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833378
    작성자 : Sulk
    추천 : 18
    조회수 : 17413
    IP : 183.108.***.74
    댓글 : 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2/07 14:09:16
    원글작성시간 : 2014/02/06 15:09:04
    http://todayhumor.com/?humorbest_833378 모바일
    <문명의 정석> Chapter.3 도시관리와 타일건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도시 관리와 집에서 직접 기른(?) 노동자를 이용한 적절한 타일건설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일단 공략이 너무 늦은 것에 대해 십분 사과드립니다. 제가 Chapter.2를 올렸을 때가 1월 18일이었는데
     
    거의 20일(!)이 지나서야 다음 공략을 올리게 되었네요ㅠㅠ 최근에 아르바이트를 시작한 데다가 병신백일장에(결국 마의 추천 9개에 막혀 입상은
     
    못했습니다.....) 이런저런 개인적인 사정으로 제대로 게임할 시간도 없었고 거기다가 한번 공략 썼던 게 날라가버려서... 지금에서야 공략을 올리게
     
    었네요... 절대 문명에 빠져서 공략 미룬 건 아니니까 오해하지 마thㅔ요;; 다음부터는 빠른 시일 내에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도시 관리 화면
     
    여러분이 고등학교 때에 사회교과 과목을 배우실 때(이과는 ㅈㅅ...) 얼핏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는 말을 한번 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말에는 조선시대 선비님들의 유서 깊은 뜻이 있지만 궁금하시면 인터넷에 검색하시고요ㅎ;;
     
    간단히 말해 '천하를 가지기 위해서는 나라를, 나라를 경영하기 위해서는 가정을, 가정을 평안하게 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수양을 선행해야
     
    한다'라는 뜻인데, 더 압축해서 말하면 천하를 평정하기 위해서는 '기초튼튼'해야한다는 말입니다. 물론 이 말은 문명에서도 여감없이
     
    적용됩니다. 아무리 전쟁전략을 잘짜고 외교를 잘한다 한들 도시가 부실하면 승리를 하실 수가 없습니다.
     
    초보난이도 정도에서는 어영부영해도 괜찮으시겠지만 난이도를 높이다 보면 어느샌가 적자가 나고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지는... 결국 판을 접어야 하는 눈물겨운 상황을 맞이 하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원인이 뭔지도 모른 채로 억울한 상태로 말입니다.
     
    문명의 신이 되느냐 아니면 개척자난이도에서 계속 쪽박만 차느냐의 관건은 전쟁전략도 아니고 외교도 아니라 바로 도시관리
     
    있습니다. 도시는 문명의 기초 토대이고 플레이의 기본입니다.
     
     
     
     
     
    도시 관리를 위해 도시 화면으로 들어가도록 합시다. 도시관리 화면으로 들어가실려면 도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2014-01-29_00003.jpg
     
    왼쪽 상단 메뉴는 도시가 얼마만큼 특정 자원을 생산해내는지를 나타내고 국경확장 턴수를 알려줍니다. 그 아래 하단 버튼은 '도시 생산 선택'과
     
    '구매'를 선택하는 버튼입니다. 생산을 선택하고 나면 원 안에 생산중인 건물과 유닛의 그림이 나오고 턴수가 나옵니다. 
     
    가운데 아래 있는 '타일 구매'는 인접한 근처 타일을 골드로 구매하기 해줍니다. 맨 가운데 위에는 도시 이름이 있는데 '편집을 눌러 플레이어
     
    마음대로 도시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가령 예를 들어
     
     2014-01-29_00011.jpg
    이렇게 한국 이름의 도시로 바꾼다거나 아니면
     
     
    2014-01-29_00012.jpg
    ??
     
    2014-01-29_00013.jpg
    ??????????
     
    2014-01-29_00014.jpg
    ???????????????????????!!!!!!!
     
    2014-01-29_00015.jpg
     
    이렇게 자기 마음대로 바꿀수도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쓸 게 생각나지 않아서 문득 아침에 본 셜록 시즌3가 생각나서 셜밍아웃 해버렸네요;;
     
    물론 도시 이름대로 시즌4에 셜록 모리아티 대신 둘이 좀 더 엮이기를 바라지만 저는 결코 게이가 아니니 오해ㄴㄴ
     
     
    셜록 결혼도망.jpg
    (결혼식에서 이랬으면 정말 심쿵. 셜록 안보신 분들 약스포 ㅈㅅ......)
     
     
    이야기가 잠시 딴 곳으로 샜네요.... 다시 공략으로 돌아가서 제가 도시이름 제한 수를 시험해본 결과 최대 15글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띄어쓰기를 포함해서요. 하지만 애석하게도 카와잇하게 ☆모양을 쓴다거나 특수문자로 도시 이름을 쓰실 수는 없습니다.
     
     
     
    2. 도시의 시민 관리
     
    시민 관리는 도시 관리의 핵심입니다. 하지만 그냥 도시 관리 화면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시민관리메뉴가 숨겨져 있어 그냥 자동으로 배치해
     
    놓고 플레이 하시는 유저분들이 종종 있더군요;; 물론 아시는 분들도 귀찮아서 그냥 플레이 하시고요.... 그러나 만약 수동으로 몇개만
     
    원하는 타일에 시민을 배치하시면 잉여도시가 포풍 성장 혹은 포풍 생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일단 시민 관리 화면을 보시죠.
     
    2014-01-29_00018.jpg
     
    우측 상단 메뉴의 시민 관리 +를 클릭하시면 관리창이 확장되고 초록색 사람 옆모양 아이콘은 타일에서 일하고 있는 시민을 보여줍니다.
     
    시민의 배치용도는 크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1. 타일 배치: 타일 시설에 시민을 배치하여 생산력, 금생산, 성장율을 높입니다.
     
    2. 전문가 배치: 도시에 지은 전문가 슬롯 건물에 시민을 배치합니다. 식량을 잡아먹는 대신 위인출현도가 올라가며 대표적으로
                       작가 길드, 작업장, 시장등이 있습니다.
     
    3.실업 배치: 배치할 타일이 없거나 인위적으로 시민을 뻈을 때 시민은 실업자가 됩니다. 일이 없는 시민 생산력1를 추가합니다.
     
     
    시민은 인구수 1이 오르면 1씩 오릅니다. 그리고 시민1당 식량을 2를 잡아먹으며 만약 인구수만큼의 식량이 부족하면 '기아상태'에 돌입합니다.
     
    여러분은 이 시민들을 원하는 자리에 배치하실 수 있습니다. 수동적으로 선택한 시민 아이콘은 자물쇠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후반부로 돌입하여 시민 수가 어마어마 해지면 일일히 시민을 배치하기가 힘들어 집니다. 그 때는 그냥 자동 집중을 사용하도록 합시다.
     
    자동집중은 아래를 그림을 보시면
     
    <formulas></formulas> 
    문명공략54.jpg
     
     
    이렇게 되어있는데 원하는 자동 집중에 체크 하시면 시민이 알아서 타일에 배치되니 후반부 플레이 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3. 타일 시설물과 건설
     
    다음은 타일 시설물과 건설에 대해 알아봅시다. 타일을 건설할 수 있는 유닛은 각문명의 특수유닛을 제외하고 노동자, 작업선, 위인이 있습니다.
     
    아래 표는 타일시설물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해 놓았습니다.
     

     

    2.1 일반 시설

    일반적인 시설. 노동자나 어선이 지을 수 있다.

    2.1.1 농장

    • 효과 : 식량 +1
    • 개발 자원 : 밀
    • 요구 기술 : 농업[1]
    • 건설 지역 : 초원, 평원, 사막, 담수(호수, 강) 옆
    • 특이사항 : 공공행정 연구시 담수 옆 농장의 식량 +1, 비료 연구시 담수가 없는 지역 농장의 식량 +1
    • 참고사항 : 곡창 건설시 밀의 식량 +1, 태양의 신 선택시 밀의 식량 +1
    가장 기본적인 시설. 게임 초반 도시의 인구를 끌어올리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게 없으면 도시의 성장에 큰 차질이 생긴다.

    2.1.2 목장

    • 효과 : (소, 양)식량 +1, (말)생산 +1
    • 개발 자원 : 소, 양, 말
    • 요구 기술 : 목축업
    • 특이사항 : 비료 연구시 식량 +1, 창공의 신 선택시 문화 +1
    • 참고사항 : 마구간 건설시 소, 양, 말 자원의 생산 +1, 공작의 마구간의 경우 추가로 금 +1
    초반 생산력을 올릴 때 상당히 유용하다. 특히 말의 경우 기마 유닛을 운용할 때 필요하므로 군사적으로도 중요하다. 기마 유닛을 쓰지 않는다면 자신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은 문명에 팔아넘겨 국고를 채워주도록 하자.[2]

    2.1.3 광산

    • 효과 : 생산 +1(철, 석탄, 알루미늄, 우라늄), 생산 +1/금 +1(보석, 금, 은, 구리), 식량 +1/금 +1(소금)
    • 개발 자원 : 철, 석탄, 알루미늄, 우라늄, 보석, 금, 은, 구리, 소금
    • 요구 기술 : 광업
    • 건설 지역 : 언덕
    • 특이사항 : 화학 연구시 생산력 +1, 5개년 계획 채택시 생산력 +1
    • 참고사항 : 대장간 건설시 철의 생산력 +1, 화폐주조소 건설시 금, 은의 금 +2, 땅의 여신 선택시 철, 구리, 소금의 신앙 +1, 우상 숭배 선택시 금, 은의 문화 +1/신앙+1
    말과 석유를 제외한 모든 전략 자원을 개발할 뿐더러 필요한 사치자원 역시 상당히 많다. 필요 기술도 가장 먼저 찍을 수 있는 상당히 좋은 시설.

    2.1.4 어선

    • 효과 : 식량 +1(물고기), 금 +1(진주, 게, 고래)
    • 개발 자원 : 물고기, 고래, 진주, 게
    • 요구 기술 : 항해
    • 특이사항 : 나침반 연구시 금 +1, 바다의 신 선택시 생산력 +1
    • 참고사항 : 등대 건설 시 해양타일의 식량+1/해양자원의 생산력 +1, 항구 건설 시 해양자원의 생산력 +1/금+1
    나름대로 좋은 효과지만, 아무래도 시설을 만들 때마다 어선을 일일이 뽑아 배치해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다 보니 게임 초반에는 짓기가 힘들다. 다만 작정하고 치중한다면 등대+항구를 지을 경우 상당히 좋은 타일이 된다! 약탈당하면 작업선을 다시 뽑아서 배치해야 한다. 야만인은 어선을 약탈하지 않아서 그나마 다행.

    2.1.5 재배지

    • 효과 : 금 +1(염료, 비단, 향신료, 설탕, 면, 와인, 향, 감귤), 식량 +1(바나나)
    • 개발 자원 : 바나나, 염료, 비단, 향신료, 설탕, 면, 와인, 향, 감귤
    • 요구 기술 : 역법
    • 특이사항 : 비료 연구시 식량 +1, 구전 전통 선택시 문화 +1
    • 참고사항 : 곡창 건설시 바나나의 식량 +1, 태양의 신 선택시 바나나, 감귤의 식량 +1, 축제의 여신 선택시 와인, 향의 문화+1/신앙+1
    바나나를 제외한 모든 자원이 사치자원이며, 전체적으로 금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에 금을 벌 때는 상당히 좋은 시설. 다만 이 시설을 주로 짓는 곳은 생산력이 부족한 곳이 많은 것이 단점. 정글타일에 바나나가 있는 경우 대학을 통한 과학보너스를 받기위해 개발하지않고 냅두는 경우도 있다.

    2.1.6 야영지

    • 효과 : 금 +1(상아, 모피, 송로버섯), 생산력 +1(사슴)
    • 개발 자원 : 상아, 모피, 사슴, 송로버섯
    • 요구 기술 : 수렵
    • 특이사항 : 비료 개발시 식량 +1, 경제학 개발시 금 +1, 사냥의 여신 선택시 문화 +1
    • 참고사항 : 곡창 건설시 사슴의 식량 +1
    특이하게도 대부분의 시설을 개발하려면 숲이나 정글을 개간해야되는데, 야영지는 숲이 있어도 중첩이 된다. 때문에 숲 타일의 효과인 생산력 +1을 보존할 수 있다. 평원의 경우 숲을 제거해도 산출량은 그대로고 초원은 생산력이 줄어드는 대신 식량이 늘어나지만 툰드라의 경우 숲을 제거하면 생산력만 사라지고 식량은 늘어나지 않기때문에 제거하지 않고 보존하는 편이 이익이다.

    2.1.7 도로

    • 효과 : 유지비 1, 이동속도 증가, 교역로 연결
    • 요구 기술 : 바퀴
    • 특이사항 : 공학 연구시 강 사이에 다리 연결[3], 기계장치 연구시 이동속도 증가
    문명 5에서 단 둘 뿐인, 유지비가 드는 시설. 따로 다른 자원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빠른 이동이 가능하며 교역로를 연결할 수 있다. 그래픽 문제로 가끔씩 마음대로 꼬여서 괴상한 모습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후 도로를 대체하는 것이 철도다. 아래 참조. 약탈로 파괴할 수 있지만 금 수입은 없고 체력도 회복되지 않는다.

    2.1.8 채석장

    • 효과 : 생산력 +1(석재), 생산력 +1/금 +1(대리석)
    • 개발 자원 : 대리석, 석재
    • 요구 기술 : 석조 기술
    • 특이사항 : 화학 연구시 생산력 +1, 5개년 계획 채택시 생산력 +1, 환상열석 선택시 신앙 +2
    • 참고사항 : 석재공장 건설시 석재, 대리석에서 생산력 +1, 할라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건설시 석재, 대리석에서 금 +2
    원래는 대리석만의 시설이었으나 후에 석재가 추가되었다. 추가 효과를 여기저기서 뽑아낼 수 있기에 각종 시설을 잘만 갖춘다면 상당히 훌륭한 다용도 타일이 되기도 한다.

    2.1.9 제재소

    • 효과 : 생산력 +1
    • 요구 기술 : 건설
    • 건설 지역 : 숲
    • 특이사항 : 과학이론 개발시 생산력 +1
    • 참고사항 : 긴 집 건설시 숲타일에서 생산력 +1
    일반 숲의 경우는 생산력을 올리므로 나쁘지 않으나, 언덕 숲일 경우 그냥 벌목해서 광산 짓자. 광산과 비교해 생산력은 낮아도 식량 +1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쿼이의 긴 집(롱하우스)과 결합하면 주변 숲 일대가 광산으로 변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한다.

    2.1.10 요새

    • 효과 : 요새 위 유닛의 전투력 50% 증가
    웬만해서는 짓지 않는 시설이다. 개발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것이 큰 문제점. 하지만 아쉬우나마 좁은 길에 성채 대용으로 몸빵 유닛을 배치해놓는다면 방비에는 굉장히 유리하다. 혹은 도시는 3타일 내 영토까지에서만 일꾼의 작업이 가능하므로 4타일 이상으로 영토가 넓어지면 사치자원이나 전략자원이 있지 않는 한 틈틈히 요새를 지어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아군의 시설이므로 상대는 요새 위에 주둔해도 방어력 보너스를 받을 수 없으며, 특이하게도 약탈시 바로 파괴되어 수리조차 불가능해진다.

    2.1.11 교역소

    • 효과 : 금 +1
    • 건설 지역 : 초원, 평원, 사막, 툰드라
    • 특이사항 : 경제학 연구시 금 +1, 자유 사상 채택시 과학력 +1, 상업 완성 시 금 +1
    대개 지을 게 없는 타일이나 점령지에 짓는다. 특히 점령지에 지을 경우 성장을 억제하면서 금도 들어오기 때문에 꽤나 좋다. 이것저것 보너스를 더 받을 수 있다는 점이나 상업력을 늘인다는 점에서 사실상 문명 4의 오두막을 계승하는 시설. 그냥 설치만하고 냅두면 성장하는 오두막에 비해서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기 힘든 면이 있긴하다. 상업이나 합리 정책을 찍으면 꽤 좋은 시설이 돼서 최우선 순위 시설이 된다. 숲이나 정글 타일을 제거하지 않고도 지을 수 있는 시설이기도 하다. 식량 벌어둔게 충분하다는 가정하에 정글에 지으면 대학+자유사상과의 시너지로 작정하고 과학도시를 만들수도 있다.

    신과 왕 확장팩에서 텍스쳐가 바뀌었다. 구 버전은 도로가 있고 작은 건물이 듬성듬성 지어져있는 형태였는데 새 텍스쳐는 중심에 커다란 건물이 하나 있고 주변에 작은 건물과 천막이 설치되어있는 형태. 뱀발로 실제로 전근대에는 시장 구역 중심에 관공서가 있고 주변에 상가 건물들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2.1.12 유정

    • 효과 : 생산력 +3
    • 요구 기술 : 생물학
    • 개발 자원 : 석유(지상)
    석유를 건설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시설이다. 생산력을 주기 때문에 평지 타일에서도 석유만 있다면 생산력을 쏠쏠이 얻을 수 있다. 심지어 아무것도 없는 사막에 나와도 개발시 생산력 +4를 얻어 화학 개발한 광산과 동일한 산출량이 나온다.

    2.1.13 해양 유정

    • 효과 : 생산력 +3
    • 요구 기술 : 냉각기술
    • 개발 자원 : 석유(해양)
    • 참고사항 : 등대 건설 시 해양타일의 식량+1 해양자원의 생산력 +1, 항구 건설 시 해양자원의 생산력 +1/금+1
    유정의 해양판. 해양 도시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생산력을 많이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어선과 마찬가지로 약탈당하면 작업선을 다시 뽑아 배치해야 한다.

    2.1.14 철도

    • 효과 : 유지비 2, 이동속도 증가, 교역로 연결, 수도와 연결시 생산력 25% 증가
    • 요구 기술 : 철도
    도로의 업그레이드판. 넓은 국가에서 병력의 이동을 수월히 하기 위해, 또는 도시의 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건설된다. 돈은 도로보다 2배로 먹지만 교역로로 벌어오는 양은 동일하다. 대신 생산력 보너스가 추가되고 철도 위에서 이동력이 더욱 많이 증가한다. 역시 도로처럼 약탈은 가능하지만 금은 주지않고 체력도 채워주지 않는다.

    2.2 위인 시설

    위인 시설은 위인을 소비하여 만들어지며, 철거하면 다시 지을 수 없다. 때문에 전략 자원을 깔고 앉았을 경우 철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자동으로 개발된다. 단, 자원이 가용자원이 될 뿐, 해당 개발시설의 특성은 갖지 않는다.[4][5]

    2.2.1 성채

    • 효과 : 성채 위 유닛의 전투력 100% 증가, 턴을 마칠 때마다 주위의 적군에 데미지, 주위의 타일을 영토로 편입
    • 특이사항 : 국경 한 칸 밖에서도 개발 가능,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2
    위대한 장군이나 칸을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우주방어에 매우 유리한 시설이며, 확장팩 들어 문화 폭탄의 능력까지 가져왔다. 성채 안의 아군이 전멸하고 성채에 적이 들어오더라도 계속해서 적에게 대미지를 준다. 그러나 연결된 도시를 빼앗기거나 성채의 효과로 타일이 적 소유가 되면 적의 성채가 되어버린다. 요새와 마찬가지로 아군소유인 한 적군에게 방어력 보너스는 주어지지 않는다. 약탈이 가능하나 요새와는 다르게 수리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

    2.2.2 아카데미

    • 효과 : 과학력 +8
    • 특이사항 : 과학이론 연구시 과학력 +2, 원자론 개발시 과학력 +2, 뉴딜정책 채택시 과학력 +4,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2
    위대한 과학자를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과학력에 큰 힘이 되는 시설. 초중반 대부분의 과학자는 이렇게 타일에 박히기 일쑤다. 확장팩 와서 너프된 이후로 더더욱.

    2.2.3 랜드마크

    • 효과 : 사적지의 유물이 생성된 시대와 현재 시대의 차이만큼 문화+1(멋진 신세계 이전에는 문화 +6), 뉴딜정책 채택시 문화 +4,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4
    위대한 예술가를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문화승리가 목표가 아니라면 황금기를 여는 것이 더 낫다. 멋진 신세계 확장팩에서는 사적지에서 고고학자로 사적지 발굴을 해서 지을 수 있는 걸로 바뀌었다.

    2.2.4 세관

    • 효과 : 금 +4
    • 특이사항 : 경제학 개발시 금 +1, 뉴딜정책 채택시 금 +4,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2
    위대한 상인을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무역 상단이나 세관 건설이나 둘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맞춰 소비하자.

    2.2.5 제조공장

    • 효과 : 생산력 +4
    • 특이사항 : 과학이론 개발시 생산력 +1, 뉴딜정책 채택시 생산력 +4,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2
    위대한 기술자를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대체로 기술자는 생산 가속으로 더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6] 보기 드문 시설이다. 그래도 극후반 들어서면 프로젝트나 SS 부품 등 가속이 불가능한 불가사의를 가속시키기 위해 박을 수밖에 없다.

    2.2.6 성지

    • 효과 : 신앙 +6
    • 특이사항 : 신앙 정책 완성시 금 +3/문화 +3, 뉴딜정책 채택시 신앙 +4, 세계의회에서 역사적 랜드마크 채택시 문화+2
    위대한 선지자를 소비해서 개발하는 시설. 종교 전파를 한 번도 안 한 상태에서만 지을 수 있다. 참고로 다른 종교의 선지자를 박아도 아무런 문제없다. 적의 선지자를 잡았다면 성지로 바꿔버리자. 신앙 정책을 완성한다면 어마어마한 보너스를 뽑아먹을 수 있다. 다만 뉴딜 정책 선택시시 위인 시설 산출량 증가 효과는 신앙에만 적용된다는 사실에 유의하자.
     

     
    출처는 엔하위키 미러입니다. 사실 처음에는 이 파트는 수작업으로 일일히 적어놓았으나 날라가버렸기 때문에.... 더이상 그 일을 또 할수는
     
    없겠더라고요.... 죄송합니다. 그래도 엔하위키에서 어쩌면 저보다 더 잘 기술해 놓았기 때문에 이 도식을 참고하셔도 별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이제 시설을 건설할 때 도시 성장에 필요한 건설물만 건설하도록 합시다. 예를들어 강변에 농장을 짓는다던가, 생산력을 대폭 상승시켜야
     
    하는데 괜히 제재소 짓지말고 벌목해서 광산을 짓고, 식량을 별로 주지않는 사막이나 툰드라 타일은 교역소를 짓는식으로 플레이 하도록 합시다.
     
    2014-01-29_00025.jpg
    (직접 기른 노동자로 도로를 건설하고 밭을 갈자!)
     
     
    4. 도시와 타일건설에 관한 Tip
     
    초보자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도시와 타일건설에 관한 tip입니다.
     
     
    1. 처음 스타팅지역은 산악, 사막, 툰드라, 동일사치자원 3개, 물고기도 없는 해안가, 언덕,숲 없는 허허벌판은 무조건 피하세요.(그래도 소금밭이라면 그냥 플레이ㄱㄱ)
     
    2. 이것저것 잘하는 멀티플레이어도시가 아닌 망치면 망치, 금이면 금, 하나만 특성화 시키세요.
     
    3. 잘키운 도시 하나 열도시 부럽지 않습니다.
     
    4. 확장하지 않을거면 도시 2~3개, 확장할거면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어마어마하게 확장하세요.
     
    5. 생산위주 시민자동으로 돌릴때 간혹 실업자가 생길수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6. 식량이 많다고 해도 곡창은 필수입니다.
     
    7. 너무 많은 노동자는 똥입니다. 왠만큼은 도시 하나당 노동자 하나. 도시 주위를 전부 개발했으면 없애세요.
     
    8. 도로는 4,5타일정도 떨어진 도시에 건설을 추천합니다.
     
    9. 남는 타일에 쓸데없이 요새 건설하고 막 그러지 마세요.
     
    10. 후반부 위인시설물은 오히려 손해입니다. 그냥 갈아버리세요.
     
     
     
     
    다음 시간에는 연구, 돈, 문화, 이데올로기, 관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드백, 질문 언제나 환영합니다! 긴 공략 읽어주신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4/02/06 15:54:05  203.229.***.168  명탐정소노코  89429
    [2] 2014/02/06 16:10:40  168.126.***.110  사막딱새  409686
    [3] 2014/02/06 16:26:52  222.114.***.144  청와대  192575
    [4] 2014/02/06 17:02:50  119.56.***.210  쏘무  190656
    [5] 2014/02/06 20:24:31  116.125.***.180  피카츄-  9125
    [6] 2014/02/06 23:11:04  182.224.***.98  소백산맥  154270
    [7] 2014/02/06 23:33:46  218.38.***.181  끝은시작이다  212415
    [8] 2014/02/07 06:43:59  66.131.***.215  CaRPeDieM  402936
    [9] 2014/02/07 12:39:36  110.14.***.192  빙그뢰  282502
    [10] 2014/02/07 14:09:16  112.150.***.37  MarsAlien  98628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현재 게시판의 베스트게시물입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6962
    클유 명단 공개하고 운영팀장 포함 사퇴하라 [4] CanonZ 14/06/28 23:28 376 13
    903052
    나도 문명연재! 16. 실력패론 -마지막회 (BGM) [8] 스마일루 14/06/24 15:11 1997 29
    899788
    나도 문명연재! 15. 화평굴기 (BGM) [5] 스마일루 14/06/17 23:15 1606 21
    896180
    나도 문명연재! 14. 양국집단 (BGM) [4] 스마일루 14/06/10 16:20 1930 24
    892577
    나도 문명연재! 13. 화이동근 (BGM) [3] 스마일루 14/06/03 18:57 1447 17
    891374
    [BGM] 업그레이드를 깜빡했다 [3] 포를 14/06/01 14:00 2973 25
    889414
    나도 문명연재! 12. 중소분쟁 2/2 (BGM) [7] 스마일루 14/05/28 11:44 1730 15
    886665
    나도 문명연재! 11. 중소분쟁 1/2 (BGM) [6] 스마일루 14/05/22 19:42 1704 18
    885296
    도시국가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 [4] 음사과 14/05/19 23:45 3673 24
    882185
    나도 문명연재! 10. 삼반오반 (BGM) [4] 스마일루 14/05/13 23:06 1504 17
    878320
    나도 문명연재! 9. 안내양외 (BGM) [6] 스마일루 14/05/07 00:36 1727 18
    876720
    나도 문명연재! 8. 자강운동 (BGM) [6] 스마일루 14/05/03 20:37 1712 16
    867228
    나도 문명연재! 7. 통행불가 (BGM) [5] 스마일루 14/04/17 23:02 1778 20
    863010
    나도 문명연재! 6. 중화사상 2/2 (BGM) [1] 스마일루 14/04/08 22:29 1538 16
    860668
    나도 문명연재! 5. 강건성세 (BGM) [5] 스마일루 14/04/02 02:14 1884 16
    860066
    [모드, 불멸자, 보통/표준] 마마마 반역의 이야기 모드 간단 플레이 [4] ARTR 14/03/31 16:56 2260 20
    859246
    [혐주의]문명하다 개깝놀 [6] 구겨진상자 14/03/29 15:30 6539 41
    857786
    나도 문명연재! 4. 중화사상 1/2 (BGM) [7] 스마일루 14/03/25 22:26 1720 11
    854818
    나도 문명연재! 3. 측천무후 (BGM) [7] 스마일루 14/03/18 18:15 2275 20
    852120
    나도 문명연재! 2. 제자백가 (BGM) [6] 스마일루 14/03/12 01:42 2311 21
    848617
    나도 문명연재! 1. 삼황오제 (BGM) [10] 스마일루 14/03/04 13:27 3139 30
    847702
    요즘 다른게임하느라 문명을 안하고있었는데 [33] 근성guy 14/03/02 12:20 4515 34
    845599
    나도 문명연재! Teaser. 삼십육계 [7] 스마일루 14/02/26 20:24 1579 34
    843672
    현실반영잼.jpg [6] 세이네 14/02/23 17:36 4847 30
    842038
    러시아보면 무조건 전쟁이다 합의없다 [7] 김거짓말 14/02/21 10:27 6693 40
    <문명의 정석> Chapter.3 도시관리와 타일건설 Sulk 14/02/07 14:09 17413 18
    828153
    나도 문명연재! 에필로그. 심장부의 줄다리기 (BGM) [8] 스마일루 14/01/28 17:25 2011 25
    [1] [2] [3] [4] [5] [6] [7] [8] [9] [10] [다음10개▶]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