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양파빵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10-05
    방문 : 976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menbung_39443
    작성자 : 양파빵
    추천 : 2
    조회수 : 596
    IP : 118.219.***.164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6/10/19 23:48:58
    http://todayhumor.com/?menbung_39443 모바일
    미세'먼지'아니에요. 미세'발암물질'입니다!
    옵션
    • 펌글
    <div> </div> <div>베오베 미세먼지 글 보고 올립니다.</div> <div>네이버 카페 '미세먼지 대책을 촉구합니다' 에서 퍼 온 글인데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div> <div> </div> <div> </div> <div>----------------</div> <div>최근 미세먼지가 좋은 날이 손에 꼽힐 정도인데미세먼지에 대해 다루는 방송은 하나도 없네요. <br>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해 전문가 의견이 궁금해 찾다보니 <br>2013년도에 EBS에서 방송되었던 미세먼지의 습격이 있어 <br>동영상을 보며 일일히 캡쳐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br>많은 분들이 시간 내어 동영상 보시기 어려우실 거 같아서요. <br>많이 퍼뜨려 주셔서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해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생각을 다시 해보셨으면 좋겠네요. <br><br>우리가 우리 스스로 보호할 수 있게 되길 빕니다.<br>정부가 우릴 보호해 주지 못한다면,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우리 아이들을 지켜야지요. <br><br><br><br><br><br><br><br><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9/jrmkh_14736505172836tnoU_JPEG/1.JPG" alt="" filesize="44278"><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39/jrmkh_1473650517456aSH6A_JPEG/2.JPG" alt="" filesize="45239"><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1/jrmkh_1473650517616rgXfe_JPEG/3.JPG" alt="" filesize="42057"><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1/jrmkh_14736505178385wlP6_JPEG/4.JPG" alt="" filesize="44309"><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8/jrmkh_1473650517994oo0wA_JPEG/5.JPG" alt="" filesize="44427"><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0/jrmkh_1473650518110NyW0y_JPEG/6.JPG" alt="" filesize="43712"><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6/jrmkh_1473650518315QgEfU_JPEG/7.JPG" alt="" filesize="41671"><br></div> <div><br><br>사람들에게 미세먼지(연무) 대해 물었더니 <br>안개같기도 하다고 하고 황사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으셨습니다. <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64/jrmkh_1473650547171jvLIe_JPEG/8.JPG" alt="" filesize="44081"><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89/jrmkh_1473650547363sVKzX_JPEG/9.JPG" alt="" filesize="43032"><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27/jrmkh_1473650547632wLdsT_JPEG/10.JPG" alt="" filesize="41344"><br><div><br><br>미세먼지의 크기는 머리카락의 1/30~1/200 수준에 이른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3/jrmkh_1473650591382NbnbT_JPEG/11.JPG" alt="" filesize="32421"><br><div><br><br>크기를 가늠할 수 없어 예를 드는게 가장 유사한게 담배 연기이다. <br>(즉, 우리나라 한반도 전체가 뿌연 담배연기 안에 갇혀 있다고 생각하면 되겠네요)<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34/jrmkh_1473650591953OYMQH_JPEG/13.JPG" alt="" filesize="23512"><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4/jrmkh_1473650811539H1OjP_JPEG/14.JPG" alt="" filesize="41854"><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55/jrmkh_1473650811713G9MTd_JPEG/15.JPG" alt="" filesize="4334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85/jrmkh_1473650811987psnuB_JPEG/16.JPG" alt="" filesize="43211"><br><div><br><br>미세먼지를 주입한 쥐와 건강한 쥐 비교 실험<br><br></div><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84/jrmkh_1473650837584woieQ_JPEG/20.JPG" alt="" filesize="32926"><br><div><br>괴로운듯 코를 긁는 미세먼지 안에 갇힌 쥐<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97/jrmkh_1473650837383U8PG0_JPEG/19.JPG" alt="" filesize="22417"><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41/jrmkh_1473650837881efzFk_JPEG/21.JPG" alt="" filesize="29921"><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0/jrmkh_1473650945235gza6c_JPEG/22.JPG" alt="" filesize="44224"><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18/jrmkh_1473650945617Q5hTK_JPEG/23.JPG" alt="" filesize="42223"><br><div><br><br>직접적으로 폐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br>쥐에 미세먼지 투입 vs 미투입 폐기능 검사<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80/jrmkh_1473650945744n5fkb_JPEG/24.JPG" alt="" filesize="30104"><br><div><br> 오른쪽 사진의 미세먼지 흡입쥐의 검정점이 딱딱하게 되 염증과 암을 유발<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7/jrmkh_1473650945888q9THE_JPEG/25.JPG" alt="" filesize="43923"><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61/jrmkh_1473651026048LaIOY_JPEG/26.JPG" alt="" filesize="44330"><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17/jrmkh_1473651026317JK6WM_JPEG/27.JPG" alt="" filesize="45017"><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4/jrmkh_1473651026493fPyqu_JPEG/28.JPG" alt="" filesize="43398"><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65/jrmkh_1473651026749cBKKY_JPEG/29.JPG" alt="" filesize="41255"><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1/jrmkh_1473651047086Yxzl4_JPEG/30.JPG" alt="" filesize="44954"><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09/jrmkh_1473651047341mh3hI_JPEG/31.JPG" alt="" filesize="43031"><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56/jrmkh_1473651047634qCPO8_JPEG/32.JPG" alt="" filesize="4345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3/jrmkh_1473651047970yJfys_JPEG/33.JPG" alt="" filesize="42719"><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72/jrmkh_14736510481840O7nX_JPEG/34.JPG" alt="" filesize="42636"><br><img width="550" height="312"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4/jrmkh_14736510744016SgBc_JPEG/35.JPG" alt="" filesize="35752"><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8/jrmkh_1473651074558uxGi5_JPEG/36.JPG" alt="" filesize="3606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13/jrmkh_1473651074689kPpDL_JPEG/37.JPG" alt="" filesize="36287"><br><div><br> 위의 폐암 환자는 평생 울산 화학 단지에 살았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63/jrmkh_147365107489326nXp_JPEG/38.JPG" alt="" filesize="20023"><br><div><br>울산지역의 폐암 발병률이 전국보다 수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3/jrmkh_1473651115176vtNyk_JPEG/39.JPG" alt="" filesize="34021"><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31/jrmkh_1473651115402HbwV3_JPEG/40.JPG" alt="" filesize="52469"><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89/jrmkh_1473651115603uC88g_JPEG/41.JPG" alt="" filesize="31430"><br><div><br>국립환경과학원에서 초미세먼지의 성분을 분석해보았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14/jrmkh_1473651115826CeGQg_JPEG/42.JPG" alt="" filesize="29239"><br><div><br>초미세먼지의 성분 구성은 아래와 같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6/jrmkh_1473651116008nvPG5_JPEG/43.JPG" alt="" filesize="30359"><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60/jrmkh_1473651116225GtMGX_JPEG/44.JPG" alt="" filesize="32156"><br><div><br> 즉 미세먼지 속에는 발암물질인 블랙카본이 중심을 이루는것을 볼 수 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6/jrmkh_1473651116424GovUR_JPEG/45.JPG" alt="" filesize="3073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4/jrmkh_1473651236255TfRK8_JPEG/46.JPG" alt="" filesize="42346"><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13/jrmkh_1473651236412MArKK_JPEG/47.JPG" alt="" filesize="42604"><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3/jrmkh_1473651236526cR15u_JPEG/48.JPG" alt="" filesize="42184"><br><div><br>한국의 미세먼지 기준치는 WHO기준보다 반 이상이나 높다.<br>즉 너무 느슨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br>이는 이웃국가인 일본과 중국보다도 느슨한 기준이다. <br>발암물질을 우리 몸으로 받아들이는데 허용기준이 너무 낮다는 것이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6/jrmkh_1473651236676l62uJ_JPEG/49.JPG" alt="" filesize="39252"><br><div><br>아래에서부터는 자동차에서 뿜어내는 미세먼지에 대해 조사한 것입니다. <br>(2013년만 해도 중국발이 지금만큼 심하지 않아 자동차의 매연을 중심으로 조사한것 같습니다.)<br>비슷한 도로변 학교 기준에서 <br>방음벽이 있는 학교와 없는 학교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해보니 방음벽이 있는 학교가 농도가 더 낮음<br><br></div><img width="550" height="305"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97/jrmkh_1473651236788nssaR_JPEG/50.JPG" alt="" filesize="44111"><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6/jrmkh_147365123690482KS1_JPEG/51.JPG" alt="" filesize="42899"><br><div><br>미국 뉴욕 퀸즈 지역의 한 중학교<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5/jrmkh_1473651425786eK3U4_JPEG/52.JPG" alt="" filesize="44523"><br><div><br> 천식 주의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음 <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55/jrmkh_1473651426041gS3sX_JPEG/53.JPG" alt="" filesize="49561"><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jrmkh_14736514261807rEqH_JPEG/54.JPG" alt="" filesize="43684"><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39/jrmkh_1473651426385PgXrt_JPEG/55.JPG" alt="" filesize="41977"><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40/jrmkh_1473651426522zxeOn_JPEG/56.JPG" alt="" filesize="39961"><br><div><br><br>3년전부터 뉴욕시는 아이들에게 맑은 공기를 주기 위해 asthma free school zone 조항을 만들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88/jrmkh_1473651426750eLRdb_JPEG/57.JPG" alt="" filesize="34641"><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39/jrmkh_1473651426934MIdSl_JPEG/58.JPG" alt="" filesize="49946"><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75/jrmkh_1473651427099D1peg_JPEG/59.JPG" alt="" filesize="48463"><br><img width="550" height="313"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6/jrmkh_14736514272596E5tq_JPEG/60.JPG" alt="" filesize="49012"><br><div><br>학교 주변에 일정 시간 동안 주차가 금지되어 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89/jrmkh_1473651427546vLjat_JPEG/61.JPG" alt="" filesize="32731"><br><div><br><br>학부모들의 인식 행동 개선도 매우 중요한것 같다. <br>(내가 미국와 한국에서 살면서 느끼는 건,<br>미국 사람들은 자신/가족을 위해 남에게 할말이 있으면 당당하게 할 말 하지만 <br>한국 사람들은 남 의식 때문에 당당하게 남들에게 말을 잘 못한다는 것이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jrmkh_1473651427756sxqqk_JPEG/62.JPG" alt="" filesize="44785"><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45/jrmkh_1473651427920yWQjv_JPEG/63.JPG" alt="" filesize="4288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50/jrmkh_1473651428116MhMFv_JPEG/64.JPG" alt="" filesize="44593"><br><div><br><br>이 학교에서는 학부모를 교육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br>즉, 학부모가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게 매우 중요하다.<br>뉴욕은 선생님들이 이렇게 앞장 서 주니 참 고맙고 부럽다. <br>우리는 반대로 부모들이 선생님 눈치를 봐야 한다. 선생님께 부탁해서 창문 닫아 달라 그러고.<br><br></div><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90/jrmkh_14736514282507qw8F_JPEG/65.JPG" alt="" filesize="49741"><br><img width="550" height="311"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1/jrmkh_147365142847100Cpy_JPEG/66.JPG" alt="" filesize="41087"><br><div><br><br>2013년 1월 13일 기준치보다 2배 이상인 메가톤급의 미세먼지가 발생하여 뉴스에 보도 되었다.<br><br><br></div><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63/jrmkh_1473651780556Y7war_JPEG/67.JPG" alt="" filesize="31876"><br><div><br>당시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사상 최악의 수준으로 비행기 이착륙이 취소될 정도였다. <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24/jrmkh_14736517808445qEdt_JPEG/68.JPG" alt="" filesize="32962"><br><img width="550" height="305"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9/jrmkh_1473651781094oJYxh_JPEG/69.JPG" alt="" filesize="37451"><br><div><br>이렇게 북경과 서울의 미세먼지 그래프의 움직임이 일치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1/jrmkh_1473651781288hR50y_JPEG/70.JPG" alt="" filesize="39141"><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77/jrmkh_1473651781565NxDBw_JPEG/71.JPG" alt="" filesize="44654"><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90/jrmkh_1473651781759skVQO_JPEG/72.JPG" alt="" filesize="43050"><br><div><br>중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에 상륙하고 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99/jrmkh_1473651781984VwDIO_JPEG/73.JPG" alt="" filesize="54167"><br><div><br>환경부의 인터뷰입니다.<br>(환경부가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정했고<br>2013년 기준으로 피해가 오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으나<br>결과는 3년이 지난 지금, 어떤 노력을 하셨나요?)<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34/jrmkh_1473651919152AI5Dm_JPEG/75.JPG" alt="" filesize="44823"><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81/jrmkh_1473651919358N3Hm6_JPEG/76.JPG" alt="" filesize="46018"><br><div><br>이화여대에서 임산부를 대상으로 미세먼지가 임산부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습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83/jrmkh_1473652011539l4y94_JPEG/77.JPG" alt="" filesize="44184"><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6/jrmkh_1473652011794obhQh_JPEG/78.JPG" alt="" filesize="43844"><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70/jrmkh_147365201207851qQ9_JPEG/79.JPG" alt="" filesize="44548"><br><div><br>걸러지지 않는 초미세먼지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거나 <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1/jrmkh_147365205679536U3x_JPEG/80.JPG" alt="" filesize="41862"><br><div><br>혈액을 끈적끈적하게 만든다. <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jrmkh_1473652057007WufLv_JPEG/81.JPG" alt="" filesize="41366"><br><div>이러한 현상은 태반을 통해서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분이나 산소를 부적절하게 한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44/jrmkh_1473652057180zGM4M_JPEG/82.JPG" alt="" filesize="26617"><br><div><br> 이렇게 엄마가 흡입한 미세먼지는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기에 이른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11"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94/jrmkh_1473652057327gHRxF_JPEG/83.JPG" alt="" filesize="28249"><br><img width="550" height="307"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3/jrmkh_1473652125027ppfWN_JPEG/84.JPG" alt="" filesize="45941"><br><img width="550" height="305"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0/jrmkh_1473652125134wu2CQ_JPEG/85.JPG" alt="" filesize="44253"><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57/jrmkh_14736521252891N56N_JPEG/86.JPG" alt="" filesize="46341"><br><img width="550" height="311"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53/jrmkh_1473652125586J20iq_JPEG/87.JPG" alt="" filesize="45020"><br><div><br>(미세먼지에 대해 임산부들이 아마 대략 이런 생각들을 가지고 계셨을 겁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06/jrmkh_1473652146381x8Xxy_JPEG/88.JPG" alt="" filesize="35738"><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98/jrmkh_1473652146617iR5dH_JPEG/89.JPG" alt="" filesize="36486"><br><img width="550" height="306"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8/jrmkh_1473652146771RhKiH_JPEG/90.JPG" alt="" filesize="35296"><br><div><br>2012년 University of Rochester 대학에서 미세먼지가 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 되었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2/jrmkh_1473652189885UOSHH_JPEG/91.JPG" alt="" filesize="43350"><br><div><br>뇌는 치밀한 조직에 둘러쌓여 외부 물질이 침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의학계의 정론이었으나<br>환경의학을 전공한 로체스터 대학 군터 교수는 <br>오랜시간 동안 미세먼지에 대해 연구했는데 <br>뇌에 직접 닿는 물질이 있다는 것은 의학계에 파장을 일으켰고 미세먼지의 유해성을 다시 한번 각인 시켰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58/jrmkh_1473652190115gBvC7_JPEG/92.JPG" alt="" filesize="34215"><br><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52/jrmkh_1473652190300s6YYz_JPEG/93.JPG" alt="" filesize="50609"><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6/jrmkh_1473652190501osAqr_JPEG/94.JPG" alt="" filesize="48553"><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46/jrmkh_1473652190668jPuUw_JPEG/95.JPG" alt="" filesize="49193"><br><img width="550" height="311"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59/jrmkh_1473652190787Mnmkr_JPEG/96.JPG" alt="" filesize="49068"><br><div><br>즉 쉽게 이야기 하면<br>우리 몸속에 들어온 먼지는 각종 섬모에 의해 걸러지지만 섬모의 거름망을 피하는 미세먼지가 문제가 되는 것이고<br><br></div><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5/jrmkh_1473652280364rJbt9_JPEG/97.JPG" alt="" filesize="34571"><br><div><br>이렇게 거름 장치 섬모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br>후각 신경을 타고 뇌 전두엽에 도달한 뒤 뇌 전체로 퍼지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br>이러한 염증은 행동기관 장애 뿐만 아니라 각종 뇌 질환을 일으킨다.<br><br></div><img width="550" height="309"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84/jrmkh_1473652280572kO0Ws_JPEG/98.JPG" alt="" filesize="26726"><br><img width="550" height="312"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68/jrmkh_1473652339772VDs1F_JPEG/99.JPG" alt="" filesize="46040"><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203/jrmkh_1473652339977JX6ym_JPEG/100.JPG" alt="" filesize="43726"><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79/jrmkh_1473652340151v1UQ0_JPEG/101.JPG" alt="" filesize="43546"><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26/jrmkh_1473652340283Wkgse_JPEG/102.JPG" alt="" filesize="42638"><br><img width="550" height="308"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13/jrmkh_1473652340401QORQq_JPEG/103.JPG" alt="" filesize="42761"><br><img width="550" height="310" src="http://cafefiles.naver.net/20160912_51/jrmkh_1473652372351SgpgK_JPEG/104.JPG" alt="" filesize="42775"><br><div>이상입니다.<br><br><br><br>이 동영상을 보니 우리가 얼마나 <br>지금 미세먼지에 대해 간과하고 있는지,<br>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는지,<br>마스크 쓰지 않은채 밖에서 생활하면서 몸 속으로 축적된 미세먼지가<br>5년 10년 뒤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모르며 생활하고 있는지,<br>우리가 그냥 이렇게 중국에 당하고만 있어야 하는 것인지,<br>근데 2-3년 사이에 미세먼지가 가득 끼인 날씨가 지속되는게 이제 시작일 뿐이라는걸, <br>'미세먼지에 적응해야 한다'는 말이 얼마나 잘못된 정보에서 비롯된 말인지 깨달았으면 좋겠습니다. <br>다 같이 고민하고 분개하고 마스크를 쓰셨으면 좋겠습니다.<br><br>방송링크 첨부해드립니다<br><a target="_blank" href="http://youtu.be/q4ZqMXDmwd8">http://youtu.be/q4ZqMXDmwd8</a><br><br>p.s <br><br>많은 분들이 이 글을 퍼뜨려 주셔서 정부에서 국가에서 언론에서 알려주지 않는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아시고<br>스스로 지켜나가시길 바랍니다. <br><br></div>
    출처 출처 미세먼지 대책을 촉구합니다 | 마포 리나마

    원문 http://cafe.naver.com/dustout/39214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6/10/20 05:28:14  182.216.***.206  아들하나딸둘  726257
    [2] 2016/10/20 09:11:40  121.173.***.199  생겼으면좋겠  213633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
    이거 랜섬웨어인가요?ㄷㄷ [4] 창작글외부펌금지 양파빵 17/05/19 01:48 95 0
    미세'먼지'아니에요. 미세'발암물질'입니다! 펌글 양파빵 16/10/19 23:48 71 2
    10
    와... 질투의 화신... [4] 창작글 양파빵 16/09/07 23:13 123 6
    9
    뷰티풀 마인드 보시는 분들, 오정세, 윤현민 좋지 않나요? [5] 창작글외부펌금지 양파빵 16/07/19 11:22 38 6
    5
    해투 야간매점 겨울만두, 라이스 페이퍼로 다르게 해봤어요 [7] 양파빵 14/03/07 20:48 174 0
    4
    추천받은 전주맛집 후기 [7] 양파빵 13/12/03 09:23 214 19
    3
    전주 맛집 추천해주세요!^^ 양파빵 13/11/18 20:50 37 0
    2
    [제1회 요리대회] 불꽃축제 나들이용 볶음밥 도시락!! [9] 우엉천사 12/10/06 19:05 431 56
    1
    가입 후 첫 글 기념 나만의 베오베 요리 짤 [2] 우엉천사 12/10/05 15:04 153 8
    [1]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