니다.
그리고 여캐입니다!!
[가희] 1.힐 / 2.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