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오유인페이지
    개인차단 상태
    10century님의
    개인페이지입니다
    가입 : 11-02-14
    방문 : 2058회
    닉네임변경 이력
    회원차단
    회원차단해제
    게시물ID : humorbest_446500
    작성자 : ssho
    추천 : 71
    조회수 : 9665
    IP : 125.182.***.164
    댓글 : 3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2/02/28 16:20:08
    원글작성시간 : 2012/02/27 20:00:19
    http://todayhumor.com/?humorbest_446500 모바일
    [bgm]영화 메트릭스가 주는 메세지


    <font size="3"><b>intro_</b>
    알맹이만 끄집어 정갈하고 철학적으로 해석해 나가는 포스팅입니다.</font>
    <img id="A_2045D54E4F3CBDDC0ACAA9"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5.uf.daum.net/image/2045D54E4F3CBDDC0ACAA9"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컴퓨터 앞에서 UFO, 외계인, 미스테리, 음모론, 프리메이슨, 고대문명, 종말론, 매트릭스 등을 검색하고 있는 당신이
    지금의 앤더슨이다.</span><span style="COLOR: #7820b9">트리니티는 앤더슨보다 조금 앞서서 진실을 찾아나선 선배이다.</span>

    <img id="A_144A054E4F3CBDDE07AF8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7.uf.daum.net/image/144A054E4F3CBDDE07AF8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우리가 궁극적으로 찾고 있는 것은 음모론의 정체나 출처, 근거, 이유 따위가 아니다. 그저 우리가 나아가야할 길의 해답일 뿐.</span>

    <img id="A_1728BE4E4F3CBDDF33BEE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8.uf.daum.net/image/1728BE4E4F3CBDDF33BEE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정답은 공기와 같이 도처에, 내면에, 모든 곳에 항상 존재해 왔으나, 그것을 보이는 영역에서만 찾아 방황해왔다.
    그러나 곧 찾게될 것이다.

    <img id="A_204A844E4F3CBDE006BD3F"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0.uf.daum.net/image/204A844E4F3CBDE006BD3F"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법(法)이란 것은 석가모니가 표현하는 '진리'의 언어였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선 '악법도 법', 지켜야만 하는 통제수단으로 왜곡되었다.</span>

    <img id="A_112BD64E4F3CBDE130653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4.uf.daum.net/image/112BD64E4F3CBDE130653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자본주의에서 자유, 무아(無我)를 찾아 나서는 행위의 대가는 혹독하다. 일을 하지 않으면 육체적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다.</span>

    <img id="A_157526354F3CBEBA06180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3.uf.daum.net/image/157526354F3CBEBA06180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532BD4E4F3CBDE227E067"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2.uf.daum.net/image/1532BD4E4F3CBDE227E067"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요원은 시스템을 벗어나는 행위는 미래가 없다고 두려움을 주입한다. 반대로 시스템에 순응하면 미래가 보장된다고 유혹한다.
    '요원'은 법의 상위에 서서, 진실을 찾으려는 사람을 특권으로 저지하거나 제거하는, 막강한 권력자다.</span>

    <img id="A_1932C14E4F3CBDE42703C9"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6.uf.daum.net/image/1932C14E4F3CBDE42703C9"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당신이 '앤더슨'에서 '네오'로 첫 발을 디디는 순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된 기분일 것이다. 왠지 허황된 음모론자나 사이비
    종교인이 된 것도 같을 것이다.</span>

    <img id="A_131365384F3CBDE533C5C9"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9.uf.daum.net/image/131365384F3CBDE533C5C9"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그러나 뭔가를 알기 때문에 여기까지 온 것이며.. 이것은 불교의 연기설과 같이. 필연적인 행보의 결과다. 적어도, 뭔가가 잘못됐다는
    정도는 알기 때문에 이 길까지 안내된 것이다.</span>

    <img id="A_1126AC384F3CBDE72182D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2.uf.daum.net/image/1126AC384F3CBDE72182D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매트릭스는 공기와 같이 도처에 있어왔다. 그래서 몰라왔다.</span>

    <img id="A_1818FD384F3CBDE82D7F99"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9.uf.daum.net/image/1818FD384F3CBDE82D7F99"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8536A384F3CBDE90179E8"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8536A384F3CBDE90179E8"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이 대사는 중요하다. 노예의 주인은 다름아닌 '나 자신'이다. 외부의 엘리트가 아닌, 결국 내 자신이 스스로를 감옥에 가두었다는 것.
    이것의 의미는 때가 되면 모두가 알게될 것이다.

    <img id="A_141751384F3CBDEA3379A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5.uf.daum.net/image/141751384F3CBDEA3379A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파란 약과 빨간 약은 상징적인 표현일 뿐, 이분법적인 선택의 수단이 아니다. 실제에서 이러한 선택의 순간은 매 순간에 존재한다.
    마음 속에서. 단지 마음가짐의 무게를 빨간 약에 두느냐, 파란 약에 두느냐.. 그것이 앞으로의 인과를 결정한다. 그러나 마음은 늘
    변화무쌍한 법. 영화는 결단의 결연함과 지속의 중요함을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의 순간으로 상징적으로 강력히 표현했다.

    <img id="A_121570384F3CBDEB3115D8"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5.uf.daum.net/image/121570384F3CBDEB3115D8"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838CF384F3CBDEC19BD6E"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838CF384F3CBDEC19BD6E"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우리는 허상 속에 살아왔음을 실감하는 순간 패닉 상태가 된다. 누구나 충격과 두려움을 떨칠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극복해야 할 과제.

    <img id="A_125539344F3CBDED255402"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7.uf.daum.net/image/125539344F3CBDED255402"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매트릭스가 존재하는 한 인간이 결코 자유롭지 못한 이유는.. '인간'은 매트릭스 시스템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즉 매트릭스가 컴퓨터
    시스템이라면 우리의 '육체'는 프로그램이다. 우리의 실체는 그 너머에 있다. 그러나 육체를 버리면 안 된다. 우리가 이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img id="A_16476D344F3CBDEE32451D"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3.uf.daum.net/image/16476D344F3CBDEE32451D"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적(敵)'이라는 표현은 좀 과장된 것이지만. 그만큼 이제 우리가 시스템을 극복(overcome)해야만 하는 시점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span><img id="A_1946F0344F3CBDEF2DABA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1.uf.daum.net/image/1946F0344F3CBDEF2DABA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떠날 준비가 안 돼 있는 것은.. 시스템(금전욕, 물욕, 식욕, 성욕, 소속욕구)에 대한 집착이 강하기 때문이다. 집착은
    끌어당김으로 인해 소용돌이를 만든다. 소용돌이(블랙홀)의 가장 강력한 중심에는 바로 이 시스템의 지배자(아키텍쳐)가 있다.

    <img id="A_18567A344F3CBDF126461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9.uf.daum.net/image/18567A344F3CBDF126461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소용돌이의 주변에 넓게 흩어져 회전하고 있는 존재들(은하의 별들)이 바로, 이 시스템을 보호하려고 하는 '일반인'들이다. </span>

    <img id="A_1348C2344F3CBDF22F5F12"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348C2344F3CBDF22F5F12"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352C0344F3CBDF328893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9.uf.daum.net/image/1352C0344F3CBDF328893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빨간 약을 먹고도 다시 파란 약의 세계로 돌아가려는 사람을 빗대는 등장인물 사이퍼. 결코 쉽지 않은 이 길 때문에 중도 포기하거나
    욕망의 노예가 되어 삿된 길로 빠지는 사람이 많다.

    <img id="A_167BC5344F3CBDF409D61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2.uf.daum.net/image/167BC5344F3CBDF409D61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진실과 진리란 결국 스스로 찾아가야 하는 것. 아무도 이를 대신해줄 수 없기 때문에.. 더이상의 의존감과 자격지심을 내려놓아야 한다.</span>

    <img id="A_1578B1334F3CBDF72CBA7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40.uf.daum.net/image/1578B1334F3CBDF72CBA7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곧 알게될 것이다. 쳇바퀴인 줄 모르고 그냥 걷는 것과.. 갈 길을 알고 쳇바퀴에서 내려오는 것의 차이를. </span>

    <img id="A_190628334F3CBDF8206E4D"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6.uf.daum.net/image/190628334F3CBDF8206E4D"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지금까지 인간들은.. 오로지 자본주의 시스템의 원활한 품아귀에서 가야할 길을 잊고 원초적 동물처럼 살아왔다.

    <img id="A_137DD6334F3CBDF926F99F"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8.uf.daum.net/image/137DD6334F3CBDF926F99F"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여기서의 기계는 우리 육체와 매트릭스 시스템을 말한다. 육체가 존재하는 한, 매트릭스를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다. 주어진 3차원적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정신적으로, 영혼적으로 성장을 하고 우리의 본질에 근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img id="A_157B7F334F3CBDFA29AD3B"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5.uf.daum.net/image/157B7F334F3CBDFA29AD3B"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지배란 뭘까? 필자도 곰곰히 생각을 해봤던 질문이다. 결론은.. 지배란 우리 스스로 '억압되어 있다'는 상념에서 만들어낸 허상이다.
    이미 우리는 그 무엇에 포함되어 있고, 또한 그것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그 무엇이란 궁극적으로는 우주다. 우주는 선과 악..
    빛과 어둠 모두를 포함한다. 선과 악은 하나다. 단지 호흡하는 흐름일 뿐

    <img id="A_166D5A334F3CBDFB34916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9.uf.daum.net/image/166D5A334F3CBDFB34916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지금의 시스템. 즉 자본주의에서 벗어나려면.. 그것을 붕괴시켜야 한다. 꺼버린다는 것은 그 시스템에 전력(에너지)을 더이상
    공급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것. 즉 노예를 자처하는 일을 그만두는 것이다.

    <img id="A_186DEF334F3CBDFC34D57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3.uf.daum.net/image/186DEF334F3CBDFC34D57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그러나 육체까지 (OFF)꺼버릴 수는 없다. 이것을 가지고 있는 동안 만큼은 함께 가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가는
    것이다. 자본주의도, 육체도.. 마음먹기에 따라 미래는 새로 창조되니까.

    <img id="A_116731344F3CBDFE1B766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3.uf.daum.net/image/116731344F3CBDFE1B766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이유가 있다면..

    <img id="A_1866E2344F3CBE00197FE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5.uf.daum.net/image/1866E2344F3CBE00197FE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육체는 100년 사용되고 버려질 쓰레기(Trash)가 아니라 에너지로 응축된 에너지장(場)이기 때문이다. 에너지는 의식의 힘으로
    변화한다. 마음과 육체에너지는 결코 동떨어져있지 않다. 에너지장을 잘 활용하면 영혼은 살찌워진다. 백겁이 걸릴 성장을 일생에
    이룰수도 있는 기회의 장(場)이 바로 지금이다.

    <img id="A_1641CE344F3CBE0134D0AB"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3.uf.daum.net/image/1641CE344F3CBE0134D0AB"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때마다 찾아오는 인연이 있다. 그것은 사람 뿐만 아니라 환경도 마찬가지. 우리는 그것들이 올 때 때로는 이해를 못하고 밀어내려 한다.</span><span style="COLOR: #7820b9">
    그러나 그것은 우연이 아닌 필연이다. 때가 되어 끌어당겨지는 인연들.. 반드시 나 자신에게 필요한 힌트(Clue)를 준다. 그것이
    정법(正法)이냐 반법(反法-반면교사)이냐의 차이일 뿐. 모든 인연은 나의 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해 찾아온다.</span>

    <img id="A_1541F3344F3CBE0336FEE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541F3344F3CBE0336FEE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그것을 알아내는 방법은..

    <img id="A_2058FB344F3CBE0428BA1E"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4.uf.daum.net/image/2058FB344F3CBE0428BA1E"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전적으로 내 자신에게 달려있다. 옳은 길(또는 사람), 그른 길(또는 사람)이란 없다. 길과 사람에게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만이
    존재한다.

    <img id="A_19615B344F3CBE051DC7B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9.uf.daum.net/image/19615B344F3CBE051DC7B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모든 인연은 끌어당겨져 내게로 이미 와 있다. 즉 나는 이미 선택을 한 것이다. 그것이 왜 내게로 왔는지를 반추하며 삶과 희노애락의
    의미와 이유를 알아가는 과정이다. 되돌아감의 끝에는 본질이 기다리고 있다.

    <img id="A_11651E344F3CBE061B8C27"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9.uf.daum.net/image/11651E344F3CBE061B8C27"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부모와 자식, 친구, 스승, 한 번 왔다가는 인연들.. 모두는 각자의 할 일을 위해 '인연'이라는 이름으로 서로 맺어졌다가 끊어진다.
    각자의 상호작용에서 각자의 의미와 이유를 함께 알아간다.

    <img id="A_1435D1364F3CBE072E2AD5"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4.uf.daum.net/image/1435D1364F3CBE072E2AD5"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청소부, 노숙인, 장애인, 노인, 동물, 풀과 나무, 바람.. 우리는 이러한 것들에 대체로 무관심하지만. 이 모두는 자기 할 일을
    하고 있다. 이들을 부정하거나 이들이 없어도 상관없을만큼 무관심하다면.. 자기 자신의 삶과 죽음의 필연을 부정하는 것과 같다.
    피터팬 콤플렉스.

    <img id="A_133A9D364F3CBE0829AC12"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2.uf.daum.net/image/133A9D364F3CBE0829AC12"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그런 이들은 인정하고싶지 않은 현실이 다가왔을 때.. 숨어버린다. 자살을 하거나, 그림자 속으로 숨어버리려 한다. 숨으면 숨어지는가?</span><span style="COLOR: #7820b9">
    못난 꽁무니만 보일 뿐이다. 소스로 돌아가는 이들은 고통을 직접 마주하고, 두려움의 허상 속에서 진실을 찾아내는 이들이다.</span>

    <img id="A_1864BC364F3CBE090AFE2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9.uf.daum.net/image/1864BC364F3CBE090AFE2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우리는 그 곳으로 가야 한다. 네오는 the One 영웅이 아니다. 우리가 네오가 되어야 한다. 

    <img id="A_196BF5364F3CBE0C0438D5"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9.uf.daum.net/image/196BF5364F3CBE0C0438D5"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636DF364F3CBE0D2BE43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4.uf.daum.net/image/1636DF364F3CBE0D2BE43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우리는 여기로 걸어온 이유를 스스로 알아야 한다. 스스로 깨우쳐야 한다.

    <img id="A_194D08364F3CBE0E1D35A6"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3.uf.daum.net/image/194D08364F3CBE0E1D35A6"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7729B354F3CBE0F05BBE7"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4.uf.daum.net/image/17729B354F3CBE0F05BBE7"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26592354F3CBE1212AFB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4.uf.daum.net/image/126592354F3CBE1212AFB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56C31354F3CBE140A193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56C31354F3CBE140A193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이유는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인 것이다. 그것은 자기 자신을 납득시키기 위해 만든 명분이다. 머리로의 이해는 거기까지이다. 

    <img id="A_14718E354F3CBE160684E8"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4718E354F3CBE160684E8"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그다음 단계로는 느낌으로 가야 한다. 그것이 곧 심법(心法)이자 에너지의 실질적 운용이다. 이유(사유)나 언어로 인한 자아발견은
    에고(ego)라는 껍질이 한 꺼풀 이상 싸여진 것이기 때문에 완전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질에 가까워질 수록 느낌에 집중하게 된다.
    직감.

    <img id="A_14644A354F3CBE171081D1"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4644A354F3CBE171081D1"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있는 그대로의 것. 있는 그대로 그러함을 느끼는 그 자체. 

    <img id="A_111F76384F3CC038342F2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3.uf.daum.net/image/111F76384F3CC038342F2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67526354F3CBE1803D50F"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1.uf.daum.net/image/167526354F3CBE1803D50F"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필자는 가식과 거짓의 시작 중 하나는 '언어'라고 본다. 그것은 '형식', '교양', '어른스러움'이라는 에고를 중심으로 품고 있다.
    언어가 능통하지 못하면 무시받고, 언어가 '소통'의 최상의 능력이라 인정받아왔다. 언어는 그만의 제한성과 단편성 때문에
    수많은 오해와 갈등을 끊임없이 양산한다. 궁극적으로 '느낌'을 방해한다. 언어의 마술사가 언어를 예술로 승화하기도 하지만..
    우주의 느낌을 표현할 수는 없다. '사랑을 글로 배웠습니다'와 같은, 언어를 비아냥하는 유머가 나오는 이유다.
    </span>
    <img id="A_2038E7354F3CBE1934B06B"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7.uf.daum.net/image/2038E7354F3CBE1934B06B"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p></p></span></span>
    ..













    <img id="A_175961404F3CC14010957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75961404F3CC14010957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758AB404F3CC14112462D"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6.uf.daum.net/image/1758AB404F3CC14112462D"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75CA9404F3CC1430C9FBB"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75CA9404F3CC1430C9FBB"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204BAD404F3CC1441E8C72"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9.uf.daum.net/image/204BAD404F3CC1441E8C72"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26A97404F3CC146025BC3"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7.uf.daum.net/image/126A97404F3CC146025BC3"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14D8C404F3CC1471A001F"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4.uf.daum.net/image/114D8C404F3CC1471A001F"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83C79404F3CC1482582F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3.uf.daum.net/image/183C79404F3CC1482582F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span style="COLOR: #7820b9">
    영화에서 스미스는 네오가 키워놓은 카르마의 결과로서 어마어마한 기세로 되돌아온다. 주인의식과 주체의식을 잃어버린 우리는..
    어둠이 번진 지금의 세상이 나의 대칭점인지 모르고, 세상탓을 하고 있다. 매트릭스 세상을 뒤덮고 현실에까지 엄습하는 스미스의
    모습은..
    암묵적 동의로 어둠이 내·외부 세계를 지배하는데 관조적이었던 우리의 업보를 비유적으로 꼬집는다. 스스로 균형을 맞추는 우주의
    방정식. 종국에 그것과 직접 맞닥뜨려야 하는 필연으로 되돌아온다. 이것은 단지 외부적으로 보이는 어둠만이 아니다. 우리 내면에
    있는 빛을 가리고 있는 어둠을 의미하기도 한다.

    <img id="A_132E6D3F4F3CC149182C0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5.uf.daum.net/image/132E6D3F4F3CC149182C0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207D6D3F4F3CC14A31D3C3"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40.uf.daum.net/image/207D6D3F4F3CC14A31D3C3"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629653F4F3CC14B1964F5"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6.uf.daum.net/image/1629653F4F3CC14B1964F5"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육안(肉眼)을 닫고서 심법(心法)으로 구름을 걷어내고 비로소 볼 수 있게 된 빛의 세계.

    <IMG id=A_1220913F4F3CC14D223FAD class=txc-image src="http://cfile239.uf.daum.net/image/1220913F4F3CC14D223FAD"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br=""><img id="A_147CC73F4F3CC14E328F29"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2.uf.daum.net/image/147CC73F4F3CC14E328F29"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근원으로 가는(가야 할) 네오(우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img id="A_186686414F3CC1563645D5"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2.uf.daum.net/image/186686414F3CC1563645D5"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3211B414F3CC15707D3F7"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01.uf.daum.net/image/13211B414F3CC15707D3F7"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12822414F3CC1590104BB"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12822414F3CC1590104BB"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고, 끝이 있으면 시작도 있다. 선택으로 시작했으니, 끝을 맺어야지. 그리고 다시 새로운 시작을 해야 한다.

    <img id="A_13710A414F3CC15B30EBAF"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6.uf.daum.net/image/13710A414F3CC15B30EBAF"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57A66454F3CC15D26DC9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3.uf.daum.net/image/157A66454F3CC15D26DC9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77F31454F3CC15E1E88AA"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5.uf.daum.net/image/177F31454F3CC15E1E88AA"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거대한 호흡의 한 끝을 맺는데는 엄청난 고통을 수반한다. 죽음직전의 경련이자 잉태 직전의 산고이다. 명현현상이다.

    <img id="A_111073454F3CC1600B080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25.uf.daum.net/image/111073454F3CC1600B080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20775A454F3CC1622B7383"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3.uf.daum.net/image/20775A454F3CC1622B7383"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img id="A_187F1D454F3CC16420CED4"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3.uf.daum.net/image/187F1D454F3CC16420CED4"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그것을 견뎌내면.. 새 호흡이 시작된다. 비로소 다시 시작된다. 새 아침이, 새 계절이, 새 해가, 새 겁이 시작된다.

    <img id="A_127D7B454F3CC165216876"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2.uf.daum.net/image/127D7B454F3CC165216876"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img id="A_1811CD454F3CC16609D7EC"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34.uf.daum.net/image/1811CD454F3CC16609D7EC"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내면의 어둠이자, 우리 우주의 어둠의 지도자가 떠난다. 이 대사의 여운은.. 호흡의 생멸과 파동의 진동을 암시하면서, '평화' 역시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알린다. 영원함이란 우주호흡의 생멸과 웨이브 그 자체임을. 시작과 끝이란 본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음을.
    </span>
    <img id="A_12770E444F3CC16817DCC0" class="txc-image" border="0" hspace="1" vspace="1" src="http://cfile215.uf.daum.net/image/12770E444F3CC16817DCC0" width="764" pointer;? cursor: none; float: ?clear:>
    <p></p>



    감사합니다. </a>


    <embed src = "http://pds19.egloos.com/pds/201202/27/58/makc.swf">
    ssho의 꼬릿말입니다
    2차 출처 : 디시 미스터리갤
    1차 출처 : http://blog.daum.net/highw00d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2/02/27 20:01:58  114.207.***.87  
    [2] 2012/02/27 20:24:10  210.206.***.76  오세아니아
    [3] 2012/02/27 21:01:39  125.185.***.137  드림카카오
    [4] 2012/02/27 21:25:04  121.149.***.167  emiT
    [5] 2012/02/28 04:15:21  58.233.***.148  
    [6] 2012/02/28 08:26:06  61.99.***.206  빅데디
    [7] 2012/02/28 10:35:36  218.236.***.220  
    [8] 2012/02/28 13:28:14  183.96.***.85  
    [9] 2012/02/28 14:06:12  121.124.***.142  따뜻한국밥
    [10] 2012/02/28 16:20:08  115.21.***.178  생명의레퀴엠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웃대 답글베스트 [4월 13~19] [4] ssho 12/04/28 22:55 13378 89
    [스압]웃대 주간 답글베스트.jpg [1] ssho 12/04/14 16:04 16304 101
    콘돔이 뭐죠.jpg [2] ssho 12/04/08 12:29 30033 166
    [펌]일본 방사능의 심각성.dc [6] ssho 12/03/23 18:09 14892 121
    [bgm]현실을 2d로.jpg [8] ssho 12/03/21 22:02 18981 63
    [bgm]영화 메트릭스가 주는 메세지 [3] ssho 12/02/28 16:20 9665 71
    여자들이 남자를 힘들게 하는 말.jpg [8] ssho 12/02/27 17:26 22506 101
    [브금]박하선 디씨 인증글.jpg [6] ssho 12/02/27 16:55 17305 77
    [브금]한쿡드라마 CG의 위엄.JPG [4] ssho 12/02/26 21:47 18947 77
    여군장교의 화장.jpg [10] ssho 12/02/26 20:00 27077 135
    [일본,bgm]오타쿠란 말이 생겨나게 한 장본인.jpg [6] ssho 12/02/26 17:41 15949 50
    [bgm]일어난지 10주년이 된 사건사고들.jpg [1] ssho 12/02/26 14:15 15769 122
    [브금]하이랜더 증후군의 진실.jpg [9] ssho 12/02/26 13:47 32345 73
    [15]꼴리는 만화.jpg [6] 브금알리미 12/02/25 16:57 32895 128
    [브금]자연속의 한류.jpg [4] 브금알리미 12/02/25 14:07 18855 106
    블락비사건! 사실은MB의 음모였음ㅋ [10] ssho 12/02/20 23:22 7530 52
    별주부전 원피스ver [4] ssho 12/02/18 20:29 13270 115
    소하마설(小河馬說) [5] 삐뚤어진새끼 12/02/17 23:58 11513 132
    [브금,펌]공대아빠를 건드리면 좃되는거야 SSho 12/02/17 14:21 21940 227
    [브금]흔한 답변.jpg [6] SSho 12/02/12 21:49 18788 80
    4차원으로 간 사람들.avi [4] SSho 12/02/12 20:39 10081 26
    [펌]피카츄.jpg [5] SSho 12/02/12 19:17 16057 78
    [브금]빨간망토 이야기 [9] SSho 12/02/10 20:29 7946 37
    [브금]기네스북에 오른 국산 fps게임 [8] SSho 12/01/30 22:12 23417 111
    [브금]포켓몬스터의 진실 [4] SSho 12/01/26 14:32 16151 101
    디씨의 흔한 소설쟁이.JPG [8] SSho 12/01/25 18:50 18445 69
    서울에서는 발음을 세게하면 안돼.jpg [5] SSho 12/01/24 18:10 18560 57
    축구로 배우는 상식만화 [3] SSho 12/01/24 17:53 17509 152
    [브금]디시의 멘탈쩌는 방탄복 개발자.jpg [5] SSho 12/01/13 19:34 22646 203
    게임이 우리에게 말해준 진실.bgm [4] Tier1 12/01/13 07:50 9355 34
    [1] [2] [3] [4]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