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편수회] 조직 및 구성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박은식>의 민족역사서인 [한국통사]가 나오자 놀란 일제가 우리 역사 조작을 목적으로 만들었는데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조선총독부가 1925년 6월 칙령 제218호로 공포한 ‘조선사편수회관제朝鮮史編修會官制’에 따라 만들어진 조선총독부 총독이 직할하는 기관으로 조선사편찬위원회규정(1921년 12월 4일 조선총독부 훈령 제64호)에 따라 발족시켰던 기존의 조선사편찬위원회를 확대·강화하여 발족시킨 기구이다.
1937년까지 97만5534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조선사》 35편, 《사료총서》 102편, 《사료복본》 1,623을 편찬하였다.
조선사의 편찬과 자료 수집을 주로 하였으며 일제가 한국 침략과 지배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타율적이고 정체된 사대주의적인 역사로 규정하기 위한 활동을 하였다.
일제는 조선의 역사를 연구하기 위해 취조국을 두었고 그 역할은 1915년 중추원 편찬과, 1922년 조선총독부 직할의 조선사편찬위원회를 거쳐 1925년 조선사편수회가 담당하게 되었다.
일본과 조선의 학자들이 자료 수집과 집필에 참여하였고 1938년 《조선사》 37권이 간행되었다.
1945년 8·15 광복으로 해산되었다.
[직제 및 직원 명단]
1. 조선사편찬위원회 (1922~1925)
<위원장>
위원장직은 정무총감이 겸임하였다.
아리요시 주이치 (1922년 6월 15일 ~ 1924년 7월 4일)
시모오카 주지 (1924년 7월 4일 ~ 1925년 6월 8일)
<고문>
이완용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박영효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권중현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위원>
나가노 모토키 (1922년 12월 28일 ~ 1924년 12월 1일)
오다 미키지로 (1922년 12월 28일 ~ 1923년 3월 29일)
유맹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이능화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어윤적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정만조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이마니시 류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이나바 이와키치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마쓰이 히토시 (1922년 12월 28일 ~ 1923년 8월 16일)
가시와라 쇼조 (1922년 12월 28일 ~ 1923년 8월 16일)
이병소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윤영구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현채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2월 3일)
홍희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이상영 (1922년 12월 28일 ~ 1923년 3월 25일)
후카가와 덴지로 (1923년 4월 18일 ~ 1924년 6월 8일)
오쓰카 쓰네사부로 (1924년 12월 12일 ~ 1925년 6월 8일)
이진호 (1924년 12월 12일 ~ 1925년 6월 8일)
야마자키 마사오 (1924년 12월 12일 ~ 1925년 6월 8일)
<간사>
이나바 이와키치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김동준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서기>
가네코 마사키요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가쓰라기 스에지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김용적 (1922년 12월 28일 ~ 1925년 6월 8일)
<촉탁>
이나바 이와키치 (1922년 12월 1일 ~ 1925년 6월 6일)
마쓰이 히토시 (1922년 12월 1일 ~ 1923년 7월 31일)
홍희 (1922년 12월 31일 ~ 1925년 6월 6일)
가시와라 쇼조 (1922년 12월 10일 ~ 1923년 8월 16일)
이능화 (1923년 12월 31일 ~ 1925년 6월 6일)
다카하시 다쿠지 (1924년 6월 30일 ~ 1925년 6월 6일)
세노 바유 (1924년 11월 30일 ~ 1925년 6월 6일)
구로이타 가쓰미 (1924년 11월 30일 ~ 1925년 6월 6일)
2. 조선사 편수회 (1925~1945)
<회장>
회장직은 정무총감이 겸임하였다.
시모오카 주지 (1925년 6월 6일 ~ 11월 22일)
유아사 구라헤이 (1925년 12월 3일 ~ 1927년 12월 23일)
이케가미 시로 (1927년 12월 23일 ~ 1929년 4월 4일)
고다마 히데오 (1929년 6월 22일 ~ 1931년 6월 19일)
이마이다 기요노리 (1931년 6월 19일 ~ 1936년 8월 5일)
오노 로쿠이치로 (1936년 8월 5일 ~ )
<고문>
이완용 (1925년 7월 20일 ~ 1926년 2월 12일)
권중현 (1925년 7월 20일 ~ 1934년 3월 19일)
박영효 (1925년 7월 20일 ~ 1939년)[5]
나이토 도라지로 (1925년 9월 22일 ~ 1934년 6월 26일)
핫토리 우노키치 (1925년 9월 22일 ~ )
구로이타 가쓰미 (1925년 9월 22일 ~ )
야마다 사부로 (1933년 9월 8일 ~ 1936년 1월 16일)
이윤용 (1934년 4월 17일 ~)
하야미 히로시 (1936년 3월 7일 ~ )
<위원>
이쿠타 세이자부로 (1925년 7월 20일 ~ 1929년 11월 8일)
시노다 지사쿠 (1925년 7월 20일 ~ )
이진호 (1925년 7월 20일 ~ 1929년 1월 19일)
오다 쇼고 (1925년 7월 20일 ~ )
유맹 (1925년 7월 20일 ~ 1930년 3월 21일)
어윤적 (1925년 7월 20일 ~ 1935년 3월 7일)
이마니시 류 (1925년 7월 20일 ~ 1932년 5월 20일)
야마자키 마사오 (1925년 7월 20일 ~ 1928년 3월 30일)
이능화 (1925년 7월 20일 ~ )
이병소 (1925년 7월 20일 ~ )
윤영구 (1925년 7월 20일 ~ )
고타케 마사요시 (1928년 5월 22일 ~ 1929년 10월 28일)
최남선 (1928년 12월 20일 ~ )
이마무라 다케시 (1929년 12월 4일 ~ 1931년 7월 22일)
다케베 긴이치 (1929년 12월 5일 ~ 1931년 7월 1일)
하리마 겐시로 (1930년 1월 18일 ~ 1932년 2월 12일)
하야시 한조 (1930년 7월 15일 ~ 1937년 10월 30일)
우시지마 쇼조 (1931년 11월 7일 ~ 1936년 5월 21일)
하야시 시게키 (1931년 11월 7일 ~ 1933년 8월 4일)
오타니 쇼신 (1931년 11월 7일 ~ )
마쓰모토 이오리 (1932년 3월 4일 ~ 1934년 11월 5일)
후지타 료사쿠 (1933년 4월 13일 ~ )
와타나베 도요히코 (1933년 9월 8일 ~ 1936년 5월 21일)
오타케 주로 (1936년 6월 3일 ~ )
도미나가 후미카즈 (1936년 6월 3일 ~ 1937년 7월 3일)
나가타 나오마사 (1937년 11월 9일 ~ )
<촉탁위원>
최남선(崔南善)
이병도(1927년 이후)
<간사>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수사관>
홍희(洪熹)
신석호(1938년부터)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후지타 료오사쿠(藤田亮策, 1926년)
<수사관보
신석호
이병도 (1925 ~ 1927년)
[간행 서적]
《조선사》 전 37권, 1938년
《조선자료총간》
《조선자료집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