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게시판 |
베스트 |
|
유머 |
|
이야기 |
|
이슈 |
|
생활 |
|
취미 |
|
학술 |
|
방송연예 |
|
방송프로그램 |
|
디지털 |
|
스포츠 |
|
야구팀 |
|
게임1 |
|
게임2 |
|
기타 |
|
운영 |
|
임시게시판 |
|
이 글을 왜 과게가 아닌 종게에다 쓰는 이유는 duty 이분께서
아까 " 과학은 종교라고 할 수 있다 " 라는 말해 대해 근거를 제시 하라고 하래서
여기서 근거를 제시 합니다
과학이라는건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얻어진 지식의 체계를 말한다. 더 좁은 의미에서 과학이란 인류가 경험주의와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근거하여 실험을 통해 얻어낸 자연계에 대한 지식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글에서 다루는 과학은 후자의 의미이라고 합니다
즉 무언가 검증하고 실험하고 그런 모든 포괄적인 활동을 과학이라고 합니다.
또한 "과학"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다.
경험론에 의하면 과학적 이론은 객관적이고,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경험적인 결과들이 가능한 한 반론되거나 확인되어야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과학적 실재론은 과학을 존재론의 용어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과학은 그를 둘러싼 환경과 인과관계 사이에 있는 현상과 존재를 확인하려는 시도이다.
역주: 경험론(經驗論, 영어: empiricism)이란 감각의 경험을 통해 얻어진 증거들로부터 비롯된 지식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경험론은 인식론으로 알려진 인간의 지식에 관한 학문들 중 가장 널리 퍼진 관점이기도 하다. 경험론에서는 관념의 형성 과정에서 생득관념이나 관습보다는 경험과 증거, 특히 감각에 의한 지각을 강조한다. 같은 맥락에서, 과학철학에서의 경험론은 증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과학적인 지식들, 특히 실험에 그 토대를 두고 있는 관점들을 강조한다. 이는 모든 가설과 이론들은 오로지 연역적인 추론이나 직관, 또는 계시 자연계에서의 기존의 관찰에 반(反)하여 검증되어야 한다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과학적 방법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과학은 완전히 방법론적으로 실증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과학적인 귀납 추론이란?
F. N. 컬린저(F. N. Kerlinger)는 과학적 방법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과학적 방법에는 단일한 비법이 없다. 과학적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는 지성, 상상력, 창의성이 모두 필요하다.[45] 그런 점에서, 과학적 방법은 무심히 정해진 순서도에 따라 진행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를 보다 쓸모있게 개발하고 모형과 방법을 개량하며 더욱 현상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이론을 검증하는 계속되는 순환 체계이다. 예를 들어,아인슈타인이 특수 상대성 이론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개발할 때, 그는 아이작 뉴턴의 《원리》가 갖고 있는 권위에 반하는 새로운 이론을 입증하여야 하였다. 한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역시 뉴턴의 고전역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다 일반적인 설명이 가능한 이론으로 확장한 것이다.
과학적 방법의 과정을 간단히 차례를 두어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위 순서에서 3번부터 6번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반복된다. 이렇게 이루어 지는 방법을 특히 가설-시험 방법이라고 한다.[47] 파울 파이어아벤트와 같은 과학철학자는 이러한 과학적 방법의 서술에는 과학은 실질적인 숙련도와 일정 정도 관련이 있다고 비판하였다.
과학적 방법은“조작적”[주해 3]이어야 한다는 패러다임에는 조작적 정의와 도구주의, 효율성 등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