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북한에 마법사 있냐?
쌀/보리/옥수수가 미사일로 변할수 있는 연금술사가 있냐?
ㅋㅋㅋ 조중동찌라시 뉴데일리, 뉴라이트 븅신들 말에 아직도 끄덕끄덕 하냐? 에라이 일밍아웃이나 언능해라
부모님이 니들 일베하는거 알면 호적에서 팔지도 모른다!
아래는 최근 들려오는 NLL포기발언? 개소리와 더불어
노벨평화상 돈주고 샀다는 조중동 찌라시 선동에 대한 개인적인 답변이다
노벨상 위원회 " 나를 경악시킨 이상한 한국 " [7] 가네샤 번호 2087159 | 2008.12.09 IP 122.47.***.61 조회 591 노벨위원회 군나르 베르게 위원장... ‘이상한 한국’, “나를 경악시킨 경상도'
난 한국인에게 노벨상을 주지말라고 한국인들에게 로비 시도를 받았다. 노벨상은 로비가 불가능하고 로비를 하려고 하면 더 엄정하게 심사한다. 한국인은 참 이상한 사람들이다 “ 김대중의 노벨상 수상을 반대하는 편지 수천통이 전달되었다(모두 경상도에서 날아든 편지였다)"
" 내가 노벨 위원회에 들어온 이래, 처음있는 일이었다.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는 나라에서 반대를 표시하는 편지가 날아온것은. 그것이 특정지역에서 날아온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을때, 나는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체 그 지역의 사람들의 의도가 무엇인지 혼란스러웠기 때문이다. 노벨상중에서도 가장 노벨의 염원을 담고있는 평화상이 로비로 받아 낼 수 있는 상이라면 과연 세계 제일의 평화상으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그 편지를 보낸 사람들에게 묻고싶다. 노벨상은 로비로 얻어낼 수 있는 상이 아니다.돈으로 살 수 있는 상이 얼마나 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까.그러기에 더더욱 그 가치가 찬란히 빛나는 것이다. 왜 다수의 한국인들이 김대중의 위대함과 그의 민주주의를 향한 불굴의 의지에 감명받지 못하는지 그 이유가 이해할수 없을 뿐이다."
노벨상을 받으려고 김대중이 로비를 한 것 아니냐며 집요하게 묻는 월간조선 기자의 질문에, 앞서 노벨평화상을 받았던 동 티모르의 오르타장관(현 대통령)... '멍청한 소리 하지 말라. 김대중은 가장 유명한 독재자에 목숨을 걸고 항거한 사람이었다. 왜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위대한 지도자를 비난하는지 묻고 싶다. 질투 때문인가"
출처: <U>http://www.hani.co.kr/section-005100025/2002/10/005100025200210152255435.html</U>
노벨위원회 스스로도 김 대통령의 수상을 둘러싼 '로비'가 있음을 인정한 적이 있다.
2000년 11월초 노르웨이 베르겐에서 열린 한반도 국제심포지엄에서 한 독일학자가
"김 대통령이 로비를 통해 노벨평화상을 받았다는 소문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을 던졌는데, 어색한 침묵 끝에 올라브 욜스타드 노벨연구소 연구실장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고 한다.
"
그렇다. 한국으로부터 로비가 있었다.
그런데 기이하게도 김대중 정부로부터의 로비가 아니었다.
정치적 반대자 등으로부터 상을 주면 안된다는 로비가 있었다.
그럼에도 우리는 노벨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당시 욜스타드 실장이 '역로비'를 추진한 정치적 반대자로 지목한 사람들은 여전히 야당이지만,
곧 정권을 잡으리라는 기대에 들떠 있다. '정상회담 뒷돈 거래설'을 제기한 야당은
<뉴스위크 한국판> 보도가 나오자 기다렸다는 듯이 '노벨상 반납운동'을 운운했다.
"이번 파문으로 이제 한국은 더 이상의 노벨상을 기대할수 없게 되었습니다."
노벨상심사위원회 비상임간사인 노르웨이 스팔니치뇨 박사(노르웨이 국립대학 종신교수)는
공평하고, 공정한 심사결과에 따른 노벨상수상을 자국의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불공정하고 부당한 수상이라고 주장하는 한국에 또다시 노벨상을 수여하는 것은
노벨상 취지에 어긋나는 행위라 판단하여, 대한민국에 "다시는" 노벨상을 수여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설명.
한편 김대중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지금까지의 역대 수상중 가장 빛나는 수상이라고 강조했다.
오히려 2년전 일부 한국인들로부터 김대중에게 노벨상을 주지말라는
역로비를 받았다며 한국은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나라라고 밝혔습니다
한나라/새누리당/뉴라이트/친일파 매국노 새끼들이 가장 혐오하고 싫어하는 상대가
바로 고 김대중,고 노무현 대통령이다
이유는 뻔하지 민주화운동의 핵심 인물이자 국민들의 희망 이었으니까
그 희망 모두를 빼앗아가고 업적에 흠을내어 반사이익을 챙기려는 뻔한 꼼수!
대국민은 절대 우둔하고 멍청하지 않다
인수위부터 삐걱거린 ㅂㄱㅎ정부의 실체, 조웅목사의 목숨을 건 발언, 나꼼수의 활약,
우린 절대로 잊지 않는다
우린 절대로 포기하지 앟는다
우린 진실을 밝히고 이나라의 정의를 바로 세울 것이다
바로 지금
---------------------------------------------------------------------------------------------
★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명단 ★
▲2012년: 유럽연합(EU)
▲2011년: 엘런 존슨 설리프, 리머 보위(이상 라이베리아), 타우왁쿨 카르만(예멘)
▲2010년: 류샤오보(중국)
▲2009년: 버락 오바마(미국)
▲2008년: 마르티 아티사리(핀란드)
▲2007년: 유엔 정부간 기후변화위원회(IPCC), 앨 고어(미국)
▲2006년: 그라민은행, 무하마드 유누스(방글라데시)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
▲2004년: 왕가리 마타이(케냐)
▲2003년: 시린 에바디(이란)
▲2002년: 지미 카터(미국)
▲2001년: 유엔, 코피 아난 사무총장
▲2000년: 김대중(한국)
▲1999년: 국경없는 의사회(MSF)
▲1998년: 데이비드 트림블(북아일랜드), 존 흄(북아일랜드)
▲1997년: 지뢰금지국제운동(ICBL) 조디 윌리엄스(미국)
▲1996년: 카를로스 벨루(동티모르) 주제 라모스 오르타(동티모르)
▲1995년: 조지프 로트블랫(영국), 국제평화군축단체 퍼그워시 회의
▲1994년: 이츠하크 라빈, 시몬 페레스(이상 이스라엘) 야세르 아라파트(팔레스타인)
▲1993년: 넬슨 만델라, 프레데리크 데 클레르크(이상 남아공)
▲1992년: 리고베르타 멘추(과테말라)
▲1991년: 아웅 산 수치(미얀마)
▲1990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1989년: 14대 달라이 라마(티베트)
▲1988년: 유엔 평화유지군
▲1987년: 오스카 아리아스 산체스(코스타리카)
▲1986년: 엘리 위젤(미국)
▲1985년: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IPPNW)
▲1984년: 데스몬드 투투(남아프리카공화국)
▲1983년: 레흐 바웬사(폴란드)
▲1982년: 알바 뮈르달(스웨덴), 알폰소 가르시아 로블레스(멕시코)
▲1981년: 유엔난민최고대표사무소
▲1980년: 아돌포 페레즈 에스키벨(아르헨티나)
▲1979년: 테레사 수녀(알바니아)
▲1978년: 안와르 사다트(이집트), 메나헴 베긴(이스라엘)
▲1977년: 국제 앰네스티(AI)
▲1976년: 메어리드 코리건 매과이어(북아일랜드), 베티 윌리엄스(영국)
▲1975년: 안드레이 디미트리예비치 사하로프(소련)
▲1974년: 션 맥브라이드(아일랜드), 사토 에이사쿠(일본)
▲1973년: 헨리 키신저(미국), 레 둑 토(베트남·수상 거부)
▲1972년: 수상자 없음
▲1971년: 빌리 브란트(독일)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