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살입니다.
우둔살입니다. 육회를 해먹기에 좋은 부위죠.
얇게 썰어봅니다.
이건 지라 입니다. 소의 비장이라죠.
간도 썰어보구요.
이건 등골입니다. 부드럽습니다. 혹자는 치즈맛이 난다고 하는군요.
구위로 인기가 많은 차돌박이지만 썰어내면
육사시미 한상이 완성됩니다. 마진이 빠지기 때문에 이 한상이 2만원 남짓 한다고 합니다.
이제 구이로 가봅니다. 숯불을 올립니다.
정육업하시는 분들이 드시는 특수부위중 염통입니다.
콩팥도 구워드신다는군요. 어떤 맛일까요?
불판에 올리고 구워줍니다.
식감이 아삭거리신다는데요.
처음 드셔보시는 분이 삶은 밤 맛과 비슷하다고 하십니다.
이제 우리가 흔히 소고기 구이로 먹는 등심을 올려봅니다.
채끝도 올려서 구워보구요.
군침이 돕니다.
마장동에 와서 무엇을 구입해봤습니다. 뭘까요?
홍성으로 내려왔습니다.
이게 마장동에서 산 소머리입니다. 10만원 정도라네요.
안에서는 소 내장을 삶는데요. 소 양과 천엽이 보입니다.
이건 새끼보라고 합니다. 깨물수록 단맛이 우러나온다는군요.
푹 삶아줍니다. 지금까지 사온 내장이 7만원어치 라고 합니다.
다 익으면 꺼내서 고춧가루, 마늘, 소금, 간장으로 양념을 해서 무쳐냅니다.
그릇에 담고
육수를 부어주면 구수한 소 내장탕이 완성됩니다.
7만원이면 이렇게 모여앉아 마을 잔치를 할 수 있으니 참 착한 가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제 소머리를 확인하러가니 국물이 뽀얗게 우러난게 잘 익은거 같군요.
김이 모락모락나는 소머리를 꺼내서 해체작업을 합니다.
뼈만 있을 것 같은 생각과는 달리 꽤 많은 양의 고기가 나옵니다.
잘 삶아진 수육을 숭덩숭덩 썰어내면
부들부들한 소머리 수육이 완성되구요.
육수를 부어내면 구수한 소머리 국밥이 완성됩니다.
이젠 아산으로 와봅니다. 색다른 한우를 볼 수 있다는 데요.
흔히 아는 한우와는 다른 칡소입니다. 무늬가 호랑이와 비슷하다 하여 범소라고도 불렸답니다.
칡소를 키우고 계시는 사장님이 고향으로 발걸음을 돌립니다.
소꼬리네요.
가마솥에 넣고 푹 끓여냅니다.
뽀얀 국물이 보입니다.
꼬리 곰탕이 완성됐습니다.
칡소 고기를 썰어서 구우려 합니다. 부위는 채끝이 아닐까 싶네요.
지글지글 소리가 여기까지 들리는 듯 합니다.
육즙이 배어나는거 보니 잘 익었습니다.
이 마당의 꽃은 예전엔 할아버지가 꺾어온 꽃들로 가득했다고 합니다.
이제는 할머니만이 가끔 물을 주시며 꽃을 키우고 계신데요
혹시 할아버지가 언제 생각이 나느냐 하고 여쭤봤습니다.
62년을 같이 살아온 남편 분을 잊는다는게 어찌 쉬운 일일까요.
다시 소 얘기로 돌아가봅니다. 마당에서 우족도 삶아
우족탕도 만들어보고요.
부엌에선 살코기로 장조림을 만들었습니다.
결대로 찢은 장조림을 흰 쌀밥위에 척 얹어서 먹는 그 맛.
그 유명한 수원갈비입니다. 갈비를 얇게 저며 양념을 끼얹어 잰다음
숯불에 구워냅니다.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 일품인 수원 갈비입니다.
다시 무언가를 들고 서울로 올라왔습니다.
요리 연구가 선생님께 요리를 부탁드려 보기로 합니다.
우설입니다. 우설을 냄비에 살짝 삶아낸다음
우설을 안쪽을 채울 소 입니다.
이렇게 안을 채운다음
찜기에 넣고 살짝 쪄냅니다.
살짝 익힌 우설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다시 냄비에 채우고
육수를 부어 다시 쪄내면 우설찜이 완성됩니다.
이게 쇠골입니다. 소 한마리에 500g정도만 나온다는데요.
쇠골을 잘라
밀가루를 묻힌다음
계란물에 담가
부쳐냅니다.
그 다음 냄비에 넣고 육수를 부어 끓여내면
쇠골 찜도 완성이 됩니다.
무언갈 삶아서 씻고 계신데
이게 무엇인고 하니
바로 수구레 입니다. 고기도 아니고 지방도 아닌 것이 굳이 설명하자면 껍질에 가깝다고 합니다.
일단 갈빗살을 볶구요
그 위에 무를 얹고
고춧가루도 넣어 밑간을 합니다.
어느정도 익었다 싶으면 선지를 넣습니다.
마지막으로 수구레를 넣어줍니다.
그 다음 대파나 콩나물을 넣고 푹 끓여주면
수구레 선지국이 완성됩니다.
한우愛빠지다 편 마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