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오유 바로가기
http://m.todayhumor.co.kr
분류 게시판
베스트
  • 베스트오브베스트
  • 베스트
  • 오늘의베스트
  • 유머
  • 유머자료
  • 유머글
  • 이야기
  • 자유
  • 고민
  • 연애
  • 결혼생활
  • 좋은글
  • 자랑
  • 공포
  • 멘붕
  • 사이다
  • 군대
  • 밀리터리
  • 미스터리
  • 술한잔
  • 오늘있잖아요
  • 투표인증
  • 새해
  • 이슈
  • 시사
  • 시사아카이브
  • 사회면
  • 사건사고
  • 생활
  • 패션
  • 패션착샷
  • 아동패션착샷
  • 뷰티
  • 인테리어
  • DIY
  • 요리
  • 커피&차
  • 육아
  • 법률
  • 동물
  • 지식
  • 취업정보
  • 식물
  • 다이어트
  • 의료
  • 영어
  • 맛집
  • 추천사이트
  • 해외직구
  • 취미
  • 사진
  • 사진강좌
  • 카메라
  • 만화
  • 애니메이션
  • 포니
  • 자전거
  • 자동차
  • 여행
  • 바이크
  • 민물낚시
  • 바다낚시
  • 장난감
  • 그림판
  • 학술
  • 경제
  • 역사
  • 예술
  • 과학
  • 철학
  • 심리학
  • 방송연예
  • 연예
  • 음악
  • 음악찾기
  • 악기
  • 음향기기
  • 영화
  • 다큐멘터리
  • 국내드라마
  • 해외드라마
  • 예능
  • 팟케스트
  • 방송프로그램
  • 무한도전
  • 더지니어스
  • 개그콘서트
  • 런닝맨
  • 나가수
  • 디지털
  • 컴퓨터
  • 프로그래머
  • IT
  • 안티바이러스
  • 애플
  • 안드로이드
  • 스마트폰
  • 윈도우폰
  • 심비안
  • 스포츠
  • 스포츠
  • 축구
  • 야구
  • 농구
  • 바둑
  • 야구팀
  • 삼성
  • 두산
  • NC
  • 넥센
  • 한화
  • SK
  • 기아
  • 롯데
  • LG
  • KT
  • 메이저리그
  • 일본프로야구리그
  • 게임1
  • 플래시게임
  • 게임토론방
  • 엑스박스
  • 플레이스테이션
  • 닌텐도
  • 모바일게임
  • 게임2
  • 던전앤파이터
  • 마비노기
  • 마비노기영웅전
  • 하스스톤
  • 히어로즈오브더스톰
  • gta5
  • 디아블로
  • 디아블로2
  • 피파온라인2
  • 피파온라인3
  • 워크래프트
  • 월드오브워크래프트
  • 밀리언아서
  • 월드오브탱크
  • 블레이드앤소울
  • 검은사막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2
  • 베틀필드3
  • 마인크래프트
  • 데이즈
  • 문명
  • 서든어택
  • 테라
  • 아이온
  • 심시티5
  • 프리스타일풋볼
  • 스페셜포스
  • 사이퍼즈
  • 도타2
  • 메이플스토리1
  • 메이플스토리2
  • 오버워치
  • 오버워치그룹모집
  • 포켓몬고
  • 파이널판타지14
  • 배틀그라운드
  • 기타
  • 종교
  • 단어장
  • 자료창고
  • 운영
  • 공지사항
  • 오유운영
  • 게시판신청
  • 보류
  • 임시게시판
  • 메르스
  • 세월호
  • 원전사고
  • 2016리오올림픽
  • 2018평창올림픽
  • 코로나19
  • 2020도쿄올림픽
  • 게시판찾기
  • 게시물ID : humorbest_1378159
    작성자 : ▶CONTAX_S2◀
    추천 : 71
    조회수 : 2864
    IP : 210.108.***.6
    댓글 : 30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7/02/06 22:50:41
    원글작성시간 : 2017/02/06 10:53:13
    http://todayhumor.com/?humorbest_1378159 모바일
    서천석님의 <어떤 아버지가 아이에게 유리한가?> - 좋은 글입니다.
    옵션
    • 펌글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미리 세줄 요약</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1. 아버지의 경우 통제성과 온정성으로 나눠서, 통제성이 약할 경우 어휘력이 좋아지고 문제발생 빈도도 낮아졌다.</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2. 어머니의 경우는 통제성이 강하되 온정성이 높으면 (36개월 미만) 어휘력이 좋아지고, 그 이후면 통제성도 낮아지는게 좋다.</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3. 아버지의 경우는 양육 빈도와 시간과는 무관하고, 양육태도에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아버지의 경우 통제성이 낮고, 온정성이 높은 아빠 (다시 말해 친구같은 아빠)의 경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내었다고 하는군요.</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물론 여기서 '그럼 내버려두고 애를 키우라는거냐?'라고 물어보시는 분은 없으시겠죠?)</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길더라고 원문을 한번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br></p> <blockquote style="margin:0px 0px 0px 40px;border:none;padding:0px;">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font size="3"><어떤 아버지가 아이에게 유리한가?></font></p> <p style="margin:1em 0px;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font size="3">‘한국아동패널’이란 종단연구가 있다. 2008년부터 진행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장기 아동 추적 관찰 프로젝트다. 아이들을 출생 시기부터 모아서 추적 관찰하면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제대로 알 수 있다. 연구에서는 이런<span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 종단 연구가 정말 끝판왕인데 벌써 이 연구가 9년 차 이상 진행되었다. 최근 이 연구의 초기 분석 자료들이 공개되고 있는데 유아기 발달에 부모가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흥미 있는 부분이 많다.</span></font></p>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아버지가 어떤 양육 태도를 갖고 있을 때 아이의 발달에 가장 유리할까? 이에 대한 질문을 하면 답변은 다양하다. 전통적인 아버지 상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고, 따뜻하고 친구같은 아버지가 좋다는 사람들도 있다. 실증적인 자료는 과연 어느 쪽 손을 들어줄까? 마침 한국개발연구원의 김인경 박사가 작년에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영유아발달의 결정요인과 정책적 함의’라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여기에 부모의 양육 태도가 아이의 발달과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를 온정성과 통제성으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온정성은 36개월 이전에는 아이와 놀며 시간을 보냈는지, 아이가 힘들거나 불편해보이면 즉각 적절히 대처했는지, 아이에게 긍정적이고 따뜻한 관심을 보였는지, 아이의 행동에 융통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보았다. 36개월 이후에는 아이와 친밀한 시간을 가지는지, 아이의 의견을 중시하고 표현할 기회를 주는지,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놀아주는지, 가족 규칙을 아이와 함께 정하는지, 아이의 질문에 잘 설명을 해주는 지로 측정하였다. 통제성은 아이가 어려도 엄격하게 예절을 가르치는지, 아이가 잘못했을 때는 반드시 벌을 주고 반성하게 하는지, 아이가 부모의견에 반드시 순종하게 하는지, 지켜야할 규칙을 정하고 아이가 지키도록 하는지, 가정교육을 위해 아이의 행동을 제한하는 지로 평가하였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양육 태도는 온정성과 통제성이 둘 다 높은 경우도 있고 (권위적 부모), 온정성은 높지만 통제성은 낮은 경우도 있고 (허용적 부모), 통제성은 높지만 온정성은 낮을 수도 있다 (권위주의적 부모). 연구는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보고, 그에 따른 아이의 발달과 문제 행동을 분석하였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결론적으로 아버지의 통제성이 높은 경우 아이의 발달은 좋지 않았다. 아이에게 문제 행동도 더 많이 나타났다. 아이의 수용 어휘력(알아들을 수 있는 어휘의 수)은 온정성이 높은 아버지에게서 더 높았고, 온정성이 높은 아버지 중에선 통제성이 낮은 경우에 어휘력이 좋았다. 덜 통제하고, 아이 입장을 더 많이 받아주며 교류하는 아버지가 아이의 언어 발달에 가장 좋았다. 재미난 것은 어머니의 경우에는 표현 어휘력(말할 수 있는 어휘의 수)과 양육 태도의 상관성이 있었는데, 아이가 36개월 이전에는 온정성과 통제성이 둘 다 높을 때 언어 발달이 가장 좋았다. 즉 아이에게 제대로 반응하고 관심을 보인다면 규율을 분명히 세우는 어머니가 유리한 것이다. 다만, 어머니도 36개월 이후에는 온정성이 높고, 통제성은 낮은 경우가 아이의 언어 발달에 더 유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아이의 문제 행동 역시 아버지의 통제성이 높은 경우 일관되게 나쁘게 나왔다. 우울이나 불안 같은 내재적 문제 행동이든, 과잉행동과 충동성과 같은 외현적 문제 행동이든 모두 아버지의 통제성이 높을 때 더 많이 보였다. 아버지가 엄격하면 아이의 문제가 줄어들 것 같지만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셈이다. 아이의 문제 행동이 나타날 확률이 가장 낮은 그룹은 온정성이 높고, 통제성은 낮은 아버지였다. 친구같은 아빠가 아이에게 가장 유리한 셈이다. 재미난 점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 빈도와 아이의 문제 행동은 큰 관련이 없었다. 아이를 많이 돌본다고 아이가 좋아지는 것이 아니다. 적게 보더라도 제대로 돌봐야 하는 셈이다. 또 아버지의 소득이나 학력도 관계가 없었다. 오직 아빠의 양육 태도만이 아이의 문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아이 입장에서 아버지는 무섭다. 모두가 그렇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남자는 조금 더 힘이 세 보인다. 키도, 몸집도 큰데다 목소리는 굵고 표정은 강하다. 젖을 주고, 늘 붙어있던 어머니에 비해 접촉 빈도가 낮다 보니 친밀함의 정도도 낮기 마련이다. 친밀함이 바탕을 깔렸다면 엄한 표정을 지어도 수용하기 쉬운데, 친밀함이 약하다 보니 조금만 딱딱한 표정을 지으면 겁이 나기 쉽다. 자신을 공격하거나 배제하려는 느낌이 들어 두렵기 마련이다. 똑같은 수준으로 엄마와 아빠가 혼내도 아이들이 경험할 때 아빠가 혼내는 것이 견디기 더 힘들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이런 이유로 아빠들은 아이를 훈육할 때 좀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 위험성이 있을 때는 분명하게 통제를 해야겠지만 빈도가 높아선 곤란하다. 날선 칼은 함부로 뽑아선 안 된다. 두려움을 자극하면 아이들은 아버지를 피하기 마련이다. 그래선 아버지가 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아이에게 주지 못한다. 지금의 아버지들은 자애로우면서 권위를 지키는 아버지를 경험한 적이 없다. 그러다 보니 엄격하게 하다 보면 그저 무섭게 대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에게 두려움만 줄 뿐 올바른 행동을 만들어주지 못한다. ‘한국아동패널’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통제성은, 적어도 아이가 어릴 때는, 아이의 문제 행동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만 아버지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역효과가 났다. 그것이 우리 아버지들이 처한 상황이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적잖은 아버지들이 아직도 엄한 아버지가 아이에게 도움이 되고, 필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아버지의 권위가 갈수록 떨어지는 상황이 아이들의 인성이 바르게 자라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라고 말하기도 한다. 물론 여기에는 어떤 근거도 없다. 그저 아버지 권위에 대한 향수에 불과하다. 시대가 변하면 양육 방식에도 변화를 줘야 하는데 내가 경험하지 않은 것을 실천하기란 어려운 법이다. 그런 어려움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변하려고 노력하지 않고, 과거가 좋았다고 말한다면 상투 틀고, 천자문 읽는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과 큰 차이가 없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아버지의 권위는 아버지가 만드는 것이 아니다. 사회가 만들어주는 것이다. 예전에는 강력한 가부장 사회였다. 게다가 아버지가 바깥일을 맡아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졌다. 아이는 많이 낳았고, 아이들 간의 경쟁은 치열했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 사이에서 자원을 어떻게 분배할지 결정할 수 있는 아버지의 권위는 저절로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에 비해 지금은 더 이상 아버지만 밖에서 일하지 않는다. 맞벌이의 비율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아이의 수는 줄어들어, 기껏해야 한두 명을 낳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 간의 경쟁은 사라졌고 부모가 아이에게 끌려다닐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부장제 문화 역시 지속적으로 힘을 잃고 있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아버지가 권위를 높이려고 애를 쓰면 어떻게 될까? 아이들에게서 심리적으로 멀어질 가능성만 높다. 아이들은 아버지를 가정에서만 경험하지 않는다. 다양한 매체에서 간접 경험하고, 친구의 가족 관계를 관찰하며 경험하고, 교육기관의 활동에서 경험한다. 그렇게 경험한 아버지 상을 자연스럽게 자신의 아버지 모습과 비교하게 된다. 과거라면 아버지가 무섭다고 해도 다른 집 아버지도 대개는 무서우니 원래 아버지는 그런 존재려니 했다. 지금은 더 이상 그렇지 않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또, 과거에는 아버지가 무서워도 아버지에게 잘 보이는 것이 중요했다. 말을 안 들으면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았다.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지배권도 강했기에 아버지에게 잘못 보이는 것은 위험한 일이었다. 아이들은 아버지의 권위를 무시하는 것을 생존의 위협이라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젠 더 이상 그렇지 않다. 아버지가 없어도 어머니에게 의지하면 되고, 유치원 선생님 등 다른 의지할 수 있는 어른들이 있다. 게다가 형제가 사라지니 아버지의 사랑을 두고 자신과 경쟁할 대상은 없어졌다. 반면 아버지는 아이가 사랑을 주지 않으면 자식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만다. 이제 아쉬운 사람은 아버지가 되었다.</font></p></div>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 <p style="margin:1em 0px;"><font size="3">요즘에는 어머니 역시 아버지의 권위를 높게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은 왜 아버지의 권위를 인정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다. 그저 아버지가 자기에게 잘 해주면 아버지를 사랑하고, 잘 해주지 않으면 사랑하지 않게 되었다. 아이들은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배우지 못한다. 아버지들은 아이를 가르치려고 무서운 사람 역할을 하지만 아이들은 무서운 아버지에게 배우지 못한다. 그저 상처만 받는다. 이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아버지들은 조금은 더 부드러워져야 한다. 그것이 아이를 위해 좋다. 그리고 스스로를 위해서 좋다. 이왕 아이를 낳았으면 아이에게 사랑받는 부모가 되는 편이 낫다. 자식 키워서 얻을 수 있는 만족이라고 해봐야 이젠 그것이 전부다. 자식은 더 이상 재산도 아니고, 나중에 받을 효도를 기대한다는 것은 한겨울의 감나무를 지켜 보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font></p></div></blockquote> <div class="text_exposed_show" style="display:inline;font-family:Helvetica, Arial, sans-serif;"><font size="3"> </font>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br></p> <p style="margin:1em 0px;"></p>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2/1486345482286a32e146874e4091a0d06f7a72fadf__mn456551__w810__h1440__f253159__Ym201702.jpg" width="800" height="1200" alt="1.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53159"></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2/148634548827badacc4a4a469782debb7c3aa67e3a__mn456551__w810__h1440__f283714__Ym201702.jpg" width="800" height="1200" alt="2.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83714"></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2/14863454913805efa416d341fc9659dbd3df3c7021__mn456551__w810__h1440__f283127__Ym201702.jpg" width="800" height="1200" alt="3.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83127"></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2/1486345492f8657d78d461411cb10c5c9533d29f66__mn456551__w810__h1440__f267204__Ym201702.jpg" width="800" height="1200" alt="4.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67204"></div> <div style="text-align:left;"><img src="http://thimg.todayhumor.co.kr/upfile/201702/1486345494ef087b9d667f4823aea5e919e17bb9ea__mn456551__w810__h1440__f251036__Ym201702.jpg" width="800" height="1200" alt="5.jpg" class="chimg_photo" style="border:none;" filesize="251036"></div><br><p style="color:#666666;"></p></div>
    출처
    보완
    2017-02-07 18:07:28
    0 |

    이 게시물을 추천한 분들의 목록입니다.
    [1] 2017/02/06 11:07:42  58.226.***.88  궁둥커  84651
    [2] 2017/02/06 11:38:34  203.232.***.101  슈크림냥  663913
    [3] 2017/02/06 12:23:14  112.218.***.126  ▶◀너부리  643572
    [4] 2017/02/06 13:01:38  1.224.***.146  해피행복해피  597521
    [5] 2017/02/06 13:44:38  118.38.***.139  터펜스  550207
    [6] 2017/02/06 14:54:41  111.171.***.161  맨하탄토이  736395
    [7] 2017/02/06 15:54:50  118.219.***.184  dyflekfdls  542726
    [8] 2017/02/06 16:41:24  112.184.***.33  파스맛껌  353112
    [9] 2017/02/06 18:59:29  121.173.***.199  생겼으면좋겠  213633
    [10] 2017/02/06 22:50:41  220.126.***.177  꿀맛밀크티  60659
    푸르딩딩:추천수 3이상 댓글은 배경색이 바뀝니다.
    (단,비공감수가 추천수의 1/3 초과시 해당없음)

    죄송합니다. 댓글 작성은 회원만 가능합니다.

    번호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78143
    고민정 페북, "어제 오늘 정말 많은 분들의 응원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3] 언제나마음은 17/02/06 22:22 2123 74
    1378086
    22사단.. 장병 하나가 또.. KatyPerry 17/02/06 20:05 10467 74
    1378000
    익스트림 푸키먼고.jpg 펌글 악트 17/02/06 15:24 9059 74
    1377830
    매가 불닭볶음면 먹더니 [8] 펌글 무적다람쥐 17/02/06 02:44 12811 73
    1378137
    김정란 교수 페북, "참 인생 저렴하게 사십니다. 천박근혜씨." [1] 언제나마음은 17/02/06 22:13 4241 73
    1378022
    조응천, 사실확인서 작성자인 고 김기택 영남대 총장은 공교롭게도 김수남 EyeToHeart 17/02/06 16:50 3751 72
    1378054
    그냥 생각나는데로 쓴 소개팅 상대분들 꿈의여정 17/02/06 18:29 8203 72
    1377848
    일본에서 여러의미로 핫한(?) 컵라면을 먹어보겠습니다 [10] 창작글 BIizzard 17/02/06 04:47 9475 72
    1377837
    족발 너무 비싸지 않습니까 인간적으로 [14] 유기농커피 17/02/06 03:11 10361 71
    1377994
    ???: 너는 여기에 낄 자격이 있다. [10] 펌글 VistaPro 17/02/06 15:05 15054 71
    서천석님의 <어떤 아버지가 아이에게 유리한가?> - 좋은 글입니다. [1] 펌글 ▶CONTAX_S2◀ 17/02/06 22:50 2864 71
    1378102
    셜록 전라도 버전 [5] 저승사자§ 17/02/06 20:43 15983 70
    1377936
    아버지 폰 사드렸다가 어머니께 욕 진탕 먹었네요 [1] 외부펌금지 초썰렁펭귄 17/02/06 12:34 13392 70
    1378106
    남편의 핸드폰게임 소액결제.....고칠수있는방법 없을까요... [22] 젤리맘 17/02/06 20:50 7147 68
    1378150
    완전국민경선 "역선택 방지법안" 국정충 봇들이 "반대" 폭격 중 [1] 서울사람 17/02/06 22:30 3349 67
    1377957
    서로에게 말하지 않은 비밀 [1] 알바티니 17/02/06 13:35 8523 67
    1378167
    조기숙교수의 구좌파 신좌파에 관한 첨언 [5] 밍크아빠 17/02/06 23:04 4671 67
    1378030
    무알콜 맥주의 제왕 하이트제로 드셔보셨나요? [7] 창작글 술덕후 17/02/06 17:19 7014 67
    1377932
    정청래, <지금은 오로지 정권교체만 생각해!> [3] EyeToHeart 17/02/06 12:13 2915 67
    1378008
    아빠가 죽었어요 [9] 나비좀비 17/02/06 16:11 5544 66
    1377806
    사생팬 일일 체험 후기 [13] 성이다 17/02/06 01:15 5786 65
    1378046
    두 아이 살리고 싶습니다 ㅠㅠ 베오베 좀 보내주세요.. ㅠㅠ 프로짜증러 17/02/06 18:07 1734 65
    1378108
    탈모갤 금지짤.jpg [2] (இдஇ) 17/02/06 20:54 16297 64
    1378011
    현기차 개색기들 시바 [5] 본인삭제금지 strawberry 17/02/06 16:19 7330 64
    1378007
    아기 캥거루.gif [2] 사닥호 17/02/06 16:09 4729 64
    1377979
    문재인 후보 고양이설 [10] skku밍샥 17/02/06 14:28 7385 64
    1377817
    베오베의 학과 단톡방 사이다 글을 보고 생각난 대학시절 이야기. [2] 창작글 고추장삽겹살 17/02/06 01:55 5807 64
    1377947
    초보집사. 고양이 신중히 기르세요. [9] 베컴포에버 17/02/06 13:22 3864 63
    1378155
    서양 게임계 패미니즘 논쟁 [8] 펌글 목욕탕지킴이 17/02/06 22:42 16633 62
    1378039
    절 사랑해 주는 남자 만날 수 있을까요 ? [8] 날개를단뚱이 17/02/06 17:37 8195 61
    [1]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날짜   이전날짜→
    2017/02/10 2017/02/09 2017/02/08 2017/02/07 2017/02/06 2017/02/05 2017/02/04 2017/02/03 2017/02/02
    날짜검색 : 예)2004/09/07
    단축키 운영진에게 바란다(삭제요청/제안) 운영게 게시판신청 자료창고 보류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모바일홈