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New-WeneedTG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5-04-18
    방문 : 3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economy_12236
    작성자 : New-WeneedTG
    추천 : 2/9
    조회수 : 990
    IP : 142.214.***.215
    댓글 : 7개
    등록시간 : 2015/05/16 01:43:55
    http://todayhumor.com/?economy_12236 모바일
    [Data-based]서구권 국가들이 인플레를 꺼려하는 이유
    <p><font size="2"><span style="line-height:25px;">어느 한국 경제기사를 찾아봐도 인플레를 우려하거나 강제로 제한하려는 어조를 띈 매체를 찾기 어려울 겁니다</span></font></p> <p><span style="font-size:small;line-height:1.5;">오히려 GDP 성장률에 대해서는 집착하는 경향이 크고 신문에서는 부동산 관련 기사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죠</span></p> <p><font size="2">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b>한국의 부자들은 대체적으로 부동산, 땅부자들이 많습니다</b></font></p> <p><font size="2">부동산 시장은 인플레가 발생하고 경제 성장을 높일수록 자산가치가 올라갑니다</font></p> <p><font size="2">하지만 유럽등은 조금 사정이 다릅니다 외국 경제매체를 접하면 인플레에 극도로 민감한걸 볼수 있습니다</font></p> <p><font size="2">처음에는 저도 이해가 안됬으나 그 이유는 바로 <b>유럽의 부자들은 대부분 채권, 통화계열 보유자들입니다</b></font></p> <p><font size="2">그들은 인플레가 발생하면 자신들의 자산가치가 떨어지므로 이를 극히 꺼려하고 정부 관련자들도 정책 초점이 그렇죠</font></p> <p><font size="2">그래서 EU는 아예 신재정협약에서 정부 부채 및 재정적자를 제한하는 규율까지 마련해 놨습니다</font></p> <p><font size="2">정부 부채가 올라가고 지출이 늘어나 적자 예산이 되면 그 나라 신용듭급에 악영향을 끼치고 국채, 통화가치도 위협을 받죠</font></p> <p><font size="2">장하준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 책에서 보면 나와있지만 신자유주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은 인플레를 낮추기 위해</font></p> <p><font size="2">강제적으로 정부가 개입을 시키고 지출을 줄이면서 단기 이익에 초점을 맞춰 실질적인 성장은 가로 막는 현상을 얘기했습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img src="http://chshin.com/blog2/wp-content/uploads/2012/12/20120508_2893_01_001.jpg" alt=""></p> <p><br></p> <p><font size="2"><span style="line-height:19.5px;">- 이 영상을 보시면 왜 유럽의 보수파들이 반인플레적인지 설명이 되어있습니다</span></font></p> <p></p> <div>출처: <a target="_blank" href="https://www.youtube.com/watch?v=-OPP4u6FPEk&list=PLH0cknw1Gi3YXA7VQ_jWxoI-K3Tw2VMo8&index=52">https://www.youtube.com/watch?v=-OPP4u6FPEk&list=PLH0cknw1Gi3YXA7VQ_jWxoI-K3Tw2VMo8&index=52</a></div> <div><br></div> <div>- 독일의 가계 중 bond(채권)을 소유하는 비율은 고작해야 5%에 불과합니다</div> <div><br></div> <div>출처: <a target="_blank" href="https://www.bundesbank.de/Redaktion/EN/Downloads/Publications/Monthly_Report_Articles/2013/2013_06_household.pdf?__blob=publicationFile">https://www.bundesbank.de/Redaktion/EN/Downloads/Publications/Monthly_Report_Articles/2013/2013_06_household.pdf?__blob=publicationFile</a> (<b>이 자료 정말 어렵게 구했습니다</b>)</div> <div><br></div> <div><span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baseline;line-height:25px;"><font face="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 size="2">- 미국의 경우는 1~2%로 더욱더 작습니다</font></span></div> <div><span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vertical-align:baseline;line-height:25px;"><font face="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 size="2">출처: <a target="_blank" href="http://www.forbes.com/sites/nextavenue/2013/03/01/next-avenue-money-scorecard-how-do-you-rate/2/">http://www.forbes.com/sites/nextavenue/2013/03/01/next-avenue-money-scorecard-how-do-you-rate/2/</a></font></span></div><stron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font-size:19px;vertical-align:baselin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line-height:25px;"> </strong><div><stron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font-size:19px;vertical-align:baselin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line-height:25px;"><br></strong></div><strong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font-size:19px;vertical-align:baselin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line-height:25px;">Percentage of families owning bonds</strong><br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Age 45 to 54: 1%</span><br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Age 55 to 64: 2%</span><br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span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Age 65 to 74: 3%</span> <div><span style="font-family:Georgia, 'Times New Roman', Times, serif;font-size:19px;line-height:25px;"><br></span></div> <div>이를 종합해 말하자면 국채 및 여타 채권 보유자들은 상당히 소수의 부유층들로 구성되어 있으며</div> <div><br></div> <div>이것의 가격과 가치는 그들의 자산 가치와도 밀접한 영향이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div> <div><br></div> <div>출처: <a target="_blank" href="http://www.economist.com/news/europe/21650565-german-ordoliberalism-has-had-big-influence-policy-during-euro-crisis-rules-and-order">http://www.economist.com/news/europe/21650565-german-ordoliberalism-has-had-big-influence-policy-during-euro-crisis-rules-and-order</a></div> <div> <h1 class="rubric" style="margin:0px;padding:0px;border:0px;font-size:14px;vertical-align:baseline;color:#5b5b5b;font-family:Arial, sans-serif;background:transparent;">- German ordoliberalism has had a big influence on policy during the euro crisis</h1></div> <div><font size="2"><span style="line-height:32px;">이를 독일에서는 'ordoliberalism' 이라하여 시장방임주의 대명사로 케인즈주의적 정부의 확장재정을 꺼려합니다</span></font></div> <div><span style="font-weight:normal;"><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small;background-color:transparent;">아마 듣도 보도 못한 단어일겁니다 국내 어느 매체에서도 못 접하죠 독일 및 유럽의 경제 주류파들이죠</span></span></div> <div>여러분들이 알고있는 사회주의식 복지정책은 피케티도 말했듯이 70년대 이후 대처-레이건 등장과 함께 유럽도 노선을 바꿉니다</div> <div><img src="http://cdn.static-economist.com/sites/default/files/imagecache/full-width/images/print-edition/20150509_EUD001_0.jpg" alt=""></div>
    출처 various sources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5/16 14:07:15  222.235.***.222  神秘的雨  611096
    [2] 2015/05/16 16:11:10  223.62.***.58  CARBONE  23485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
    [기사]한국 국가부도위기 금융위기 이후 최저 [44] New-WeneedTG 15/05/18 21:57 55 4/18
    [Data-based]서구권 국가들이 인플레를 꺼려하는 이유 [9] New-WeneedTG 15/05/16 01:43 30 2/9
    6
    옐런 "주요국 증시 상당히 고평가 되어있다" [10] New-WeneedTG 15/05/13 11:35 60 1/11
    5
    [기사]한국 가처분소득 일본,독일,미국보다 높다 [49] New-WeneedTG 15/05/07 12:20 131 4/24
    4
    '노예 노동' 눈물의 호주 워킹홀리데이.. 亞·유럽 젊은이들 소변 자주 [7] New-WeneedTG 15/05/06 10:00 176 3/13
    3
    [Data-based]中 세계시장 1위 품목 1천538개..한국은 65개 New-WeneedTG 15/04/26 16:19 84 1/7
    2
    [Data-based]미국은 리쇼어링과 제조업 부흥이 이뤄졌는가? [7] New-WeneedTG 15/04/20 16:34 64 4/7
    1
    I'm back...[Revival of Data-based] [6] New-WeneedTG 15/04/18 20:43 29 2/12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