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1807~1863)은 조선후기 풍자·방랑 시인이다. 본관은 안동 김씨(新)안동김씨 로 본명은 김병연(金炳淵)이다.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이다.
선대의 조상을 살펴보면 9대 조부는 병자호란때 척화대신으로 유명한 청음 김상헌의 사촌형인 형조참판을 지낸 김상준이며 5대조부는 황해도병마절도사 김시태, 고조부는 전의현감 김관행, 증조부는 경원부사 김이환이다. 한자로 표기할 때는 삿갓 립(笠)자를 써서 김립(金笠)이라고도 한다.
그의 조부 김익순이 홍경래의 난 때 선천 부사로 있다가 항복한 것을 두고 비난하는 시로 장원 급제한 것을 수치로 여겨, 일생을 삿갓으로 얼굴을 가리고 단장을 벗을 삼아 각지로 방랑을 했다.
도처에서 독특한 풍자와 해학 등으로 퇴폐하여 가는 세상을 개탄했다. 그의 수많은 한문시가 구전되고 있다.
그중에 金笠(金炳淵) 蘭皐 김삿갓이 지은 詩 추미애를 그리며 漢詩는 언제나 입가에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가을날 곱고 슬픈 노래가 새벽에 고요히 퍼지니 아름다운 안개가 홀연히 와 가까이 드리운다. 기세 좋은 것이나, 소박한 것이나 둘 다 그러하여. 사랑은 슬프고 애잔하며 아름다움이 하나인 듯하네.
위의 시는 김삿갓 김병연의 시다. 번역을 빼고 한글만 읽으면 신통하다, 어쩜 이런 여자를 욕하는 방법, 세월을 미리 내다본 거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것은 우연일까? 필연일까.
김삿갓(金炳淵)은 선견지명도 있다. 김삿갓의 비라그라 詩
지미시팔 안서면 知未時八 安逝眠 / 김 삿갓
知未時八 安逝眠(지미시팔 안서면) 여덟시도 모르고서 죽은 듯 잠을 자면 自知主人 何利吾(자지주인 하리오) 자기가 주인 되어 친하게 소통 되랴
女人思郞 一切道(여인사랑 일체도) 여자를 사랑하면 모든 정성 쏟아야지 絶頂滿喫 慾中慾(절정만끽 욕중욕) 즐거움의 극치로서 욕망중의 욕망이다
男子道理 無言歌(남자도리 무언가) 남자의 도리이며 말없는 노래인데 於理下如 八字歌(어이하여 팔자가) 더불어 살아야지 팔자타령 하지마라
岸西面逝 世又旅(안서면서 세우려) 서방정토 가는 면면 세상사가 여행인데 飛我巨裸 王中王(비아거라 왕중왕) 다 벗고 갈 터인데 왕 중의 왕 되련다.
..............한글풀이.................... 지미시팔 안서면
여덟시도 모르고서 죽은 듯 잠을 자면 자기가 주인 되어 친하게 소통 되랴
여자를 사랑하면 모든 정성 쏟아야지 즐거움의 극치로서 욕망중의 욕망이다
남자의 도리이며 말없는 노래인데 더불어 살아야지 팔자타령 하지마라
서방정토 가는 면면 세상사가 여행인데 다 벗고 갈 터인데 왕 중의 왕 되련다.
어느 추운 겨울날 김삿갓이 시골 서당에 찾아가 재워주기를 청하나 훈장은 미친 개 취급을 하며 내쫓는다. 화가 치민 김삿갓이 더러운 욕설시를 한 수 써 붙이고 나온다.
書堂來早知 서당내조지 (서당은 내좆이요) 서당을 일찍부터 알고 왔는데 房中皆尊物 방중개존물 (방중은 개 좆물이라) 방안엔 모두 높은 분들 뿐이고. 生徒諸未十 생도제미십 (생도는 제미십이고) 학생은 모두 열 명도 안 되는데 先生來不謁 선생내불알 (선생은 내 불알이다) 선생은 찾아와 보지도 않네.
自知면 晩知고, 補知면 早知라 자지면 만지고, 보지면 조지라. 자지면(自知) - 스스로 알고자 하면 만지고(晩知) - 깨달음이 늦고 보지면(補知) - 도움을 받아 알고자 하면 조지라(早知) - 그 깨우침이 쉬우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