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내닉은레어닉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6-03-13
    방문 : 69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movie_63141
    작성자 : 내닉은레어닉
    추천 : 11
    조회수 : 3550
    IP : 218.209.***.189
    댓글 : 24개
    등록시간 : 2016/11/18 04:57:25
    http://todayhumor.com/?movie_63141 모바일
    [스압] Les miserables 레 미제라블 영화감상문. 매우 주관적
    옵션
    • 창작글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드디어 쓰게되었다.</div></div> <div><br></div> <div>영화감상문. 레 미제라블을 보고 또 보고 수십번째.... </div> <div><br></div> <div>뮤지컬도 보고, 영화도 보고 원문 스크립트를 거진 외울정도로 빠져서 보게 되었다.</div> <div><br></div> <div>더 나아가기전에.</div> <div>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와 그에게 영감을 받은 세 프랑스인 알랭 부빌, 클로드-미셸, 장 마르크.</div> <div>그리고 이를 세계적으로 알리게 된 프로듀서 영국인 캐머런 매킨토시에게 </div> <div>먼저 감사함을 표한다.</div> <div><br></div> <div><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내가 원래 가장 좋아했던 영화는 '스피드'시리즈 였다. </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단순히 보기에 편하고, 내가 영화에서 원하는 "킬링타임"의 목적에 완전히 부합했기 때문이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하지만 '레 미제라블'을 보고 난 뒤, 완전히 바뀌었다. </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단지 상업용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를 찬양했었지만, </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물론 레 미제라블도 할리웃 블록버스터는 맞다.) 이 영화는 문학적으로도 나를 만족시켜 줄 수 있었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사실 감동적인 영화에 나는 매우 취약하다.  금새 눈시울이 붉어지고 격양되면 눈물이 터진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레 미제라블의 뮤지컬형식은 내 취약점을 강하게 치고 올라왔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I dreamed a dream이나 on my own 등등은 가사를 곱씹을수록 더욱 강하게 몰아쳐온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물론 레 미제라블이 지겹다는 사람도 많다. 분명히 문학적인 성향이 너무 크고, 뮤지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잘못된 선택이 될 확률이 높다. </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당시에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니 그 인기에 휩쓸려 무작정 본사람들도 매우 많을것이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2012년에 개봉해서 당시 군복무중이던 나는 볼 수 없었지만, 그 인기는 군부대내에도 전해졌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TV에서는 영화 레 미제라블의 패러디가 항상 나왔었고, 심지어 군 인트라넷에도 등장했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2014년 "전역하고 꼭 봐야지"라는 생각을 했었고, 다른 계획들과는 다르게 이것만은 나 자신과의약속을 지켰다.</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처음에는 스토리에 주목했다. 책에서 읽은 장발장의 이야기와는 어떻게 다를까....</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br></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캐스팅은 호화 그 자체다. </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내가 감명깊게보았던 러셀 크로, 휴 잭맨, <span style="font-size:10pt;">앤 해서웨이와 아만다 사이프리드라니!</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캐스팅만으로도 후회가 없을 것 같은 영화다.</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물론 캐스팅이 영화의 전부가 아니지만 매우 중요한부분임은 사실이니까 말이다.</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span> </div><span style="font-size:10pt;"> </span>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7_224800.68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10277bdfb818108474489921f0199ee45e7__mn711759__w640__h480__f48970__Ym201611.jpg" filesize="48970"></div></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때는 1815년,</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br></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프랑스 대혁명" 후 26년.  새로운 왕이 다시 프랑스의 왕좌에 앉게되고....</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세계에 자유주의가 퍼지게 되는 시발점인  <span style="font-size:10pt;">"프랑스의 7월혁명"까지는 아직 15년이 남은 모순덩어리의 시점이다.</span></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span style="font-size:10pt;"><br></span></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감옥에 수용된 "법의 노예(사회의 노예)"들이 도크에 반파당한 군함?을 끌어오는 장면으로 시작된다.</span></div> <div style="margin:0px;padding:0px;color:rgb(51,51,51);text-transform:none;text-indent:0px;letter-spacing:normal;font-family:HYchild;font-size:13.33px;font-style:normal;font-weight:normal;word-spacing:0px;white-space:normal;"><span style="font-size:10pt;"><br></span>여기서 등장하는 곡 "Look down"에서 그들은 자신들의 존재가 완벽하게 소외당한 존재임을 자각하는것을 엿볼수있다.</div> <div><br></div> <div>(잠시 이쯤에서 프랑스의 혁명사를 선행학습했는데, 그것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이과라서 세계사에 약한게 아쉽다.)</div></div><br><br><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7_231738.61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162581dbfba7251429bb0b404125d60824b__mn711759__w640__h480__f79026__Ym201611.jpg" filesize="79026"></div> <div> </div> <div> </div> <div><br>이 장면은 많은 것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생각한다. "자유, 평등, 연대 (Liberté, Égalité, Fraternité )"를 상징하는 French Tricolore가 너덜너덜하게 부숴져 땅에 떨어져있고, "(법)사회의 노예"들이 같은 화면에 비춰진다</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7_232556.76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195bb5db13ea77549d5b674cff1fa66c0f8__mn711759__w640__h480__f81343__Ym201611.jpg" filesize="81343"></div> <div><br> </div> <div>그 후 장면에서 자베르에 의해 장 발장이 깃발을 홀로 들어 옮기게 된다.<br></div> <div>단순히 이 장면을 장발장의 힘이 무척 세고,  그가 국기를 들어올린다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div> <div><br></div> <div>이 장면은 프랑스 혁명 후 다시 땅에 떨어진 "자유와 평등과 그리고 연대"를 누가 다시 들어올리는가?</div> <div>그 거대한 무게를 메고 나아가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 는 것을 묻는 장면이다.</div> <div><br></div> <div>그들이 꿈꾸던 세상은 너무도 빠른 역사의 소용돌이속에서 사라져가고 있었고,</div> <div>자신들의 왕과 귀족들뿐만아니라 주변국의 왕과 귀족까지도, 프랑스인들이 세상을 바꾸는것을 호락호락 보고 있지만은 않았다.</div> <div><br></div> <div>결국 그 대답은 다른 누구도 아닌 "프랑스인 자신들"이고 그것은 불평등의 가장 밑단에 서있었던 장발장이 너덜너덜한 "깃발"을 짊어지는 것으로 표현된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7_233921.43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222a08e295a5ee849ca9a6e0cfee58f45bb__mn711759__w640__h480__f34217__Ym201611.jpg" filesize="34217"></div> <div><br> </div> <div>그의 가석방은 장발장에게 새 세상을 맛보게하지만</div> <div>사실 새 세상은 그의 감옥의 연장이었다.  </div> <div>자베르가 그에게 건넨 "가석방증서"는 그에게 낙인처럼 쫒아오는 불평등의 상징이다.<br></div> <div>가석방증서는 가난에 쫒기는 자라면 누구나 가지고있는 "불평등"인 것이다.</div> <div><br>또한 여기서 무자비가 얼마나 사람을 참혹하게 하는지 생각해볼 수 도 있다.</div> <div><br></div> <div>가석방 증서 본연의 의미대로 법의 심판으로 생각할 경우.</div> <div><br>가석방 증서는 무자비한 법이 사람을 어떻게 "법의 노예"로 만드는지 잘 보여준다.</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0004.96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26485ca640978104b95b39c9f804623e6c6__mn711759__w640__h480__f37614__Ym201611.jpg" filesize="37614"></div> <div> </div> <div><br> </div> <div>그렇게 장 발장이 세상으로부터 궁지로 내몰리는 가운데</div> <div> </div> <div>미리엘 주교가 장 발장을 성당 앞에서 보게되고, 그를 안으로 들게 한다.</div> <div>그러한 선의를 처음 받아본 발장에게 익숙하지 않은 선의다.</div> <div> </div> <div>장 발장은 그의 선의를 배신하고 은식기를 훔쳐 달아나지만</div> <div>곧 경찰?에게 붙잡혀 주교 앞에 만나게된다. </div> <div><br>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0358.01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297cba3a2c88b1a4def9d414fac3bd6f368__mn711759__w640__h480__f42407__Ym201611.jpg" filesize="42407"></div><br><div>그러나 미리엘 주교는 이것까지 용서해주고, 그 은식기를 가지고 정직한 사람이 되라고 한다.</div> <div> </div> <div>장 발장에게 이것은 처음 느끼는 자비의 손길이고</div> <div>20여년간 감옥에서는 느껴보지 못한 새로운 충격이었다.<br></div> <div>장발장의 다음 독백장면에서 '20년간의 감옥살이가 그의 심장을 돌로 굳게 만들었지만, 그의 믿음과 자비는 그 자신을 수치심이라는 칼로 후벼파는 듯하다'고 말한다.</div> <div> </div> <div>타인에 의해 강요된 반성과 자신이 자발적으로 느끼는 반성은 근본적으로 다른 것임을 보여준다.</div> <div> </div> <div>물론 살인한 자와같이 강력범이면 상황은 많이 다르겠지만,</div> <div>굶주린 조카와 누이, 그리고 자신을 위해 빵을 훔친 장 발장에게 노예같은 감옥살이를 내린</div> <div>무자비하고 감정이 메마른 "냉혹한 법"이 발장의 삶을 철저히 망친것 처럼. </div> <div>사회를 위해 만든 도구인 법이 어느샌가 사람을 노예로 삼는 일을 생각해보아야 하겠다.</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1541.26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3406d209c550d224c6da0bb332de6f2aef6__mn711759__w640__h480__f63255__Ym201611.jpg" filesize="63255"></div> <div><br> </div> <div>불평등의 늪에서 사람들은 인생의 의미를 잃어버린채 살아간다.</div> <div>그것을 표현한 노래가 "At the End of the day"이다. </div> <div><br></div> <div>(사족-사실 레 미제라블 원작 소설은 그 시대상을 너무도 잘 묘사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2042.79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36195aa31f9d76546debef23e0ce942dee0__mn711759__w640__h480__f61159__Ym201611.jpg" filesize="61159"></div><br><div>그리고. 억울하게 내몰린 팡틴.</div> <div><br>한 아이의 엄마로 모든 것을 아이를 위해 살아가는 그녀에게 지옥이 펼쳐지는 순간이다.</div> <div><br>공정하지 못한 일로 다른 사람이 또 얼마만큼 처절하게 사회의 끝까지 내몰릴수 있는지....</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2704.28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392131db4f84b344a4c9f4a4f98b8ae503b__mn711759__w640__h480__f43163__Ym201611.jpg" filesize="43163"></div><br><div>사창가로 떠밀리게된 팡틴이 마지막남은 자존심을 꺾게된다.</div> <div><br>더러운 창녀들과 그들을 사러오는 더러운 남자들..</div> <div><br>팡틴의 첫 사창가에서의 밤이후 </div> <div><br>그녀가 부르는 "I dreamed a dream"은 꿈이 완전히 현실에게 꺾여버렸음을 생생하게 표현한다.</div> <div>지옥이 된 삶은 철저히 꿈을 짓밟아 죽인다.</div> <div><br></div> <div>한명의 젊은 여자였던 팡틴은 사랑에 짓밟혔고, 엄마가 된 팡틴에게는 세상의 가혹함만이 기다릴뿐.</div> <div><br>가사 그대로 평등이 없는 사회에서, 현실은 호랑이이며 천둥이었다.</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3624.34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43375ef4838cca14e76a1ea39aa225ae282__mn711759__w640__h480__f33834__Ym201611.jpg" filesize="33834"></div><br><div>죽어가는 팡틴에게서 그녀의 딸 코제트를 부탁받은 발장.</div> <div><br>이후 발장의 정체를 다시 알게된 자베르와 다시 조우하고 도망친다.</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3850.93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497592e7d5789924592a970729791591194__mn711759__w640__h480__f34412__Ym201611.jpg" filesize="34412"></div><br><div><br>팡틴이 죽고 고아가 된 코제트.</div> <div>극중 3번째로 등장하는 비참한 존재이다. </div> <div><br>하지만 사실 테나르디에부부를 가혹한 사회로 선뜻 대입하기에는 어려움이있다.</div> <div>여기서는 그저 "못된 부부"라고 생각해두기로 하자.</div> <div>물론 이때의 에포닌과 코제트는 확실히 상반된 입장이다.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4651.29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53096a17410d8fd44fcb312d3fd793b5ed1__mn711759__w640__h480__f48742__Ym201611.jpg" filesize="48742"></div><br><div>뮤지컬에서는 특히 테나르디에 부부는 사실 극적인 요소로 따지자면 비참함 속의 "유쾌함"이라고 할까?</div> <div>감칠나는 연기로 "미운 놀부"역할을 해줘야하는데 여기서 특히 테나르디에부인역인 헬렌 보넘 카터의 연기가 돋보인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배우인데다가 연기의 폭이 상당히 넓어서 너무나 잘소화해 내었다.</div> <div><br></div> <div>테나르디에 부부가 듀엣으로 하는 마지막부분이 이 장의 백미!</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4840.47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54934650550e3ed4c42ba4c3da161b41a85__mn711759__w640__h480__f38937__Ym201611.jpg" filesize="38937"></div><br><div>가족이 된 장 발장과 코제트.</div> <div><br></div> <div>발장은 미리엘주교에게 자비를 얻은 후, 두번째로 가족 혹은 자신이 지켜야할 어떤 존재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 깨닫게된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05138.96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5696981cb0ca4964138b0c83a5aac356fc6__mn711759__w640__h480__f26011__Ym201611.jpg" filesize="26011"></div><br><div><br></div> <div>발장을 놓친 후의 자베르.</div> <div><br></div> <div>여기서 부르는 "Stars"가 자베르의 페르소나를 잘 표현한다.</div> <div>완벽한 법과 냉혹한 이성이 신의 뜻이고 그것이 자신이 가야 할 길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노래는 </div> <div>역설적으로 자신 또한 그 법의 노예임을 자각하지 못하는듯하다.</div> <div> </div> <div>사실 그 또한 철저히 법의 아래에 놓인 노예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인간이 만든 도구인 법을 자신의 삶 목적으로 만든 자베르는 다른 의미로 법의 노예가 된 것이다.    </div> <div><br></div> <div>(파리의 노트르담 성당을 배경으로 부르는 게 아주 멋지다.  이 장면을 보고 디즈니의 '노틀담의 꼽추'가 생각나서 괜히 노래를 흥얼거리게 된다. 개인적으로 디즈니 최고 명작을 노틀담의 꼽추로 본다. 단순히 공주이야기, 영웅이야기가 아닌 사회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표현한 디즈니의 시도가 돋보였다.</div> <div>마찬가지로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작품.)<br></div> <div><br></div> <div><br></div> <div><br></div> <div> </div> <div> </div> <div><br> </div> <div>시간은 흘러 </div> <div>1832년 프랑스 파리.</div> <div><br></div> <div>1830년에 일어난  "프랑스 7월혁명"이 있고 2년이 지났지만. 산업혁명의 여파로 노동자들의 가난은 더 심해졌으면 심해졌지 나아진 것이 없었고, 프랑스 대혁명과  7월혁명 두번의 혁명이 지나고 만들어진 입헌군주제도 제 역할을 못했다.</div> <div>다시 한번 불어닥칠 1848년 "프랑스 2월혁명"까지는 아직 15년가량 남은 때.</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15050.73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624f65580b63d694820b4c0f40692f18730__mn711759__w640__h480__f52468__Ym201611.jpg" filesize="52468"></div> <div><br>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13906.02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7083db225e5e1c24445828c40fef8f01a5f__mn711759__w640__h480__f39518__Ym201611.jpg" filesize="39518"></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13908.91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6757e575568d23d4d88973f4305f574261c__mn711759__w640__h480__f47752__Ym201611.jpg" filesize="47752"></div> <div> </div> <div> </div> <div>마리우스와 다 큰 코제트의 만남.</div> <div><br></div> <div>이 만남이 젊은 마리우스에게 큰 혼란을 주게된다</div> <div><br><br>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14711.43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7387cf220a0ee3b49ee904496686a35cb8d__mn711759__w640__h480__f52763__Ym201611.jpg" filesize="52763"></div><br><div>성장한 에포닌과 그녀에게 코제트에 대해 물어보는 마리우스</div> <div> </div> <div>과거와는 완벽히 다른 상황에 있게된 에포닌.</div> <div>테나르디에부부의 딸로 태어난 것은 에포닌의 잘못이 아니므로 에포닌 또한 비참함을 겪게되는 인물이다. 부르주아의 딸으로 성장한 코제트와는 다르게, 성장한 이후 비참한 여성의 표본을 맡게되는 캐릭터.</div> <div> </div> <div> </div> <div>가난과 더불어 마리우스에 대한 사랑도 코제트에게 밀리고...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15917.59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7838e7fa521f6fe4253babd9623e245db9d__mn711759__w640__h480__f47165__Ym201611.jpg" filesize="47165"></div><br><div>자신들이 바리케이드를 치고 결사항전하면 파리시민들이 혁명에 가담할 것이라고 다짐하는</div> <div> </div> <div>ABCs... 젊음과 정의가 폭발하는 장면이다.</div> <div> </div> <div>마리우스의 할아버지가 마리우스를 이해못하듯이. 젊은 계몽층이 사회의 부조리와 기득권을 이해못하는 것은 당연했다. </div> <div>약 200년전이나 지금이나.. 혁명과 앙시엥레짐의 타파는 피를 부르기 마련이지만.. 젊은 혈기와 젊은 정의는 그것에 굴하지 않는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0508.13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842e479f3dd723140268326ccfb1bf8b765__mn711759__w640__h480__f37025__Ym201611.jpg" filesize="37025"></div><br><div>최고 명장면중 하나인 에포닌의 " On my own" </div> <div>남자가 보면서도 괜시리 눈물이 쏟아지는 장면이다.</div> <div><br></div> <div>내가 못생겨서 참 다행이다 ^^ 또다른 누군가를 에포닌으로 만들지는 않을테니 정신승리 아님.</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0810.60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874f1cca6f3ab8d4bd7ba5d704b6ce9bbd3__mn711759__w640__h480__f34662__Ym201611.jpg" filesize="34662"></div><br><div>'사랑이냐 정의이냐.'</div> <div><br></div> <div>마리우스 내적갈등의 최고조가 될 수 밖에 없는 장면.   </div> <div><br>둘다  누구든지 최고로 치는 가치이다. 마리우스의 내면에서 두 가치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는데</div> <div><br>때맞춰 흐르는 곡인 " One day more"에서 내일의 혁명에 대한  각 캐릭터간의 현실이 극명하게 나뉜다.</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1256.07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950c37ed9e5e3464fc48ec81db030c25644__mn711759__w640__h480__f46757__Ym201611.jpg" filesize="46757"></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1317.67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933608ea9829ddf4619ae84ee888689d6c3__mn711759__w640__h480__f46983__Ym201611.jpg" filesize="46983"></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br>바리케이드가 준비되고 마리우스는 정의를 택한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2309.51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1997e2a4f17b46b54be4b0bef5738378511d__mn711759__w640__h480__f77271__Ym201611.jpg" filesize="77271"></div></div><br><div> </div> <div>대망의 "Do you hear the people sing"이 울려퍼지는 장면.</div> <div><br></div> <div>민중의 편에 섰던 라 마르크 장군의 장례식 행렬에서 6월봉기가 시작되는 장면이다.</div> <div>"혁명을 위한 순교자들의 피가 프랑스의 땅을 적시리!!!!"라는 가사가  La marseillaise를 연상케한다.</div> <div><br><br> </div> <div>자유의 빨간 깃발이 가장 멋있게 휘날리는 장면.</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3809.53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035c0df3646113548c89f0b9a6681db4baf__mn711759__w640__h480__f32438__Ym201611.jpg" filesize="32438"></div><br><div>"너희는 누구냐!"라고 선전포고?하는 정부군에</div> <div>"프랑스 혁명군이오!"라고 대답하는 앙졸라스.</div> <div><br></div> <div>그리고 이어서 외쳐오는  정부군의 "발포!"</div> <div><br></div> <div>앙졸라스의 정의과 목숨을 건 한마디라고 생각한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3523.69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06543fac3c0b4fb41f6bd19a5e4f5571655__mn711759__w640__h480__f45957__Ym201611.jpg" filesize="45957"></div></div><br><div>마리우스를 위해 대신 총에 맞고 죽는 에포닌.</div> <div><br></div> <div>비록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지만, 그 사랑을 위해 모든 것을 다 바친 에포닌의 마지막 노래가 너무도 애처롭다.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3049.05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08980c43b8488a5469fa469bab98e669c2f__mn711759__w640__h480__f31450__Ym201611.jpg" filesize="31450"></div> <div><br> </div> <div>첩자로 왔었던 자베르를 자신에게 맡기라고 한뒤 데려가는 발장.</div> <div><br></div> <div>발장은 사실 앞에서 서술한듯이 자베르도 역시 "법의 노예"로 살고 있었던 것임을 분명히 자각했을 것이다.</div> <div>게다가 그는 이미 미리엘 주교로부터 "자비"가 얼마나 강한 것인지 알고 있었다.</div> <div><br></div> <div>결국 자베르를 풀어준다.</div> <div><br></div> <div>여기서 개인적으로 장발장이 생각을 하던 자비를 실행에 옮기는 장면이라 매우 감동적이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24311.74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114ea4888c40ff6493195d7187eb7aea32f__mn711759__w640__h480__f43654__Ym201611.jpg" filesize="43654"></div> <div><br> </div> <div>길거리 꼬마 혁명군 가브로슈가 정부군의 총에 죽고 </div> <div>정부군이 "파리사람들은 다들 자고있다, 왜 목숨을 그냥 버리느냐?"라고 묻는다.</div> <div><br></div> <div>매우 근본적인 물음이다.</div> <div>누군가에게 혁명은 무의미해보이고 "개죽음"이라고 생각될거다.  또 어떤 이들에게는 정의는 맞지만</div> <div>"단지 의미없는 몸부림"일뿐일거다.  그래서 정의라고는 생각해도 참여하지 않는 자들이 많을거고.</div> <div>더군다나 누군가에게는 "그저 무뢰한들의 폭동"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div> <div>왜 ABCs는 혁명에 몸을 던졌나?</div> <div>왜 프랑스 사람들은 혁명의 역사에 자신들의 피를 바쳤는가?</div> <div>부당한 권력과 그 탄압에, 사회의 부조리를 타파하는 것에 목숨을 던지는 것.</div> <div>누군가에게는 자신의 피를 바쳐 해야할 일이고.</div> <div>누군가에게는 쓸모없는 일이라고 생각되어 지는것이다.</div> <div>이는 끊임없이 생각해보아야 되는, 어느 시대에나 고민되어야할 물음이다.</div> <div><br> </div> <div>앙졸라스는 "이 땅이 자유로워질 때까지, 우리의 자리를 다른 사람들이 채울 수 있도록 싸우겠다"라는</div> <div>답을 보낸다.<br></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0335.61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1389b51f7798e354831b10710fbe5509679__mn711759__w640__h480__f68956__Ym201611.jpg" filesize="68956"></div> <div><br> </div> <div>결국 자유의 붉은 깃발을 든채 정부군에게 죽은 앙졸라스...6월봉기의 끝.</div> <div><br></div> <div>(물론 실제역사에서는 체포된 다수의 생존자들이 재판을 받게된다. 파리에서 이뤄진 재판에서 몇몇 공화주의자들은 자신들을 변호하면서 공화주의에 대해 연설할 기회도 갖게된다. 이렇게  6월봉기는 실패로 끝나지만 시간이 지난후 "프랑스 2월혁명"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div> <div>이 봉기의 진압과정 중에 당시 프랑스의 왕이었던 루이 필리프는 국민들의 지지를 받는 듯 했지만, 공화주의자들의 여세도 강했던데다 결정적으로, 이때에 계엄령을 악용한 것이 국민들의 지지를 엄청나게 떨어뜨렸다. 1800년대에 이미 만평과 비평이 엄청나게 쏟아졌고 빅토르위고 또한 이렇게 작품에 반영하였다. 참고로 이 기간 중에 왕령에 의해 그 유명한 외젠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여신"이 관람 금지된다.)</div> <div><br></div> <div>[1830년대에 왕에게 잡힌 공화주의자들이 재판에서 연설할 기회를 갖고, 제대로된 재판을 받았으며</div> <div>82명중에 7명에게 사형을 내리지만, 왕은 모두 유배형으로 감형시킨다.</div> <div>1970~80년대에 대한민국에서 누군가에게 잡힌 억울한 민주열사들이 어떻게 당했는지 생각하면...참 비교가...]</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3528.52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17744149eba37be46bebf1c6d621b51d820__mn711759__w640__h480__f43444__Ym201611.jpg" filesize="43444"></div> <div> </div> <div> </div> <div>다음날 모든것이 끝나고 바리케이드로 찾아와 가브로슈의 가슴에 자신의 훈장을 달아주는 자베르.</div> <div> </div> <div>자베르는 어젯밤, 이미 장 발장에게 자비를 느꼈고 밤새 엄청난 고뇌에 쌓여있을것이다.</div> <div>그 고뇌의 결과는 장 발장과 재회하며 폭발한다.</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3829.99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222aa13929cb71f453bbb9115cc49e6716e__mn711759__w640__h480__f36019__Ym201611.jpg" filesize="36019"></div> <div> </div> <div>마리우스를 들처메고 하수구로 탈출하는 장 발장과 이를 보내주는 자베르.</div> <div><br></div> <div>이후 자베르는 센강의 다리위에서 폭발하는 자신의 고뇌를 노래하는데 그게 바로 "Javert's suicide"</div> <div>미리엘에게 절도죄에대해 자비를 받은 장발장이 칼로 찌르는듯한 느낌을 받았듯이.</div> <div>전 인생을 걸쳐 무자비한 법의 화신으로 살았던 자베르가 받는 고통은 더할나위 없이 컷을 것이다.</div> <div>자신의 신념이 모두 무너져 내렸으며, 자베르의 내면에서 평생을 걸쳐 악으로 칭하던 장 발장과 선악이 뒤바뀌는 순간이다.</div> <div><br></div> <div>특히 미리엘 주교로부터 자비를 받은 장 발장의 노래와 같은 노래를 가사만 바꿔서 부르며</div> <div>"I am reaching but I fall"과 "I will escape now from that world, from the world of Jean Valjean"등 겹치는 가사가 등장하면서  자비를 받은자의 고뇌가 중첩되는 순간이고, 법의 노예로 살았던 둘이 해방되는 모습이다. </div> <div>물론 장 발장은 새 인생을 택하고, 자베르는 죽을을 택하지만.</div> <div><br>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5042.36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24320f17e70e821408dac699c27c6575a7b__mn711759__w640__h480__f41630__Ym201611.jpg" filesize="41630"></div> <div><br> </div><br><div>동지들을 떠나보낸 마리우스의 "Empty chairs at empty tables".</div> <div>그의 비탄함이 잘 나와있긴한데, 개인적으로 이보다 앞에서, 바리케이드 근처에 살던 여자들이 부르는 노래가 더 와닿는다.</div> <div>프랑스 시민들이던 그녀들은 청년들이 죽어간 것을 보며 그들의 희생을 피부로 느끼게된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5638.72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263cb4941b6497447c1a1fe47216d42cfee__mn711759__w640__h480__f44580__Ym201611.jpg" filesize="44580"></div><br><div><br></div> <div>마리우스에게 코제트를 맡기고 사라지려고하는 장 발장.</div> <div>범죄자인 자신의 존재가 그들을 가로막기에 혼자 사라지려고 한다.</div> <div><br></div> <div>이때 마리우스에게 자신이 범죄자였음을 고백하는 장 발장과 그 사실을 알게되고 약간의 거리감을 두게되는 마리우스를 볼 수 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35956.03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2804ad176575ce743f783331dbcfae44c04__mn711759__w640__h480__f49655__Ym201611.jpg" filesize="49655"></div> <div><br> </div> <div>마리우스에게 한대 맞고 사실을 말하는 테나르디에.</div> <div><br></div> <div>이때 마리우스는 바리케이드에서  자신을 구한것이 장 발장임을 알게된다.</div> <div>범죄자라는 사실을 듣고 장 발장을 막지 않고 떠나보낸 자신을 후회하게되는 그 순간.</div> <div>마찬가지로 테나르디에 부부의 익살맞은 연기가 매우 돋보이는 곳이기도하다.</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40226.71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29830d5230e7d2440318d99556b1c06edf5__mn711759__w640__h480__f59893__Ym201611.jpg" filesize="59893"></div> <div> </div> <div> </div> <div>마리우스와 코제트는 죽음에 다다른 장 발장을 만나고 </div> <div>여기서 모든 갈등이 해소된다.  코제트도 장 발장의 과거와 행적을 듣고, 마지막 순간에서야 그를 이해하게된다. 왜 도망치며 살았는지, 왜 떠났는지를 말이다.</div> <div><br></div> <div>그리고 그를 천국에서 마중나온 팡틴이 데려간다.</div> <div> </div> <div>미리엘주교와 장 발장, 팡틴이 셋이서 함께 </div> <div>"서로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신의 얼굴을 보는 것"이라는 가사를 노래할 때가 압권.</div> <div><br></div> <div>즉, 풀이하자면 장 발장이 완벽하게 선한사람으로 돌아선 것에는</div> <div>첫째로 미리엘 주교의 자비를 얻었고, 둘째로 자신도 딸인 코제트에게 사랑을 쏟아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받는 것이 전부가 아니고 사랑을 줄 수 있어야 참된 인간으로의 완성임을 뜻하는 것이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41052.32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31994cf870ab76f4f7584dabc9324e4708e__mn711759__w640__h480__f50724__Ym201611.jpg" filesize="50724"></div> <div style="text-align:left;"> </div> <div><br> </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41125.11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4373796d67502734a0d927c221ba490261a__mn711759__w640__h480__f90574__Ym201611.jpg" filesize="90574"></div><br><br><div style="text-align:lef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40" height="480" alt="RELes.Misérables.Aka.Los.Miserables.2012.1080p.BluRay.x264.AC3-ONe.mkv_20161118_041230.57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611/14794124466f306b764ea649ea813d6fbff9c69a06__mn711759__w640__h480__f96049__Ym201611.jpg" filesize="96049"></div></div><br><br><div>화면 전환이 되어</div> <div><br></div> <div>몇중 몇겹의 바리케이드가 펼쳐지고,  대대적인 프랑스 시민의 봉기가 일어나는 것을 보여준다.</div> <div><br></div> <div>자유와 평등과 연대의 삼색기와 자유의 붉은 깃발이 펄럭인다.</div> <div><br></div> <div><br></div> <div>(물론 이후에 다시 황좌에 오른 나폴레옹이 이런 바리케이드 전법을 못써먹도록 길을 넓게 뚫어버리지만, 본인이 자멸해서... 큰 혁명 없이 알아서 사라져 주신다.)</div> <div><br></div> <div>최소한 내게는 너무너무 좋은 영화고, 아마 대부분에게 가슴 깊이 와닿아서 전세계적인 열풍을 불어왔으리라 믿는다.</div> <div>영화의 완성도가 매우 높아서 사실 뮤지컬영화에 거리낌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단점도 거의 없었던데다, 그렇게 못했다고 욕을 먹었던 러셀 크로우도 영화배우로 이정도 했으면 진짜 잘한것이라고 생각한다.</div> <div><br></div> <div>뮤지컬의 감동을 너무나도 잘살린데다가 스크린에서만 가능한 프랑스 시내연출도 훌륭하다.</div> <div><br> </div> <div> </div> <div>===========================================================================================</div> <div>아 힘드네요.</div> <div> </div> <div>그냥 한번 혼자서 감상문 하나 써봤습니다. 독후감도 써본지 오랜데, 영화감상문은 진짜 언제적에 써봤는지..</div> <div>그냥 리뷰라고 생각하고 쓴겁니다.</div> <div> </div> <div>아참 그리고 말투는 그냥 감상문형식이라  반말로 들리시면 매우 죄송합니다.</div> <div> </div> <div> </div> <div> </div> <div>왠지 이런 시국에 어울리는 영화입니다. </div> <div> </div> <div> </div> <div> </div>
    출처 블로그에서 쓰고 바로 오유로 옮김.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11/18 05:11:07  170.200.***.21  회색피리  710947
    [2] 2016/11/19 00:33:17  123.109.***.68  좀더뭔가  641939
    [3] 2016/11/19 06:12:45  211.211.***.191  곰림  374730
    [4] 2016/11/19 11:17:35  118.41.***.83  방랑천사  339113
    [5] 2016/11/19 17:38:03  175.253.***.200  완더러  691681
    [6] 2016/11/19 22:52:46  122.42.***.246  드래곤걸  79478
    [7] 2016/11/20 00:05:21  211.49.***.6  우리는한꽃  531023
    [8] 2016/11/20 11:31:48  218.51.***.33  인쇄소  724625
    [9] 2016/11/20 12:38:34  219.249.***.44  뽀룹뽀룹  546772
    [10] 2016/11/20 14:11:52  203.100.***.218  화성외계인  38277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
    [옵치] 험블번들에서 옵치 파격할인중입니다. 12000원... [6] 내닉은레어닉 18/09/10 14:38 176 1
    22
    ♥♥오버워치 1만2천원에 파는 행사중!!!!!!♥♥ [1]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8/09/10 14:33 99 2
    21
    여친님이 본국으로 돌아가고 느낀것 써봅니다.(살짝. 빡침) [8]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7/08/17 02:09 185 5
    20
    2의요정. 2의요정 [2] 내닉은레어닉 17/05/10 11:16 71 1
    19
    오랜만에 너무 행복한 아침입니다. 내닉은레어닉 17/05/10 09:40 29 0
    18
    하....사장 안오네 내닉은레어닉 17/03/18 09:17 39 0
    17
    여러분은 가끔 관계에서 절망을 느낄때..어디서 희망을 얻나요? [5] 내닉은레어닉 17/01/13 22:39 165 0
    16
    숙제도 아니고 입시도 아닌 개인취미 공부하는 시간에 느끼는거(+생존신고) [1] 내닉은레어닉 17/01/13 22:21 33 2
    15
    오래된 댓글 삭제하는게 음.. 뭔가 좋은건가요?? [4] 내닉은레어닉 16/12/26 10:17 47 1
    14
    거의 5시간만에 소르베와 치즈가 나왔습니다.. 내닉은레어닉 16/12/26 00:53 50 3
    13
    출국하는 게이트앞은 항상 설레네여! [3] 내닉은레어닉 16/12/16 11:59 44 0
    12
    특혜입학때문에 입학취소되었으나 특혜는 없었다. 펌글 내닉은레어닉 16/12/15 21:07 32 1
    11
    게임을 안하기위해 그래픽카드를 떼어냈다... [3] 내닉은레어닉 16/12/08 16:56 77 2
    10
    여기에도 질문 하나만요!!! [8] 내닉은레어닉 16/12/08 15:49 106 0
    9
    문의) 여자친구가 아이돌을 좋아할때 [7] 내닉은레어닉 16/12/08 15:39 274 0
    8
    젠장... 항공사진이 폰에 없군! [5] 내닉은레어닉 16/12/08 01:30 43 1
    7
    시위 "혼자" 다녀왔어요 [2]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6/11/27 00:57 51 6
    6
    물어물어 혼자서..왔습니다... [2]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6/11/26 19:35 71 4
    5
    빠른 질문 하나만요 [6]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6/11/26 17:42 34 1
    4
    아 잠이 안옵니다. [1] 내닉은레어닉 16/11/22 02:05 32 1
    3
    숙대 대자보 올라온거 보니 이제 몇몇 불온 여초커뮤니티가 움직이는듯 [5] 내닉은레어닉 16/11/18 18:38 62 3
    [스압] Les miserables 레 미제라블 영화감상문. 매우 주관적 [24] 창작글 내닉은레어닉 16/11/18 04:57 60 11
    1
    오늘 할머니 생신이라 못참여한게 아쉽네요 창작글베오베금지외부펌금지 내닉은레어닉 16/11/12 23:01 27 1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