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라르페시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0-10-17
    방문 : 3595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mystery_1169
    작성자 : 라르페시
    추천 : 4
    조회수 : 2168
    IP : 218.55.***.61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2/12/31 21:17:05
    http://todayhumor.com/?mystery_1169 모바일
    [펌]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13, 에필로그1
    <p>13편 링크 <a target="_blank" href="http://devilishfire.blog.me/100112276366" target="_blank" class="tx-link">http://devilishfire.blog.me/100112276366</a></p><p>이상하게 오유에 필터링이 되네요;;</p><p>아래는 에필로그 1편입니다.</p><p>-------------------------------</p><p><br></p><p></p><p align="center" style="line-height: 18px; color: rgb(70, 70, 7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2px; "><span style="font-size: 14pt; "><strong>[미스테리] 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에필로그 1</strong></span></p><div class="autosourcing-stub-saved" style="line-height: 18px; color: rgb(70, 70, 7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2px; text-align: justify; "><strong> </strong></div><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18px; color: rgb(70, 70, 7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2px; text-align: justify;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24px; font-family: 굴림;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line-height: 18px; color: rgb(70, 70, 7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24px; font-family: 굴림; "><v:stroke joinstyle="miter"></v:stroke><v:formulas><v:f eqn="if lineDrawn pixelLineWidth 0"></v:f><v:f eqn="sum @0 1 0"></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2 1 2"></v:f><v:f eqn="prod @3 21600 pixelWidth"></v:f><v:f eqn="prod @3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0 0 1"></v:f><v:f eqn="prod @6 1 2"></v:f><v:f eqn="prod @7 21600 pixelWidth"></v:f><v:f eqn="sum @8 21600 0"></v:f><v:f eqn="prod @7 21600 pixelHeight"></v:f><v:f eqn="sum @10 21600 0"></v:f></v:formulas><v:path o:connecttype="rect" gradientshapeok="t" o:extrusionok="f"></v:path><o:lock aspectratio="t" v:ext="edit"></o:lock></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24px; font-family: 굴림;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lang="EN-US" style="color: rgb(70, 70, 70); text-align: justify; font-size: 12pt; line-height: 24px; "><o:p style="margin: 0px;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10.naver.net/20100902_89/devilishfire_1283355818960pq6OA_png/1_devilishfire.png?type=w2" width="480" height="443" id="20100902_89/devilishfire_1283355818960pq6OA_png/1_devilishfire.pn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font face="굴림" size="3"> </font></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color: rgb(31, 73, 125); "><</span><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rgb(31, 73, 125); ">에필로그<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외전들까지 포함해서<span lang="EN-US"> 8</span>개월 이상 계속된 연재…<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지난<span lang="EN-US"> 1</span>월 이 시리즈를 시작할 때의 의도는 딴지 사이트의 개편에 즈음하여 뭔가 새로운 황색저널리즘적 개구라 기사가 필요하다는 생각 때문이었는데<span lang="EN-US">, </span>이렇게 오래갈지도 몰랐고 이렇게 열화 같은 인기를 끌 줄도 몰랐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암튼 지난 시간에 예고한 바 대로 이 시리즈는 오늘<span lang="EN-US"> 14</span>편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린다<span lang="EN-US">. </span>아니 사실 지난 편에 이미 끝났다<span lang="EN-US">. </span>거기까지 갔는데 무슨 할 이야기가 더 있겠는가<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하긴<span lang="EN-US">, </span>굳이 하려면 더 할 수는 있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이집트와 성당기사단과 프리메이슨 등에 관련된 이야기는 이미<span lang="EN-US"> 6,7</span>년 전 본지 지면을 통해 나간 바 있고<span lang="EN-US"> (</span>현재는 노매드 서버에서 찾아야 한다<span lang="EN-US">) </span>굳이 반복하고 싶지 않다<span lang="EN-US">. </span>이 이야기와는 결론도 다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 외에도 채워 넣으려고 한다면 태양계 대제국과 행성<span lang="EN-US"> Z</span>의 역사<span lang="EN-US">, </span>화성의 흥망성쇠 등등 온갖 이야기들을 더 쓸 수 있을 거다<span lang="EN-US">. </span>허나 그건 순수하게 픽션의 영역이 되어 버리고<span lang="EN-US">, </span>지금 이 글과는 다른 성격을 띤다<span lang="EN-US">.</span>그래서 언젠가 소설같이 접근할 망정 지금 여기에 덧붙이는 건 좀 아니지 싶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자 그럼 궁금하다<span lang="EN-US">. </span>지금 이 시리즈에 진실은 얼마나 들어 있을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원컨대 한<span lang="EN-US"> 10% </span>정도는 포함되어 있기를 바란다<span lang="EN-US">. </span>나머지는 순 우원의 구라와 상상이다<span lang="EN-US">. </span>재미에 빠져 여기까지 왔지만 사실 이 글이 얼마나 증거와 논리의 비약이 심했는지 다들 알고 계실 거다<span lang="EN-US">. </span>그런데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분들이 있어서 막판 몇 편에서는 마지막의 필자 서명도 ‘딴지논설우원’ 이 아니라 ‘딴지구라쟁이’로 바꿨다<span lang="EN-US">. </span>눈치챈 분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지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 글에는 수많은 사진과 자료들이 등장한다<span lang="EN-US">. </span>내용의 구라성과 달리 그 자료들은 우원이 조작하거나 합성한 것이 아닌 진짜고<span lang="EN-US">, </span>지난<span lang="EN-US"> 20</span>여년간 관심을 가진 관련 주제와 서적 등을 통해서 축척해 둔 것들이다<span lang="EN-US">. </span>또 그 자료들은 결코 숨어 있는 비밀 자료들이 아니고<span lang="EN-US">, </span>우원은 단지 무슨 검색어로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를 그간의 관심을 통해 알고 있었을 뿐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 많은 자료들을 토대로 재미있고 먼가 그럴듯한 스토리를 만들고 싶었다<span lang="EN-US">. </span>고교 시절부터 관심 가졌던 오만가지 음모론을 뒤섞은<span lang="EN-US">, </span>그리고 결국 그 모든 것의 바탕이 되는 거창하기 짝이 없는 태양계의 역사라면 재미있지 않을까<span lang="EN-US">? </span>우원은 그런 것을 쓸 준비가 대략 되어 있었고 따라서 이 시리즈는 그간 딴지에 썼던 어떤 글보다 쉽게<span lang="EN-US">, </span>술술 써 내려간 글들이다<span lang="EN-US">. </span>구체적인 스토리 중 상당수는 글을 씀과 동시에 발상해서 만든 것도 꽤 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허나, 그리하여 내용은 갈수록 막장으로 치닫고<span lang="EN-US">, </span>나중에는 모세와 예수<span lang="EN-US">, </span>야훼까지 다 끼워 넣은 신화 아닌 신화를 만들고 말았다<span lang="EN-US">. </span>어차피 내 맘대로 쓰는 흥미거리였을 뿐이니 이 부분, 종교인들의 너른 양해를 바라는 바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자 그럼 또 궁금하다<span lang="EN-US">. </span>이 스토리 중에<span lang="EN-US">, </span>우원은 ‘주관적으로’ 어디까지가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을까<span lang="EN-US">. </span>객관적이고 차가운 진실의 범주보다 좀 유연하게 봤을 때 말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우원이 대략 진실이 아닐까 느낌을 갖고 있는 부분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어느 정도 증거의 서포트를 받고 있는 것들은 아래와 같다.</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38pt; text-indent: -18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color: rgb(31, 73, 125); font-family: Wingdings; ">l<span style="font-size: 7pt;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Times New Roman'; ">  </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rgb(31, 73, 125); ">화성은 과거 생물이 살수 있는 별이었지만 범태양계적 사건으로 살해되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style="font-size: 12pt; color: rgb(31, 73, 125);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11.naver.net/20100902_282/devilishfire_1283355829609Bj92n_png/2_devilishfire.png?type=w2" width="456" height="378" id="20100902_282/devilishfire_1283355829609Bj92n_png/2_devilishfire.pn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br>화성표면에서 촬영된 이상한 비행물체<span lang="EN-US">. </span>날짐승인 것일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 내용은 수년 전 그래이험 핸콕이 책으로 발간한 ‘<span lang="EN-US">Mars Mystery</span>’<span lang="EN-US"> (</span>국내에는 번역이 되어 있는지 모르겠다<span lang="EN-US">) </span>에 비슷한 것이 소개되어 있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글로벌 서베이어 호 등이 수많은 사진들을 찍어 보냄으로써 어느 정도의 신빙성을 띄게 되었고<span lang="EN-US">, </span>특히 글에서도 소개한 화성 표면의 지질학적인 증거들은 과거 어느 시점에 파국적인 충돌이 있었다는 점은 사실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우원의 화성 ‘문명’에 대한 관심은 장장 초등학교 저학년 때인<span lang="EN-US"> 30</span>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span lang="EN-US">. </span>화성에 대한 우원의 노스탤지어도 이미 이때부터 형성되었고<span lang="EN-US">, </span>우리 인류의 정체성과 화성의 과거가 긴밀한 관련이 있다는 확신에 가까운 느낌도 그때부터 각인되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실은 멸망하는 화성에서 탈출하는 긴 꿈에 시달린 적도 많다<span lang="EN-US">. </span>아서 클락의 ‘<span lang="EN-US">Rama</span>’에나 나올듯한 거대한 지하 공간과<span lang="EN-US"> (</span>라마를 안 읽은 분들<span lang="EN-US">, </span>일독을 권한다<span lang="EN-US">. </span>하드<span lang="EN-US"> SF</span>의 걸작이다<span lang="EN-US">) </span>무저갱<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無底坑</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과 같은 그 바닥에서 지상을 향해 무한정 올라가는 벽 없는 승강기<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 꿈의 끝은 항상<span lang="EN-US">, </span>전쟁의 막판에 동료들과 승강기를 타고 탈출하던 중 가장 믿었던 전우에게서 배신당해 승강기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끝난다<span lang="EN-US">. </span>마치 전생의 죽음의 기억 같은 느낌이랄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화성에는… 뭔가 있다<span lang="EN-US">. </span>언젠가 증명될 날이 올 것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38pt; text-indent: -18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font-family: Wingdings; ">l<span style="font-size: 7pt;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Times New Roman'; ">  </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행성<span lang="EN-US"> Z</span>는 존재했고 어느 시점에 파괴되었다<span lang="EN-US">. </span>생물이 살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14.naver.net/20100902_189/devilishfire_1283355839453K69Na_png/3_devilishfire.png?type=w2" width="483" height="344" id="20100902_189/devilishfire_1283355839453K69Na_png/3_devilishfire.pn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br><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화성과 목성 사이에 행성 대신 거대한 소행성대가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span lang="EN-US">. </span>왜 이곳에는 행성 대신 우주 돌무덤이 생겨나 있을까…<span lang="EN-US">? </span>첨엔 그저 그게 궁금했고 나중에는 이 위치에서 파괴된 행성에 대한 논의가 실제로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러나 주류 계통 학자들은 이 행성이 이미 수십억 년 전<span lang="EN-US">, </span>즉 태양계가 포메이션을 갖춘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미 파괴되었다고 생각한다<span lang="EN-US">. </span>그 이유는 목성의 압도적인 중력이 행성의 구조에 끝없는 스트레스를 주었기 때문이다<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랬을지도 모른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거기에 대한 증거는 없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천문학자들은 이런 우주적 사건들의 경우 가급적 오래 전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는 걸 편하게 여기는 것 같다<span lang="EN-US">. </span>그것은 기록도 증거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급진적인 주장이 몰고오는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span lang="EN-US">. 1</span>만년 전에 파괴되었다는 것 보다는<span lang="EN-US"> 30</span>억년 전에 파괴되었다는 것이 왠지 더 그럴싸하기 때문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러나 만약 한 행성이 파괴된다면 그건<span lang="EN-US"> 30</span>억년 전이던<span lang="EN-US"> 1</span>만년 전이던 내일이던 일어날 수 있는 거다<span lang="EN-US">. </span>목성의 인력에 의한 것이라 해도 마찬가지다<span lang="EN-US">. </span>산 안드레아스 단층의 요동에 의한 캘리포니아 대지진이<span lang="EN-US">100</span>년 전이던<span lang="EN-US"> 3</span>분 후던 어느 때나 일어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유다<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리고 만약 행성<span lang="EN-US"> Z</span>가 비교적 최근까지 존재했다면<span lang="EN-US">, </span>아마도 지구 화성과 더불어 생명이 살 가능성이 있는 행성 중 하나였을 거다<span lang="EN-US">. </span>고열 지옥인 금성과 수성에서는 무리고<span lang="EN-US">, </span>목성 이후의 가스행성들 역시 곤란하니 말이다<span lang="EN-US">. </span>주류 천문학자들조차 목성과 토성의 위성 중 일부에 물과 함께 생명이 존재할지도 모른다고 점치고 있다<span lang="EN-US">. </span>그렇다면 왜 훨씬 가까운 행성<span lang="EN-US"> Z</span>에서는 안되겠냐<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38pt; text-indent: -18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font-family: Wingdings; ">l<span style="font-size: 7pt;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Times New Roman'; ">  </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지구상에는 잊혀진 초고대 문명이 존재했고<span lang="EN-US">, </span>기원전<span lang="EN-US"> 10500</span>년경에 멸망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style="font-size: 12pt;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9.naver.net/20100902_232/devilishfire_1283355848768IyJrR_png/4_devilishfire.png?type=w2" width="352" height="226" id="20100902_232/devilishfire_1283355848768IyJrR_png/4_devilishfire.pn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br>돌멩이에 박혀 있는 콘센트<span lang="EN-US">. </span>진위 확인 불가<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 부분은<span lang="EN-US"> 20</span>여년에 걸친 관심을 토대로 거의 확신을 갖고 있다<span lang="EN-US">. </span>아프리카와 아메리카<span lang="EN-US">, </span>아시아<span lang="EN-US">, </span>모든 종교와 문명의 신화와 전설 속에는 과거의 황금시대<span lang="EN-US">, </span>찬란한 문명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다<span lang="EN-US">. </span>아틀란티스는 현대의 저자들이 발상해 낸 게 아니라 인류 최초이자 최대의 석학 중 하나인 플라톤이 언급한 것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논리적으로도 과거 그런 문명이 있었지 못할 이유는 없다<span lang="EN-US">. 전에도 한 이야기지 싶지만 </span>정설에 근거해 봐도 인류는 이미<span lang="EN-US"> 5</span>만년 전에 현재와 동일한 신체적 특성(두뇌 포함)을 갖추었다<span lang="EN-US">. </span>그런데 왜<span lang="EN-US"> 4</span>만<span lang="EN-US"> 5</span>천년간은 잠잠하다가 막판<span lang="EN-US"> 5</span>천년에만 문명이 꽃피워야 한단 말인가<span lang="EN-US">. </span>시대구분상<span lang="EN-US"> 1</span>만년전 이전은 구석기 말기이기 때문에 당시 고등 문명이 발달할 수 없었다는 주장과<span lang="EN-US">, </span>인류학적 ‘증거’가 그닥 발견되지 않았기에 부정되고 있지만<span lang="EN-US">, </span>여기에 대한 생각은 지난<span lang="EN-US"> 13</span>편에서 조금 이야기했었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아마도 인류학적 증거들은 지하<span lang="EN-US"> 100</span>미터 이하와 깊은 바다 속<span lang="EN-US">, </span>남극대륙 얼음 밑에 묻혀 있을 것이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언젠가 그 자취가 드러나기 시작할거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그들의 존재가 밝혀지기 시작한다면 현재의 우리 문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span lang="EN-US">. </span>종교적<span lang="EN-US">, </span>역사적<span lang="EN-US">, </span>사회적<span lang="EN-US">, </span>문화적인 영역은 물론 기술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38pt; text-indent: -18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font-family: Wingdings; ">l<span style="font-size: 7pt;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Times New Roman'; ">  </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모세와 성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4.naver.net/20100902_51/devilishfire_1283355857253zsouk_png/5_devilishfire.png?type=w2" width="422" height="370" id="20100902_51/devilishfire_1283355857253zsouk_png/5_devilishfire.pn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br>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모세라는 인물이 사실상 유태교를 창시했고<span lang="EN-US">, </span>그것이 예수에 의해 기독교로<span lang="EN-US">, </span>이어 무하마드에 의해 이슬람교로 변화된 것은 분명하다<span lang="EN-US">. </span>고로 개인 모세가 팔레스타인 중동 일대에 이어 유럽 문명<span lang="EN-US">, </span>나아가 그 영향을 받은 전세계의 문명에 끼친 영향도 지대하다<span lang="EN-US">. </span>어쩌면 인류역사상 가장 유명하고도 힘있는 인물은 예수가 아니라 모세일 것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성궤의 놀라운 이적에 대한 표현들은 성서에 실제 등장한다<span lang="EN-US">. </span>물론 성서가 얼마나 실증적인 텍스트냐라는 논란의 여지는 충분히 있으며<span lang="EN-US">, </span>그런 점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부분들이 많다고도 할 것이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성서의 설명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기로 한다면<span lang="EN-US">, </span>그 이유는 성궤가 야훼를 신앙하는 유태인들은 물론 대제사장 아론의 아들들에게까지 해를 입혔다는 대목 때문일 거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만약 성궤의 이적이 유태인들의 선민사상에 의한 거짓이라면<span lang="EN-US">, </span>굳이 아론의 아들들과 신앙하는 자들을 포함해 아무런 나쁜 의도 없이 다가간 자들에게까지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묘사했을까<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 부분에서 성궤와 그 안에 담긴 물체<span lang="EN-US">(</span>돌판<span lang="EN-US">)</span>이 실은 의지가 없는<span lang="EN-US">, </span>즉 부주의하게 다루는 어떤 사람에게라도 해를 끼치는 에너지원의 일종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거다<span lang="EN-US">. </span>이때의 느낌은 종교 보다는 과학기술 쪽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38pt; text-indent: -18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font-family: Wingdings; ">l<span style="font-size: 7pt;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Times New Roman'; ">  </span></span><span style="font-size: 12pt; ">인류의 기원<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style="font-size: 12pt;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9.naver.net/20100902_40/devilishfire_1283355865386znmqK_jpg/6_devilishfire.jpg?type=w2" width="510" height="269" id="20100902_40/devilishfire_1283355865386znmqK_jpg/6_devilishfire.jp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br>왼쪽이 네안데르탈인<span lang="EN-US">, </span>우측이 현생 인류<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인류가 영장류에서 진화했다는 관점에 별다른 이의는 없다<span lang="EN-US">. </span>다만 그 진화의 과정과 돌연변이의 방향이 부자연스럽게 빠르고 또 이로운 방향으로 흘러 왔다는 점은 주류 학계에서도 궁금해 하는 부분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여기에 어떤 외부적인 힘이 개입했을까<span lang="EN-US">? </span>본 시리즈의 분위기와는 달리 우원은 저 멀리 플레아데스 성단이나 오리온<span lang="EN-US">, </span>시리우스 등에서 대머리 외계인이 찾아와 유전자 조작으로 인류를 만들었다는 식의 관점은 싫어하는 편이다<span lang="EN-US">(</span>그래서 라엘리안 무브먼트 같은 곳의 관점도 좋아하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사실 우원의 글도 태양계 외부의 괴상한 외계인 이야기는 아니지 않냐<span lang="EN-US">. 화성인도 행성Z인도 그 기원이 지구에 있는 만큼, </span>따지고 보면 이 시리즈에는 외계인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래서 우원은<span lang="EN-US">, </span>만약 영장류에서 인류로 진화한 속도가 너무 빨라 보인다면 실은 인류가 더 오래된 종족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span lang="EN-US">. 3~40</span>만년 전에 나타난 네안데르탈인의 뇌용량은 현생인류보다도 크다<span lang="EN-US">. </span>그런 그들이 그 긴 세월 동안 돌칼을 숫돌에 갈아서 쓰는 발상조차도 하지 못했을까<span lang="EN-US">? </span>어쩌면 나름대로 고등 문명을 건설했을 수도 있지 않을까<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러다가 유전자 구조가 다른 새로운 종족 크로마뇽인들에게 멸망한 것 아닐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대략 이런 정도다<span lang="EN-US">. </span>그래서 이것들을 요리저리 엮어서 과장하고 상상해서 만들어낸 게 바로 지금까지의 스토리다<span lang="EN-US">. 엉터리 같은 부분이 많은데도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그저 고마울 뿐이다.</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런데 여기서<span lang="EN-US">, </span>우원은 열분들에게 질문 하나를 던질란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우리는<span lang="EN-US">, </span>우원과 열분들 다 포함해서<span lang="EN-US">, </span>대체 왜 이런 류의 이야기에 열광하는 걸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단지 신기해서<span lang="EN-US">? </span>하긴 신기한 것도 사실이다<span lang="EN-US">. </span>그래서 우리는 유령 이야기나 초능력<span lang="EN-US">, UFO </span>등에 쉽게 열광한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단지 그것뿐인 걸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한가지 적시하고 싶은 점은, 우리 인간은 과거에 대한 끝없는 향수를 가진다는 거다<span lang="EN-US">. </span>그것이 개인의 어린 시절의 행복한 추억으로 인한 것인지<span lang="EN-US">, </span>유전자에 각인된 잃어버린 황금시대에 대한 동경인지는 알 수 없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우리는 분명<span lang="EN-US">, </span>과거 어느 시점에 지금의 시시한 세상과는 다른 먼가 멋지고도 놀라운 시대가 있었다는 것을 믿고 싶어한다<span lang="EN-US">. </span>그건 아마도<span lang="EN-US">, </span>만약 그런 세상이 있었다면 우리도 언젠가 다시 건설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일지도 모른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러나 그 속에는 또 다른 뿌리깊고도 굵은 정서가 하나 숨어 있다<span lang="EN-US">. </span>거대하고 장중한 무언가에 대한 이끌림과 동경이다<span lang="EN-US">. </span>이런 정서가 현실에서 힘의 지원을 받아 과장된 형태로 발현되면 자칫 히틀러의 제<span lang="EN-US">3 </span>제국처럼<span lang="EN-US">, </span>일본의 대동아 제국처럼 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유럽인들이 끊임없이 통합에 매진하는 배경에도<span lang="EN-US"> 2</span>천년 전 로마 제국에 대한 동경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span lang="EN-US">, </span>간과할 수 없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제국의 실현을 위해서는 압도적인 현실적 힘을 필요로 하지만, 실은 그만큼이나 이상주의가 그 근저에 깔려 있다<span lang="EN-US">. </span>그것이 자칫 비뚤어진 것이거나 극우 전체주의적인 것이라 할 망정<span lang="EN-US">, </span>대통합과 대단결 같은 표현들의 기저에 깔려 있는 것은 분명 하나의 이상주의이다<span lang="EN-US">.</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심지어 우리가 환단고기와 치우천왕을 논하고, 과거 중원을 지배했다는 등의 이야기를 할때 그 바탕에 있는 정서 역시 실은 우리 조상이 주인공이었던 대제국의 역사에 대한 열망인 거다.</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span><span style="font-size: 12pt; "></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이런 ‘제국의 미학’에 ‘잊혀진 황금시대의 미학’이 합쳐지면 그것이 가진 마력은 몇 배로 증폭된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p><span style="font-size: 12pt; "><div style="line-height: 1.5; "><p align="center"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 "><img src="http://postfiles5.naver.net/20100902_4/devilishfire_1283355874111JjKY2_jpg/7_devilishfire.jpg?type=w2" width="552" height="368" id="20100902_4/devilishfire_1283355874111JjKY2_jpg/7_devilishfire.jpg" class="_photoImage" style="border: none; cursor: pointer; "></p></div><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br>나치의 악행에 치를 떨면서도 심정적으로는 매력을 느끼는 경우도 있지 않냐<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p><p class="MsoNormal" align="center" style="margin: 0cm 0cm 0pt; text-align: center;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그래서 우원은 이 시리즈의 스케일을 저토록 크게 잡은 거다<span lang="EN-US">. </span>프리메이슨 같은 음모론을 일거에 눌러 버리는 태양계 차원의 거대한 이야기<span lang="EN-US">. </span>그리고 그 근저에 있었던<span lang="EN-US">, </span>세 개의 행성을 거느린 꿈결같이 아련한 잊혀진 대제국<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지저분하고 피곤한 현실 속에 사는 우리<span lang="EN-US">, </span>언젠가 그런 뭔가 엄청난 것이 있었다고...</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한번 꿈꿔 보고 싶지 않냐 말이다<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 이번 편 에필로그로 다 끝내려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 버렸다<span lang="EN-US">. </span>그래서 할 이야기 하나를 미처 못했다<span lang="EN-US">. </span>아무래도 좀 다른 내용이 되지 싶어 차라리 잘됐다 싶기도 하지만<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암튼 그래서 다음 주에는<span lang="EN-US"> </span>열분들이 깜짝 놀랄 소식 하나를 전해 드리겠다<span lang="EN-US">. </span>아마도 무엇을 상상하던 그 이상의 이야기를 듣게 될 거다<span lang="EN-US">. </span>그렇다고 우원이 실은 태양계 제국 황제의 적손이라던가 그런 건 아니니 너무 오바하진 마시고<span lang="EN-US">.<o:p style="margin: 0px; "></o:p></span></span></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o:p style="margin: 0px; "></o:p></span> </p><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span style="font-size: 12pt; ">기둘리시라<span lang="EN-US">.</span></span></p></span></span></o:p></span></span></o:p></span></span></o:p></span><p></p>
    라르페시의 꼬릿말입니다
    <a href="http://www.enjin.com/bf3-signature-generator" alt="bf3 forum sigs"><img src="http://sigs.enjin.com/sig-bf3/967a9e1ab95ea060.png"></a>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12/31 23:43:48  175.223.***.171    
    [2] 2013/01/02 00:59:25  1.236.***.100  자르반4세  159802
    [3] 2013/01/09 14:25:18  61.43.***.84  hellion  195739
    [4] 2013/04/29 23:52:23  175.223.***.39  몰랑  33423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0
    월오탱, 월오쉽, 월오플 통합될꺼라 기대하지마세요 [8] 라르페시 13/01/17 19:39 74 0
    449
    마마마를 다시 복습했는데 라르페시 13/01/17 13:31 33 0
    448
    AA]나이마서버 동대륙놈들은 짐승,양아치밖에 없나.. [1] 라르페시 13/01/16 23:08 57 0
    447
    슈로대에 나온 YF-29 [3] 라르페시 13/01/15 02:08 63 0
    446
    헐.. 1982년도에 나온 애니를 다시 만든대요 [1] 라르페시 13/01/15 02:02 110 0
    445
    음탕한 은하아이돌2 (약후방주의) [1] 라르페시 13/01/15 02:01 90 0
    444
    음탕한 은하아이돌 [5] 라르페시 13/01/15 01:50 88 0
    443
    AA]나이마 서대륙 무역선운송업 합니다 [1] 라르페시 13/01/13 20:58 24 0
    441
    마그네틱 트레드밀 괜찮나요? [3] 라르페시 13/01/12 02:15 17 0
    440
    나이마 동대륙사람들은 정말 쓰래기네요 [4] 라르페시 13/01/11 16:40 69 0
    439
    나이마 동대륙놈들 되게 매너없네 [5] 라르페시 13/01/10 01:54 65 0
    438
    3~5개월에 한편씩 나오는 고퀄리티 웹툰 라르페시 13/01/07 03:38 102 1
    437
    맞는게 찰진 웹툰 라르페시 13/01/07 03:38 49 0
    436
    아키에이지 후기 라르페시 13/01/05 02:25 68 2
    434
    이터널시티 안타레스 서버 하지마세요 라르페시 13/01/04 01:18 36 0
    433
    이터널시티 이터니티 서버를 시작하시는 분께 [5] 라르페시 13/01/03 16:31 66 0
    432
    여러분 이터널시티 합시다 [6] 라르페시 13/01/02 17:34 91 2
    431
    자경단 원정대를 만들어볼까... [6] 라르페시 13/01/02 16:03 122 0
    430
    나도 고딩때 달달했던 썰 - 완결 [2] 라르페시 13/01/01 18:30 66 3
    429
    나도 고딩때 달달했던 썰 - 4 [2] 라르페시 13/01/01 18:06 57 3
    428
    나도 고딩때 달달했던 썰 - 3 라르페시 13/01/01 17:45 74 1
    427
    나도 고딩때 달달했던 썰 - 2 [3] 라르페시 13/01/01 14:23 65 1
    426
    나도 고딩때 달달했던 썰 [2] 라르페시 13/01/01 03:22 69 3
    425
    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을 봐주신 여러분 라르페시 12/12/31 21:24 30 0
    424
    [펌]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에필로그2 [2] 라르페시 12/12/31 21:17 16 0
    [펌]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13, 에필로그 - 1 라르페시 12/12/31 21:17 4 0
    422
    [펌]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12 라르페시 12/12/31 21:12 10 0
    421
    [펌]외계문명과 인류의 비밀 - 11 라르페시 12/12/31 21:11 7 0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