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대양거황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5-01-12
    방문 : 187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data_1941950
    작성자 : 대양거황
    추천 : 4
    조회수 : 2070
    IP : 218.232.***.28
    댓글 : 2개
    등록시간 : 2022/02/28 00:09:09
    http://todayhumor.com/?humordata_1941950 모바일
    5천 명의 기병을 거느렸던 도적, 장길산
    옵션
    • 펌글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color:#000000;"><span style="font-weight:bolder;">2004년 5월 17일, SBS TV에서는 드라마 <장길산>을 방영했습니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이 장길산은 그 해 11월 16일까지 방영되었는데, 같은 방송사에서 만든 드라마 <임꺽정>보다는 시청률이나 세간의 반응이 그리 좋지 못했지만, 그래도 홍길동 및 임꺽정과 더불어 조선 시대 3대 도적인 장길산에 대해 드라마로 만들어 다루었다는 점에서 화젯거리가 되기도 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2202/16459745217da73129e3ad44388dffed301dc53ec5__mn600785__w800__h600__f109269__Ym202202.jpg" alt="장길산 드라마.jpg" style="width:800px;height:600px;" filesize="109269"></p> <p>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2202/1645974528533f902d7d674819b1fd0a97a5f4908d__mn600785__w800__h450__f51393__Ym202202.jpg" alt="장길산 드라마2.jpg" style="width:800px;height:450px;" filesize="51393"></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 </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실제로 장길산은 조선 숙종 임금 시절(1674~1720년)에 활동했던 유명한 도적이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다.</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다만 홍길동이나 임꺽정에 비하면 그리 유명하지 않은 인물인데, 이유는 그의 활동 무대가 주로 평안도나 함경도 같은 먼 변방이었기 때문입니다.</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1697년 1월 10일자 <숙종실록>의 기사에서는 장길산에 대해 “극악한 도적 장길산이 여러 지역을 오가며 그를 따르는 무리가 매우 많으며, 10년이 넘도록 아직 잡히지 않았다.”라는 식으로 매우 간략하게만 서술하고 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그런가 하면 조선 시대 활동한 범죄자들을 수사한 기록인 추안급국안에는 상당히 자세한 내용이 적혀 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 추안급국안에 의하면, 장길산은 지금의 함경북도 경흥도호부 남쪽의 서수라나 평안북도 벽동군의 해천동에서 활동했다고 합니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서수라는 현재 러시아 연해주와 국경을 마주한 곳이고, 벽동군은 중국과 마주한 압록강 유역의 지역입니다. 두 곳 모두 조선의 북쪽 끝인 변방이라 할 수 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그리고 추안급국안에서는 장길산이 거느린 무리들의 규모를 가리켜, 유마기오천보병천여(有馬騎五千步兵千餘)라고 기록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5천 필의 말과 1천여 명의 보병들이 있었다는 뜻인데, 여기서 말을 그냥 타고 다닐 말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한자 기(騎)에는 단순히 말을 탄다는 뜻 이외에도 말을 타고 싸우는 군사인 기병(騎兵)이라는 뜻도 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그러니 “말을 탄 병사 5천 명과 걸어 다니며 싸우는 보병 1천여 명이 있었다(유마기병오천有馬騎兵五千).”라고 해석해야 자연스럽지 않을까요?</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font-weight:bolder;"> </span> </p> <p>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2202/16459746722825909061944041afe1e4dfe0fa967e__mn600785__w558__h650__f76509__Ym202202.jpg" alt="훈족 전사.jpg" style="width:558px;height:650px;"></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그렇다 해도 의문이 남는 건, “5천 필이나 되는 말을 타고 다닐 병사들이 장길산에게 있었을까?”하는 점입니다.</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장길산이 활동했던 곳은 조선의 북쪽 끝인 함경도고, 함경도는 청나라와 국경이 붙은 곳이라서 조선인 이외에도 중국인들 중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조선으로 도망쳐 오거나 혹은 청나라와 조선 국경을 넘나드는 자들도 많았을 것입니다.</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아울러 함경도는 조선 초기부터 뛰어난 기병들의 산지였는데, 장길산이 활동하던 숙종 시절에는 조선 각지에서 흉년과 기근이 계속되어 군사들 중에서도 탈영하는 자들이 많아서, 그들이 장길산의 수하로 들어가 노략질을 일삼았던 것이 아니었을지요?</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여기서 한 가지 대담한 추리를 더 해볼 수 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 조선 후기의 학자인 이익은 그의 책인 성호사설에서 장길산이 본래 재인 출신의 광대라고 적었는데, 재인은 곧 조선 시대의 천민인 백정과 같은 집단이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 style="color:#000000;">그런데 조선의 백정은 북쪽에서 내려 온 몽골족과 여진족 같은 기마민족의 후손이었</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습니</span><span style="color:#000000;">다.</span></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 <span style="color:#000000;">  </span> </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 style="font-weight:bolder;"></span></p> <p style="font-size:medium;line-height:26px;font-family:'noto sans', 'noto sans kr', montserrat, arial, 'apple sd gothic neo', 'malgun gothic', '맑은 고딕', 'nanum gothic', dotum, '돋움', helvetica, sans-serif;"><span><span style="font-weight:bolder;color:#000000;">그렇다면 장길산도 혹시 북방 기마민족의 후손이고, 그런 출신과 성장 환경 때문에 5천 명이나 되는 많은 기마병을 거느리면서, 조정의 체포에 맞서 10년 동안이나 싸우며 끝내 잡히지 않고 한 때 나라를 뒤엎으려는 반란 세력과 손을 잡을 만큼 위세를 떨쳤을지도 모릅니다.</span></span></p>
    출처 한국의 판타지 백과사전/ 도현신 지음/ 생각비행/ 155~157쪽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22/02/28 00:37:02  121.50.***.55  풀뜯는소  265234
    [2] 2022/02/28 00:57:02  220.94.***.75  멧쌤  344832
    [3] 2022/02/28 03:04:04  211.199.***.121  알파대  295113
    [4] 2022/02/28 21:25:38  124.53.***.156  라퓨타  100606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87
    왜 미국한테는 가만히 있다가 러시아한테만 화를 내지? [33] 펌글 대양거황 22/03/02 05:23 2468 16
    2086
    윤석열의 SNS 태극기 개/사진에 담긴 메시지 [3] 펌글 대양거황 22/03/01 16:42 690 10
    2085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보는 영국과 유럽 축구계의 이중성 [3] 펌글 대양거황 22/02/28 13:48 1375 12
    2084
    어느 박사모의 윤석열을 향한 저주(?) [2] 펌글 대양거황 22/02/28 04:30 981 2
    2083
    한국에 실망했다는 서양 언론인들에게 일침을 가한 한 트위터리안 [35] 펌글 대양거황 22/02/28 00:48 1878 18
    5천 명의 기병을 거느렸던 도적, 장길산 [2] 펌글 대양거황 22/02/28 00:09 1478 4
    2081
    우크라이나 뱀섬 지키던 국경수비대, 실제로는 러시아에 투항? [16] 펌글 대양거황 22/02/27 20:55 2509 15
    2080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푸틴의 실책들 [37] 펌글 대양거황 22/02/27 20:28 2939 11
    2079
    우크라이나 사태를 우크라이나 탓으로 돌리는 게 잘못인가? [26] 대양거황 22/02/27 20:27 630 4/5
    2078
    "탈레반 관대, 美가 싫다"..밖에선 모르는 아프간 '숨은 진실' 펌글 대양거황 22/02/27 11:50 1264 9
    2077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젤렌스키를 뽑은 이유 [4] 펌글 대양거황 22/02/26 01:55 1927 15
    2076
    우크라 대통령, 러시아와 단교 선언 [8] 펌글 대양거황 22/02/24 23:50 1868 13
    2075
    알고 보면 무시무시했던 임꺽정 [3] 펌글 대양거황 22/02/24 01:32 2160 16
    2074
    페르시아 왕자가 그리스 용병을 고용한 이유는? 펌글 대양거황 22/02/23 13:38 252 0
    2073
    축복을 받은 행운의 섬이자 낙원, 엘레시온 펌글 대양거황 22/02/21 21:22 1149 5
    2072
    전문가가 비전문가로 몰렸던 사건 [3] 펌글 대양거황 22/02/20 17:28 2700 13
    2071
    2차 대전 후 연합국들의 일본 분할 계획안.jpg [5] 펌글 대양거황 22/02/20 17:08 2149 7
    2070
    리비아인들은 카다피를 그리워하고 그를 죽인 일을 후회하고 있다. 펌글 대양거황 22/02/20 17:04 1327 3
    2069
    조선을 떠나며 [3] 펌글 대양거황 22/02/20 17:02 228 2
    2068
    우크라이나의 네오나치 군대 [9] 펌글 대양거황 22/02/18 18:04 1596 11
    2067
    어디가서 기독교인이라고 하지 마십시오. [5] 펌글 대양거황 22/02/18 16:37 531 17
    2066
    우크라이나 '반러 횃불 시위'를 이스라엘이 비난한 까닭 [1] 펌글 대양거황 22/02/18 15:45 1133 6
    2065
    거칠어진 윤석열의 입 "문재인=히틀러·공산주의자" [13] 펌글 대양거황 22/02/18 14:59 419 10
    2064
    이순신이 일본 상인과 유황 거래를 했다고? [3] 펌글 대양거황 22/02/17 14:51 1396 15
    2063
    "한국인은 일본인보다 더 나쁜 잔인한 놈" [6] 펌글 대양거황 22/02/17 14:47 1930 14
    2062
    유럽에선 빈좌석에 발 올려도 된다고? 정말 그럴까? [4] 펌글 대양거황 22/02/17 14:36 579 21
    2061
    검사가 대통령 되면 이나라 완전히 망합니다. (강남 마약) 펌글 대양거황 22/02/16 12:03 544 6
    2060
    ㅇㅅㅇ & ㅅㅊㅈ의 관계를 보면 서태후가 떠오릅니다. [1] 펌글 대양거황 22/02/16 05:44 2162 9
    2059
    "여가부 폐지 안돼.." 이용수 할머니 민주당에 호소 [7] 펌글 대양거황 22/02/15 11:24 533 7
    2058
    페르시아 왕자가 그리스 용병을 고용한 이유는? [9] 펌글 대양거황 22/02/14 23:39 1876 12
    [◀이전10개]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