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한프런트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3-02-20
    방문 : 223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computer_258902
    작성자 : 한프런트
    추천 : 1
    조회수 : 1744
    IP : 222.101.***.189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5/08/24 20:17:32
    http://todayhumor.com/?computer_258902 모바일
    [스압]다이렉트X12로 향상된 게임 프레임, 그 비밀은?
    옵션
    • 펌글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363"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1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174qG674wWeNuJE3lLfjjf7.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font size="2">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10이 정식 출시됨에 따라 PC 게이밍 시장에 새로운 이정표가 만들어 졌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나날이 발전해 가는 하드웨어 환경과 동떨어져 개발자의 상상력에 족세를 채워 왔던 다이렉트X11(DirectX11)를 던져 버리고 모든 상상력을 그대로 실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이렉트X12(DirectX12)가 드디어 현실에 구현된 것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오늘은 PC 게임 세상을 이끌어갈 차세대 게임을 만나보기에 앞서 다이렉트X12와 관련된 궁금증과 차세대 게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다. </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4">■ 다이렉트X12, 무엇이 다른가?</font></p> <p><font size="4"><br></font></p><font size="4"></font>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512"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2.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212QnN69sCqbkqZBSOnglfkMEMMHNeaM8.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font size="2">다이렉트X12와 다이렉트X11 이전 세대의 차이는 사실 상 CPU 자원 활용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1을 포함한 이전 세대는 더 나은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해 GPU에 새로운 기능을 더하면서 좀 더 프로그래머블한 환경을 만드는 쪽으로 맞춰 졌지만 날이 갈수록 진화하는 멀티 CPU 환경에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CPU 개발이 코어 확장에 집중되면서 물리적인 CPU 코어는 늘어났지만 다이렉트X11로 활용할 수 있는 CPU 코어는 대략 3~4개 내외였고 한쪽 코어에만 작업이 집중되는 구조여서 CPU 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이 때문에 아무리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더라도 일정 프레임 이상을 넘기 힘들었고 게임 내에서 재현할 수 있는 NPC 수도 제한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아무리 고성능 CPU와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PC라도 대규모 공성전에선 현저하게 줄어든 프레임을 경험할 수 밖에 없었는데 다이렉트X12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font size="2"></font> <p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227"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3.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273iG88J8BiavIMSbaJD.jpg"></p> <p style="text-align:left;"><br></p> <p style="text-align:left;"><font size="2">▲ 코어 마다 점유율 차이가 큰 다이렉트X11, 다이렉트X12는 전체 코어 활용</font></p> <p style="text-align:left;"><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1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랜더링 하기 위해 게임 코드와 런타임, 드라이버 등을 하나의 CPU 코어가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게임 코드와 런타임을 다른 코어에 할당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작업이 하나의 CPU 코어에 집중되면서 결국 이 코어에 따라 랜더링 시간이 결정나게 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2는 이런 방식에서 탈피해 게임 코드와 런타임 그리고 드라이버 작업을 다른 코어로 분리해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졌다. 코어에 따라 작업량에 차이는 있지만 더 많은 CPU 코어에서 더 다양한 작업을 분산 처리할 수 있어 전체 작업 시간을 절반 가까이 낮출 수 있게 됐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이러한 변화는 드라이버에 의존하지 않는 다이렉트X12 구조적 특징도 한 몫한 결과인데 기존까지는 게임 엔진이 드라이버 레벨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불러와 사용하는 방식였지만 다이렉트X12는 게임 엔진 스스로 하드웨어를 컨트롤 하는 구조여서 그에 따른 오버헤드가 적다.</font></p> <p><br></p> <p></p>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371"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4.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323hLRNGj3HWRS4EeFrErWF358.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p> <p><font size="2">전혀 다른 구조의 API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새로운 프로그래밍 방식이 요구되지만 대표적인 상용 게임 엔진들이 다이렉트X12를 지원하게 되면서 일반 게임 개발자들은 Low Level API 적용에 대한 스트레스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다. </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Low Level API 시대를 이끌어 낸 AMD 맨틀 API를 이미 경험했거나 도입한 개발사라면 다이렉트X12로의 전환이 어렵지 않다고 하는데 맨틀과 다이렉트X12를 비교해 보면 상당히 많은 부분이 닮아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마이크로소프트가 직접 AMD 맨틀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AMD는 다이렉트X12 개발에 자사의 맨틀 API가 모델이 되었고 MS에 협력해 왔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font></p> <p><br></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 ■ 프레임 향상 가져 올 특별한 기술 - 비동기식 컴퓨팅</span></p> <p align="justify"><br></p> <p><font size="2">다이렉트X12가 적용된다고 게임 프레임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API 오버헤드 차이로 프레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다이렉트X11로도 GPU 자원을 충분히 활용해 온 상황에선 큰 변화는 없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1 기반 게임을 다이렉트X12로 그대로 포팅하면 CPU 자원 활용 차이로 저해상도나 낮은 옵션에서만 프레임 차이를 경험할 수 있을 뿐 게이머가 원하는 고해상도, 고퀄리티 옵션에선 큰 차이를 경험할 수 없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2를 통해 드로우콜 처리량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해도 GPU가 가진 성능을 100% 가까이 활용해 온 상황이라면 프레임 변화는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인데 고해상도, 고퀄리티 옵션에서도 프레임 향상을 이뤄낼 기술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font></p> <p><br></p> <p></p>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388"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5.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384XAzayi6RBlM1vbblzRYRDVj3OAyDW.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div><iframe width="660" height="371" src="https://www.youtube.com/embed/v3dUhep0rBs" frameborder="0"></iframe></div> <div><br></div> <p></p> <p><font size="2">다이렉트X12는 GPU 내부의 작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비동기식 컴퓨팅을 지원한다. GPU가 처리하는 주요 작업들을 하나의 파이프라인에서 순차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작업 종류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동시에 처리해 전체 작업 시간을 크게 개선하는 방식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실질적인 랜더링 작업을 위한 그래픽 큐와 물리 연산, 광원 효과, 포스트 프로세싱에 사용되는 컴퓨트 큐 그리고 단순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카피 큐를 구분해 동시에 처리하면서도 서로 다른 종류로의 작업 전환 시 지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결국 GPU가 쉬는 시간을 최소화해 고해상도, 고퀄리티 옵션에서도 더 높은 프레임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만, 순수 API 레벨에서 구현되는 기술은 아니라서 GPU 내부에 비동기 처리를 위한 전용 엔진이 요구되는데 AMD는 초기 GCN 시절부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그래픽과 컴퓨트, 카피 큐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컴퓨트 엔진이 GPU에 따라 2개에서 8개까지 내장되었으며 각각의 엔진마다 8개의 큐를 처리할 수 있어 최대 64개의 큐를 처리할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엔비디아는 32개의 큐를 처리할 수 있는 엔진을 내장하고 있지만 지포스 900 시리즈(2세대 맥스웰)에서만 그래픽과 컴퓨트, 카피 큐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font size="2"></font> <div><br></div> <div><iframe width="660" height="371" src="https://www.youtube.com/embed/Dfv4JQSCQvU" frameborder="0"></iframe></div> <div><br></div><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 <p><font size="2">참고로, 비동기식 컴퓨팅을 강조해 온 AMD 자체 평가 자료에 따르면 비동기식 컴퓨팅 차이로 45% 이상의 프레임 향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해당 테스트는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에서 비동기식 컴퓨팅 적용 유무를 비교한 것인데 컴퓨트 연산이 요구되는 광원 처리에서도 약 10% 정도의 프레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 ■ 프레임 향상 가져 올 특별한 기술 - 멀티 어댑터</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br></span></p> <p><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p>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366"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6.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513cVhRty9vaLx3P2S9gkmhpwI1WuyuG8.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p> <p><font size="2">GPU 사용율을 극대화 해 프레임 향상을 가져올 비동기식 컴퓨팅과는 별개로 추가적인 하드웨어 활용해 프레임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다이렉트X12에 포함됐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4월 30일 발표한 멀티어댑터가 주인공인데 이 기술을 사용하면 CPU에 내장된 GPU를 활용해 전체 프레임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게임 엔진이 요구하는 다양한 작업 중에서 강력한 성능이 요구되는 그래픽 랜더링 작업은 외장 GPU에 그대로 두고 단순 컴퓨팅 작업이 요구되는 광원 처리나 포스트 프로세싱 작업을 내장 GPU에 할당하는 방식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 <p><iframe width="660" height="371" src="https://www.youtube.com/embed/i0Bb8iNIVCY" frameborder="0"></iframe></p> <p><br></p> <p><font size="2">마이크로소프트는 다이렉트X12로 포팅된 언리얼 엔진4 엘레멘탈 데모에서 인텔 내장 GPU와 엔비디아 외장 GPU 조합으로 6초 가량 랜더링 시간을 앞당길 수 있었다고 발표했는데 실제 프레임 기준으로 비교하면 기존 방식으로 35.9 FPS를 기록했던 데모가 멀티어댑터를 통해 39.7 FPS까지 상승했다고 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수십 프레임이 상승할 정도는 아니지만 묶혀만 뒀던 내장 GPU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게이머들에겐 없어선 안될 기능이라 하겠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참고로, 멀티 어댑터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게임이 이를 지원해 줘야 하며 언리얼 엔진4에서 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리얼 엔진4로 제작된 게엠이라면 멀티 어댑터 기술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div>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 ■ 품질 향상 가져 올 특별한 기술들</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br></span></p><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 <p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377"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7.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5961svYlhJYsmBsgg7QCvDA.jpg"></p> <p style="text-align:left;"><br></p> <p><font size="2">다이렉트X12가 API 구조 변화와 자원 활용 개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API 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건 아니다. 지금까지 메이저 업데이트 마다 그래왔듯이 다이렉트X12에도 특정 하드웨어 로직을 요구하는 새로운 기능이 포함됐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그 중에서도 가장 상위 레벨에 해당되는 다이렉트X12.1 피처 레벨에서는 기존 GPU에선 제공되지 않는 타일드 리소스 티어3, 컨서베이티브 라스터(Conservative Raster), 라스트 오더 뷰(Raster Order Views)를 요구하는데 현재, 이를 지원하는 유일한 하드웨어는 엔비디아 2세대 맥스웰 아키텍처가 적용된 지포스 900 시리즈 뿐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이 기술들을 이용하면 라스터라이제이션 단계에서 샘플 포인트에 걸치지 못해 놓쳤던 픽셀 부분까지 체크할 수 있어 기존까지 사용했던 가상의 소프트 쉐도우 대신 진짜 광원 위치에 따른 정확한 그림자 표현과 부드러운 엣지를 그대로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륨 타일드 리소스를 통해 현실적인 스모그 표현을 높은 프레임으로 구현할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게임에서 임의로 표현되던 많은 효과들이 실제 계산된 값에 의해 표현하는 레이 트레이스 방식으로 진화 되면서 더 나은 그래픽을 더 높은 프레임으로 즐길 날이 머지 않았는데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가까운 미래에서는 실사 같은 게임을 위해 꼭 필요한 전역 조명까지도 다이렉트X12.1 피처 레벨에서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iframe width="660" height="371" src="https://www.youtube.com/embed/rd4DE-RG_jw" frameborder="0"></iframe></p> <p><br></p> <p><font size="2">사실, 다이렉트X12.1 피처 레벨은 엔비디아 2세대 맥스웰 아키텍처를 위해 만들어 졌다 해도 무방한데 엔비디아가 차세대 게이밍 그래픽에 없어선 안될 기술로 소개한 전역 조명 기술, VXGI(VOXEL GLOBAL ILLUMINATION)를 위한 기능 대부분이 다이렉트X12.1 피처 레벨에 해당 되는 것들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2.1 피처 레벨에 따른 그래픽 품질 차이는 엔비디아의 Mech Ti DX12 Techdemo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font></p> <p><font size="2"><br></font></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 ■ 다이렉트X11 그래픽카드, 다이렉트X12 게임 못 즐기나?</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br></span></p> <p><font size="2">아마 많은 이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이 이 내용일 것이다. 다이렉트X12가 나왔으니 꼭 다이렉트X12를 지원하는 그래픽카드가 필요한가? 인데 꼭 그럴 필요는 없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다이렉트X12로의 가장 큰 변화는 API 자체적인 변화라서 CPU 멀티 코어 활용과 오버헤드 개선 등은 다이렉트X11 세대 그래픽카드에서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하드웨어적으로 요구되는 피처 레벨에 따라 구현되는 그래픽 효과나 품질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지만 다이렉트X12로 제작된 게임을 전혀 실행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GPU 개발사가 다이렉트X12를 지원할 수 있도록 WDDM 2.0에 맞춰진 드라이버를 제공하면 다이렉트X11 그래픽카드에서도 최신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 엔비디아와 AMD가 지원을 약속한 그래픽카드는 다음과 같다.</font></p> <p><font size="2"><br></font></p> <p><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p>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58" height="255"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8.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757ZHZ9tHP1oiikJ7swzIGGyWGxy3O.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p> <div style="text-align:left;"><font size="2">엔비디아는 페르미와 케플러 그리고 맥스웰 아키텍처의 모든 지포스 시리즈에서 다이렉트X12를 지원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내놓겠다 밝힌 바 있고 이미 해당 드라이버를 공개한 상태다. 다이렉트X11을 지원하는 지포스 400 시리즈 이상이라면 다이렉트X12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font></div> <div style="text-align:left;"><font size="2"><br></font></div> <p></p> <div style="text-align:left;"><img width="658" height="327"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9.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767ZBUdSJWlEcW2Z6qcH.jpg"></div> <div style="text-align:left;"><br></div> <p></p> <p>A<font size="2">MD는 GCN 1.0 이상의 아키텍처로 개발된 라데온 HD 7000 시리즈와 200 그리고 300, 퓨리에서 다이렉트X12와 WDDM 2.0 지원을 약속하고 있고 최신 드라이버를 공개했지만 다이렉트X11을 지원하는 HD 5000과 6000 시리즈는 다이렉트X12 지원이 불가능하다. HD 5000과 6000 시리즈는 다이렉트X12 이외의 모든 윈도우10 기능만 정상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전 세대들은 정상적인 화면 출력도 불가능하다. </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이전 세대의 지원 범위만 보면 HD 5000과 6000 시리즈를 지원하지 않는 AMD 쪽 대응이 다소 부족해 보이지만 최근 세대의 다이렉트X12 대응을 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AMD는 GCN 1.1 이후 세대 부터 다이렉트X12 피처 레벨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엔비디아는 지포스 900 시리즈에서만 다이렉트X12 이상의 하드웨어 피처 레벨이 지원되지만 AMD는 GCN 1.1에 해당되는 라데온 HD 7790과 Rx 200 시리즈 이후라면 모두 다이렉트X12 피처 레벨을 만족한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피처 레벨 차이는 그래픽 품질 차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라서 다이렉트X12의 실질적인 혜택은  AMD 라데온 사용자들이 더 많이 누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font></p> <p><font size="2"><br></font></p><font size="2"></font>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 ■ AMD와 엔비디아, 누가 더 유리할까?</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13pt;"><br></span></p> <p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425"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10.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4905Wiaych64KcJexxHQVGSb1EEkkFYjlF.jpg"></p> <p style="text-align:left;"><br></p> <p><font size="2">현재 GPU 그대로, 다이렉트X12 세상이 본격화 된다는 가정 하에 가장 유리한 위치에 올라설 수 있는 쪽은 AMD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기존 사용자 층만 고려한다 해도 AMD 쪽이 더 많은 다이렉트X12 하드웨어 사용자 층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조건(각 피처별 티어 레벨)을 만족하기 때문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최신 제품들간의 비교에서도 AMD 제품들은 비동기식 컴퓨팅에 훨씬 유리한 구조(8개의 비동기 컴퓨트 엔진 + 엔진 별 8개의 큐 처리)라서 다이렉트X12 기반 게임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하지만, 다이렉트X12.1로 구현 가능한 새로운 그래픽 기법들을 게임 개발사가 서둘러 도입하게 된다면 AMD에겐 치명타가 될 가능성이 높다. DirectX 12.1에서 요구하는 기능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에뮬레이션 할 수 있어도 하드웨어 방식 만큼 높은 프레임은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font size="2">그 동안 게임 개발사 지원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던 엔비디아 였으니 이번에도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비동기식 컴퓨팅과 DirectX 12.1이 얼마나 많은 게임에 적용되느냐에 따라 두 업체의 희비는 달라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차이는 다이렉트X12 게임이 본격화 될 내년 중순 이후가 되야 해소될 수 있을 전망이다.</font></p> <p><font size="2"><br></font></p> <p style="text-align:left;"><img width="660" height="443" style="border:medium;" alt="k154363p1n11.jp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8/1440415008qkL2lrUAxdzJZIjkZPJM.jpg"></p> <p style="text-align:left;"><br></p> <p style="text-align:left;"><font size="2">엔비디아와 AMD 모두는 1x nm 공정을 통해 전력 효율과 랜더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차세대 GPU를 준비하고 있다. 양쪽 모두 2016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쯤 되면 다이렉트X12에 최적화 된 게임을 완벽히 소화할 수 있을테니 진정한 승부를 바란다면 다음 세대를 기대해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font></p> <p style="text-align:left;"><font size="2"><br></font></p> <p><b><font color="#000080">이우용 기자 /</font></b> <a style="color:#868686;font-size:10pt;" href="mailto:[email protected]" target="_blank">[email protected]</a> <b></b><i></i><u></u><sub></sub><sup></sup><strike></strike><br></p></div>
    출처 http://www.kbench.com/?q=node/154363
    한프런트의 꼬릿말입니다
    <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506/14351110098alPLywoq4zsXNHipdpfD.gif" alt="">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5/08/24 23:48:12  59.4.***.101  연구원  174117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9
    조텍 제품은 중고도 없네요 ㄷㄷ [5] 한프런트 15/08/24 21:40 74 0
    828
    MSI Lightning teaser [3] 한프런트 15/08/24 20:33 53 0
    827
    슈퍼플라워, ‘노바’ 출시기념 오픈마켓 특가 진행 [2] 한프런트 15/08/24 20:31 68 0
    826
    커세어, 인텔 Z170에 최적화한 DDR4 메모리 출시 [7] 펌글 한프런트 15/08/24 20:24 95 0
    825
    에이수스, PC에서 IoT까지 영역 확대 [1] 펌글 한프런트 15/08/24 20:22 46 0
    [스압]다이렉트X12로 향상된 게임 프레임, 그 비밀은? 펌글 한프런트 15/08/24 20:17 87 1
    823
    AMD 라데온 R9 Nano 출시일은 9월 10일 [1] 한프런트 15/08/24 12:50 77 1
    822
    그래픽카드 가격안정화는 언제쯤 되나요? [6] 본인삭제금지 한프런트 15/08/23 19:05 92 0
    821
    GTX960 쿨러 디자인은 조텍 AMP!가 제일 마음에 드는데 [2] 한프런트 15/08/23 13:50 121 0
    820
    아마존 反Adobe Flash 운동에 동참 [4] 펌글 한프런트 15/08/23 10:42 165 7
    819
    윈도우10 반드시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 이유 [7] 한프런트 15/08/22 22:29 141 0
    818
    공허의 유산 질렀습니다 [8] 한프런트 15/08/22 19:44 204 7
    817
    공허의 유산 나오면 하고싶다! [1] 한프런트 15/08/22 17:49 44 0
    816
    AMD NANO 8월 27일 공개 [5] 펌글 한프런트 15/08/21 23:20 62 0
    815
    컴 관련 이야기 25. Microsoft Windows 소개 [4] 한프런트 15/08/21 15:28 77 10
    814
    맥아피(인텔 시큐리티) 무료백신 공개(베타) [1] 펌글 한프런트 15/08/21 14:44 60 1
    813
    SSD 펌웨어 업그레이드 기념 오랜만에 벤치마크 [2] 한프런트 15/08/21 14:24 75 0
    812
    GTX950 벤치마크, 후기 링크 & 가격 [6] 한프런트 15/08/21 10:41 104 3
    811
    마이크론 ssd 펌웨어 업데이트 골치아프네요 ㄷㄷ [6] 한프런트 15/08/20 21:47 63 0
    810
    NVIDIA GeForce GTX 950 벤치마크 [8] 한프런트 15/08/20 19:29 123 1
    809
    환율이 무섭기는 하네요 ㄷㄷ [1] 한프런트 15/08/20 19:24 92 0
    808
    생각해보면 [6] 한프런트 15/08/20 18:27 49 0
    807
    GTX 950 159 $ 확정 & 공식 보도 자료 [8] 펌글 한프런트 15/08/20 18:06 191 3
    806
    한 페이지 30개 글 중에 24개가 질문글 [9] 한프런트 15/08/20 14:33 70 0
    805
    GTX 950 추가 정보 & 비레퍼 라인업 [1] 펌글 한프런트 15/08/20 10:24 126 0
    804
    오늘의 지름 [8] 한프런트 15/08/19 21:58 87 1
    803
    MSI 980 TI 라이트닝 새로운 티져 공개 [2] 펌글 한프런트 15/08/19 17:55 84 1
    802
    gtx980 ti 3way-SLI 수랭시스템 [1] 펌글 한프런트 15/08/19 17:49 89 0
    801
    이르면 12월부터 '액티브X' 없이 공인인증서 발급 [5] 펌글 한프런트 15/08/19 17:42 74 2
    800
    페이지에서 질문글의 비율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고자... [1] 한프런트 15/08/19 11:21 39 1
    [◀이전10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