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무명논객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2-02-21
    방문 : 1522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sisa_371479
    작성자 : 무명논객
    추천 : 3
    조회수 : 343
    IP : 124.28.***.211
    댓글 : 0개
    등록시간 : 2013/03/14 01:40:07
    http://todayhumor.com/?sisa_371479 모바일
    아베 총리 "평화 헌법 개정" 노골화 + 비판적 소고
    <p><a target="_blank" href="http://www.redian.org/archive/51749" target="_blank" class="tx-link">http://www.redian.org/archive/51749</a></p><p><br></p><h2 class="posttitle" style="padding: 0px; margin: 30px 0px 10px; line-height: 1.1em; color: rgb(51, 51, 51); font-size: 32px; font-family: NanumGothic,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width: 535.5px; letter-spacing: -3.5px;">아베 총리, ‘평화헌법’ 개정 노골화</h2><h4 class="subtitle_head" style="padding: 0px; margin: 0px 0px 5px; line-height: 24px; color: gray; font-size: medium; letter-spacing: -1px;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h4><b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24px; color: rgb(68, 68, 68);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 font-size: medium;"><b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24px; color: rgb(68, 68, 68);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 font-size: medium;"><p class="metaStuff" style="margin-top: -23px; margin-bottom: 15px;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sans-serif; color: rgb(136, 136, 136); font-size: 11px; background-image: none; border: none;">By <a target="_blank" href="http://www.redian.org/archive/author/karly-zang" title="장여진의 글" rel="autho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linear, border-top-color;">장여진</a>  /   2013년 3월 13일, 3:17 PM  <a target="_blank" href="http://www.redian.org/archive/51749#respond" class="commentsLink" title="아베 총리, ‘평화헌법’ 개정 노골화의 댓글"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linear, border-top-color; color: rgb(225, 44, 44);"></a></p><div id="postExcerpt" style="padding: 0px; margin: 0px 0px 28px; line-height: 24px; border-bottom-width: 3px; border-bottom-style: double; border-bottom-color: rgb(227, 227, 227); color: rgb(68, 68, 68);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 font-size: medium;"></div><div class="socialButton" id="facebookLik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15px 25px 0px; line-height: 24px; float: left; height: 45px; width: 409.5px; color: rgb(68, 68, 68);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 font-size: medium;"><div id="fb-root" class=" fb_reset"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 background-image: none; border-spacing: 0px; border: 0px; color: rgb(0, 0, 0); cursor: auto; direction: ltr; font-family: 'lucida grande', tahoma, verdana, arial, sans-serif; font-size: 11px; overflow: visible; text-shadow: none; visibility: visible; word-spacing: normal;"><div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position: absolute; top: -10000px; height: 0px; width: 0px;"><div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iframe name="fb_xdm_frame_http"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scrolling="no" id="fb_xdm_frame_http" aria-hidden="true" title="Facebook Cross Domain Communication Frame" tab-index="-1" src="http://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19#channel=f342d4adac&origin=http%3A%2F%2Fwww.redian.org&channel_path=%2Farchive%2F51749%3Ffb_xd_fragment%23xd_sig%3Df2db3d864%26"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border-style: none;"></iframe><iframe name="fb_xdm_frame_https"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scrolling="no" id="fb_xdm_frame_https" aria-hidden="true" title="Facebook Cross Domain Communication Frame" tab-index="-1" src="https://s-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19#channel=f342d4adac&origin=http%3A%2F%2Fwww.redian.org&channel_path=%2Farchive%2F51749%3Ffb_xd_fragment%23xd_sig%3Df2db3d864%26"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border-style: none;"></iframe></div></div><div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position: absolute; top: -10000px; height: 0px; width: 0px;"><div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div></div></div><fb:like href="http://www.redian.org/archive/51749" send="true" width="450" height="50" show_faces="true" action="like" colorscheme="light" fb-xfbml-state="rendered" class="fb_edge_widget_with_comment fb_iframe_widget"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position: relative; display: inline-block;"><span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display: inline-block; position: relative; text-align: justify; vertical-align: text-bottom; height: 24px; width: 450px;"><iframe id="f39f2ad02" name="f3eba9165c" scrolling="no" title="Like this content on Facebook." class="fb_ltr" src="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api_key=&locale=en_US&sdk=joey&channel_url=http%3A%2F%2Fstatic.ak.facebook.com%2Fconnect%2Fxd_arbiter.php%3Fversion%3D19%23cb%3Df12d953708%26origin%3Dhttp%253A%252F%252Fwww.redian.org%252Ff342d4adac%26domain%3Dwww.redian.org%26relation%3Dparent.parent&href=http%3A%2F%2Fwww.redian.org%2Farchive%2F51749&node_type=link&width=450&layout=standard&colorscheme=light&action=like&show_faces=true&send=true&extended_social_context=fals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position: absolute; border-style: none; overflow: hidden; height: 24px; width: 450px;"></iframe></span></fb:like></div><div id="entryContaine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24px; color: rgb(68, 68, 68); font-family: NanumGothic, 나눔고딕, Gullim, Gulim, 굴림, 굴림체, sans-serif; font-size: medium;"><div class="entry"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normal; font-size: 14px; font-family: serif; text-align: justify;"><div class="clea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clear: both;"></div><div class="printfriendly" style="padding: 0px; margin: 12px; line-height: 1.5em;"><a target="_blank" href="http://www.printfriendly.com/print/v2?url=http://www.redian.org/archive/51749" rel="nofollow"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linear, border-top-color; color: rgb(109, 159, 0); vertical-align: bottom;"><img src="http://cdn.printfriendly.com/button-print-gry20.png" alt="Print Friendly" data-lazy-loaded="tru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6px 0px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margin 0.2s linear, box-shadow; border: none;"></a></div><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일본 평화헌법을 수정하기 위한 발언과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지난 9일 아베 총리는 BS아사히 TV에 출연하여 평화헌법의 수정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유엔 헌장의 7장을 근거로 “국제사회의 집단 안전보장에 책임있게 참여하기 위해 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가 거론한 유엔헌장 7장은 “유엔 안보리가 특정 국가에 대해 경제제재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집단안전보장의 일환으로 유엔군을 구성해 군사행동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즉 유엔의 이름으로 진행되는 군사행동에 일본 군대가 참여하고 군사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군대 보유와 무력 사용을 금지하는 평화헌법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12일에도 아베 총리는 “국제사회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돈만 내고 책임을 회피한다는 문제들에 직면할 수 있다”며 돈이 아니라 군사력으로 국제사회에 참여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p><div id="attachment_51750" class="wp-caption aligncenter" style="padding: 0px; margin: 0px auto; line-height: 1.5em; text-align: center; width: 415px;"><a target="_blank" href="http://www.redian.org/wp-content/uploads/2013/03/%EC%95%84%EB%B2%A0-1.jpg" rel="prettyPhoto"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linear, border-top-color;"><img class=" wp-image-51750" alt="아베-1" src="http://www.redian.org/wp-content/uploads/2013/03/%EC%95%84%EB%B2%A0-1.jpg" width="405" height="620" data-lazy-loaded="tru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margin 0.2s linear, box-shadow; border: none; box-shadow: rgba(0, 0, 0, 0.247059) 1px 1px 1px;"></a><p class="wp-caption-text" style="padding-right: 8px; margin-top: 10px; margin-bottom: 20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1px; color: rgb(102, 102, 102);">작년 12월 선거에서 자민당의 공약을 홍보하고 있는 아베 총리</p></div><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평화헌법의 핵심은 제9조이다. 9조는 ‘전쟁과 무력에 의한 위협 또는 무력행사는 국제분쟁을 해결할 수단으로서 영구히 포기한다’는 제1항과 ’1항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해공군과 그 외 전력을 보유하지 않으며, 국가의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제2항으로 구성되어 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동안 일본 보수우익세력들은 평화헌법을 개정하여 군대 보유와 무력사용 권한을 보장하는 헌법으로의 개정을 오랫동안 추진했지만  평화헌법 포기에 대한 일본 국민 여론이 부정적이어서 수면 위에서는 소극적인 편이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런데 작년 12월 총선에서 자민당이 압승하고 보수우익 정치인의 대표격인 아베 총리가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평화헌법 무력화와 개정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작년 말 총선에서도 아베 총리는 군대의 보유를 금지하는 헌법 조항을 개정해 자위대를 국민군으로 격상시키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더욱이 일본의 보수우익세력들은 최근의 북 핵 실험과 한반도 위기 고조를 핑계로 헌법 개정과 군사력 사용에 대한 찬성 여론몰이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일본의 국민 여론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헌법 개정에 대한 부정적 비중이 갈수록 줄어드는 형편이다. 일본 사회 전반의 우경화와 보수화를 반영하는 것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독도와 센카구열도(중국명 띠아오위다오) 분쟁 등을 조장하는 것도 일본 우경화와 보수화를 촉진하는 기제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a target="_blank" href="http://www.redian.org/wp-content/uploads/2013/03/%EC%9D%BC%EB%B3%B8-%EC%9D%B4%EB%AF%B8%EC%A7%80%EC%82%AC%EC%A7%84.jpg" rel="prettyPhoto" style="padding: 0px; margin: 0px;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0.2s linear, border-top-color;"><img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51751" alt="일본 이미지사진" src="http://www.redian.org/wp-content/uploads/2013/03/%EC%9D%BC%EB%B3%B8-%EC%9D%B4%EB%AF%B8%EC%A7%80%EC%82%AC%EC%A7%84.jpg" width="500" height="353" data-lazy-loaded="true" style="padding: 0px; margin: 0px auto; line-height: 1.5em; -webkit-transition: margin 0.2s linear, box-shadow; max-width: 100%; border: none; text-align: center;"></a></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동안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의 전제 조건인 중의원, 참의원의 각각 ‘3분의 2’가 찬성해야 헌법 개정을 발의할 수 있다는 점이 과도하다고 쟁점화하면서, 개정 발의 요건을 ‘2분의 1’ 찬성요건으로 바꾸려고 노력해왔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런데 이제는 절차의 변경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평화헌법 무력화와 수정을 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연립여당 내에서 헌법 개정에 부정적인 공명당을 제외하더라도 개정에 적극적인 일본 유신회와 자민당의 의석을 합치면 중의원에서 3분의 2를 넘는다는 점을 배경으로 한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12일 공명당 대표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는 군사력 행사가 포함된 유엔군에는 참여할 수 없다며 아베 총리의 헌법 개정 행보에 비판적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작년 12월 중의원 총선 결과 전체 480석 중 자민당이 294석, 연립여당에 참여하는 공명당이 31석으로 연립여당이 480석의 3분의 2(320석)을 상회한다. 공명당 외에도 헌법개정에 적극적인 일본유신회의 중의원 의석이 54석으로 자민당이 유신회와 손을 잡아도 3분의 2를 훌쩍 넘긴다. 일본 유신회는 작년 총선에서 평화헌법의 개정을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게다가 제1야당인 일본민주당 내에서도 헌법 개정에 적극적인 세력도 적지 않은 편이다. 평화헌법을 강하게 옹호하는 정치세력은 사민당과 공산당인데 이들이 얻은 의석은 각각 2석과 8석으로, 의미있는 비판세력의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다.</p><p style="margin-bottom: 15px; line-height: 25px; 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그래서 올해 예정된 참의원 선거에서 평화헌법 무력화와 수정을 주장하는 세력이 3분의 2를 넘길 수 있다고 판단하고 그 시점을 헌법 개정 시점으로 생각하는 것이다.</p></div></div><p><span style="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5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68, 68, 68);">이미 9일 방송 출연에서 헌법 개정 의사를 밝힌 이후 아베 총리는 일본 유신회와 비공개로 회동하여 헌법 개정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span></p><p><span style="font-family: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5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68, 68, 68);"><br></span></p><p><br></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8;">약간의 소고.</span></p><p><br></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8;">- 최근 일본 내에서 반한, 혐한류 움직임이 점점 가속화 - 대중화 되어 가고 있고, 더불어 극우 세력의 성장은 사실상 파시즘의 발판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함. 일본의 평화 헌법 개정론은, 단순히 평화 헌법을 개정하여 보통국가로 나아가자는 취지 그 이상의 것을 담고 있다는 것이 핵심. 이들에게 평화 헌법 개정, 곧 보통 국가로의 발돋움은 - 다시 말해 무력을 합법적으로 보유하겠다는 이들의 의지는 다시금 동북아 패권에 대한 야심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미국의 반공 전초 기지, 미군의 지원부대 노릇에서 벗어나 자주적 군사력을 보유함으로써 군사력의 자체적 투입을 희망하고 있다는 거.</span></p><p><span style="font-size: 10pt; line-height: 1.8;"><br></span></p><p>- 이들의 동북아 패권 야심은 곧 군국주의화 - 그 이면에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대일본제국"과 "대동아 공영권"으로 상징되는 일본의 제국주의로의 회귀를 의미한다는 거. 여기에 일본 극우 세력이 혐한류로 대표되는 대중의 흐름을 타고 급성장(대중 운동)하여 파시즘적 흐름을 이루고 있다는 거.</p><p><br></p><p>- 일본 공산당은 외롭게 이들과 싸우고 있지만, 반 파시즘 전선은 매우 요원해보임.. 유일하게 탈핵을 주장하는 정당이기도 하거니와, 평화 헌법을 수호해야 한다는 원칙을 저버리지 않고 있으나, 워낙 대중 운동의 영향력이 막강한 탓에 반파시즘 전선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거. 일본의 "대제국화"는 곧 동북아를 위기로 몰아넣을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거. 북한이 현재 정전협정을 파기한 마당에 일본이 이런 식으로 군사 패권의 이빨을 드러내는 것은, 중국과의 충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일본과 북한의 관계를 고려했을 경우 이것은 애꿎은 한반도를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p><p><br></p><p>- 현재 동북아는, 그 어떤 곳보다 일촉즉발의 상황. 서로 총구를 겨누고 누가 먼저 쏘느냐 눈치 게임하는 중. 다만, 미국의 막강한 함대(7함대)가 한국에 주둔함으로써 세력 균형만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 세력 균형은 지금 급속도로 균열을 내고 있다는 거..</p><p><br></p><p>- 한국 역시 이런 기류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자칫 잘못하면 몰아 닥치는 전쟁 위기에 광기에 가까운 애국주의 돌풍에 휘말릴 경우 한국 역시 파시즘 국가로 나아갈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거...</p><p><br></p><p>이래 저래 골치 아픔...</p>
    무명논객의 꼬릿말입니다
    투철한 신념과, 충분한 지식과, 충만한 용기와 민주주의로 무장한 논객. 혹은 그렇게 되려는 사람.

    논객은 관중이 아니다. 참여하고, 주장하고, 설득해야 한다.

    맑스의 정신과, 로자의 두뇌와, 레닌의 실천과, 트로츠키의 용기와, 박노자의 지혜와, 홉스봄의 철학과, 리영희의 고뇌와, 그람시의 냉철함을 가지고 파쇼를 향해, 독재를 향해, 자본주의를 향해, 모든 억압과 속박의 고리를 향해 서슴없이 칼날을 들이대라.

    자칭 3류 혁명적 국제사회주의자.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3/03/14 01:51:01  211.234.***.118  유체이탈가카  229141
    [2] 2013/03/14 04:25:30  115.23.***.166  활찐  332228
    [3] 2013/03/14 08:50:03  49.1.***.141  무명한  9024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0
    친노 비판이 새로운 내용인가? [7] 무명논객 13/04/03 21:06 39 1
    479
    친노라는 존재에 대한 비판 [29] 무명논객 13/04/03 20:05 55 4/6
    478
    레비나스님을 옹호하며 [60] 무명논객 13/04/03 02:27 63 1/6
    477
    근대 자유주의의 붕괴와 주체성의 상실에 관하여 [16] 무명논객 13/04/02 00:09 34 0
    476
    천안함 3주기에 부쳐 - 영웅주의 비판 [6] 무명논객 13/03/28 00:12 58 5
    475
    좌파가 들려주는 러시아 혁명사 #1 [4] 무명논객 13/03/27 00:40 54 2
    474
    좌파가 들려주는 러시아 혁명사 #0 [2] 무명논객 13/03/26 23:48 44 4
    473
    (짧은소식) 대한문 쌍차농성장 기습강제철거 시도 무명논객 13/03/26 14:20 31 1
    472
    (짧은 소식) 재능교육 농성장이 불법강제철거 되었습니다. [4] 무명논객 13/03/26 13:34 46 5
    471
    베충이들의 파시즘이 발현하는 지점은 어딜까? [1] 무명논객 13/03/23 01:53 37 5
    470
    [사과] 러시아 혁명사 연재 공지 [1] 무명논객 13/03/22 22:22 27 1
    469
    제발 토론할거면 좀 상식 좀 갖추고 합시다. [11] 무명논객 13/03/22 21:57 77 4
    468
    내가 왜 어떤 좌파인지 해명하고 다녀야 하나? 무명논객 13/03/20 14:30 58 1
    467
    정모? 할거면 조용히 합시다. [7] 무명논객 13/03/19 00:50 85 7
    466
    [짧은 소식] 고 윤주형 동지의 49제가 치뤄졌습니다. [1] 무명논객 13/03/17 22:29 34 4
    465
    애플시드님, 요청하신대로 베스트 간 글 삭제해드렸습니다. [3] 무명논객 13/03/17 19:29 47 0
    464
    전위정당론? 난 오히려 전위정당을 옹호하는 사람임..ㅋ [2] 무명논객 13/03/17 18:43 31 0
    463
    "애플시드"님을 비판함 - NL과 통진당에 대한 비판적 소고 [10] 무명논객 13/03/16 02:19 46 5
    462
    [박노자 칼럼] 국제법의 사망신고? [1] 무명논객 13/03/15 18:24 38 1
    461
    [세미나] 역사의식에 관한 짧은 단상, 그리고 혁명 [2] 무명논객 13/03/14 23:29 42 4
    아베 총리 "평화 헌법 개정" 노골화 무명논객 13/03/14 01:40 36 1
    459
    웬 ㅄ 같은 아골충 하나가 와서 시게 물 흐리고..에혀 ㅉㅉ.. [4] 무명논객 13/03/14 00:51 82 10
    458
    SBS 현장 21 일베 편을 보고 약간의 참고 글? 무명논객 13/03/13 01:00 74 2
    457
    좌파가 통진당에게 묻는다. 무명논객 13/03/12 22:42 48 0
    456
    구 NL계(통진당)는 자파 패권주의를 버리고 원칙주의로 회귀하라 [3] 무명논객 13/03/12 15:56 60 8
    455
    좌파가 보는 통진당? [3] 무명논객 13/03/12 11:30 103 3
    454
    FTA의 이면 - 투기금융자본에게 ISD란 무엇인가? 무명논객 13/03/12 03:15 28 0
    453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소고 [22] 무명논객 13/03/12 01:55 91 5
    452
    욕설 쓰는 게 썩 좋은 건 아니죠 [1] 무명논객 13/03/10 22:03 34 7
    451
    지금 나랑 해보자는거죠? [4] 무명논객 13/03/10 21:40 105 5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