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당 의원이 대여 강경 투쟁을 주도하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문 의원은 18일 트위터에 "지정기록물제도는 기록생산 정부와 생산자가 일정기간 그 기록으로 인해 정치적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맞습니까? 그런데 우리는 온갖 핍박을 당하고, 기록을 손에 쥔 측에서 마구 악용해도 속수무책 우리의 기록을 확인조차 못하니, 이게 말이 됩니까?"라는 글을 올렸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하 대화록) 원본 실종 사태의 책임이 이명박정부나 박근혜정부에 있다고 주장한 셈이다.
이 같은 문 의원의 발언은 "국가기록원이 이제 와 회의록의 행방을 찾을 수 없다는데 대해 회의록 관리 과정에 정치적 목적이 개입됐다는 심각한 의혹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는 노무현정부 시절 인사들의 발언과 그 맥락이 같다.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은 이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임명한 임상경 당시 대통령기록관장 등이 이명박정부 들어 면직된 데 대해 "기록물이 어떻게 관리됐는지 우리로선 전혀 알 수 없게 된 것이다. 다 쫓아낸 다음에 무슨 짓을 한 것이냐"고 말한 바 있다.
문 의원은 국방부가 미국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재점검하자고 타진한 데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전작권환수 연기 반대합니다. 다시 연기해서 얻는 안보 이익이 뭔지 알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들에게는 다른 말을 하면서 비밀리에 다시 연기를 추진해 온 이중적인 행태도 비판받아 마땅합니다"라면서 박근혜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문 의원은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논란과 대화록 공개 등 이른바 국정원 정국에서 대여 강경투쟁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대통령선거에서 패배한 뒤 한동안 대외활동을 자제하던 그는 국정원 정국 속에서 야권의 중심인물이 됐다. 이는 그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했다'는 새누리당의 공세를 노무현정부 정체성에 대한 위기로 인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문 의원은 "국가기록관에 보관돼 있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관련 기록을 열람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까지 말하기도 했다. 이런 과감한 정치적 승부수로 인해 묻혀졌던 그의 존재감이 다시 부각하고 있다.
현재 문 의원은 다소 당혹스러운 입장에 처했다. 대화록 원본이 유실된 원인을 놓고 여야가 벌이는 공방의 중심에 놓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노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 출신인 그는 대화록 공개 국면을 주도한 인물이다. 문 의원은 대화록 원본이 나오지 않으면 검찰수사나 특별검사제로 대화록 유실 사태의 책임을 가리자는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이 있다. 살벌한 진검 승부가 벌어지는 전장의 한복판에서 문 의원이 노무현정부의 명예를 지키려고 사활을 걸수록 그의 존재감은 대중의 뇌리에 더욱 각인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존재감은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여야가 극단적으로 대립하면서 낄 영역이 좁아진 탓이다. 국정원 문제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분실 사태 등에 대해 입장을 밝히는 등 '잽'은 날리고 있지만 국민들의 뇌리에 남는 '한 방'은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안 의원의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이 최근 대전 창원 전주 등에서 세미나를 개최한 것도 안 의원의 존재감이 약해진 최근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